반응형

고위급 귀족 & 관리 73

김시민

김시민, 1554~1592  출생1554년 조선 충청도 목천현 백전촌(현 충남 천안시 병천면)에서 아버지 김충갑(1515~1575)과 어머니 창평 이씨 사이에서 6남 2녀중 3남으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임진왜란(1592~1598)에 참전한 무장으로,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게 되면서 왜군의 파죽지세로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마저 의주로 피난가고 왜군이 전라도지역 곡창지대를 확보하기 위해 3만여명의 대병력을 모아 교두보인 진주성을 공격하고자 할 때 김시민은 진주 목사로서 의병들과 합세하여 3천여명의 병력으로 일주일간 왜군과의 공방끝에 물리치는데 이것이 진주대첩(제1차 진주성 전투)이다. 진주 목사 김시민은 전투당시 총에 맞고 진주성 전투가 승리로끝난뒤에도 병상에 누워있다가..

서거정

서거정, 1420~1488  출생1420년 아버지 안주 목사 서미성(1383~1431)과 어머니 안동 권씨(권근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초기 학자이자 훈구파 대신이며 1444년(세종26년)문과 을과3등에 급제한 이후 집현전에서 박사, 부수찬등의 관직을 맡으며 직무를 해오다가 1452년(문종2년) 수양대군(세조, 1417~1468, 재위1455~1468)과 함께 사은사로 명나라에 가는 종사관으로 선발되어가지만 가던도중 모친상이 나서 다시 돌아와서 3년상을 치르고 1455년(세조원년)세조가 즉위함에 따라 원종공신2등에 녹훈되면서 세조의 측근으로서의 능력을 인정받아 점차 관직의 품계가 높아진다. 수많은 서적 집필에 참여하였던 학자로 유명하다.  관직1438년(세종20년)생원시,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

신돈

신돈, 1323~1371   출생1323년 고려 경상도 영산현(현 경남 창녕군 영산면)에서 아버지 신원경과 어머니 옥천사의 여비 사이에서 서자로 태어났다. 배경고려 말기 승려이며 31대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대에 개혁정치를 추진했던 인물로 전민변정도감을 통해 토지개혁, 노비문제(양인중 노비가 된 자들 해방), 교육기관 설립등에 대한 개혁정책을 펼친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에 반기를 든 권문세족들이 반길리가 없었고 신돈이 공민왕의 전권을 받아 시행함에 있어서 점점 욕심이 생겨 공민왕과 멀어짐에 따라 이후 공민왕에 의해 제거된다. 초년1323년에 현재 경남 창녕 영산면에 해당하는 영산현에서 문하좌정승에 추증된 아버지 신원경의 서자로 태어난다. 영산현에는 당대의 유력 가문이자 권문세족..

좌의정 민제

민제, 1339~1408  출생1339년 아버지 민변(?~1377)과 어머니 양천 허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고려의 유력한 집안이였던 여흥 민씨의 수장격 인물로 8명의 자식(4남 4녀)모두 역사속에 나오는 인물들과 혼인하였고 특히 3녀는 미래 태종의 왕비인 원경왕후(1365~1420)로서 민제는 조선3대 태종의 장인이 된다. 휘생몰년도비고장녀?1355 ~ ?평원군 조박(영의정 조준의 7촌조카, 1356~1408)과 혼인, 슬하1남1녀차녀?1357 ~ ?완산부원군 이천우(이성계의 조카, 1354~1417)와 혼인, 슬하3남3녀원경왕후 민씨1365 ~ 1420조선3대 태종의 왕비로 슬하4남4녀, 조선4대 세종의 어머니장남민무구1369 ~ 1410찬성사 권현의 딸과 혼인, 슬하1남차남민무질1372 ~ 141..

좌의정 배극렴

배극렴, 1325~1392  출생1325년 고려 경상도 경산부 성산현 성주읍(현 경북 성주군)에서 아버지 배현보(?~?)와 어머니 성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여말선초 관리로 조선의 초대 좌의정까지 지낸다.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된 대신으로서 고려말기 문하우시중으로서 이성계의 핵심세력이였던 정도전(1342~1398), 조준(1346~1405)등과 함께 고려 마지막 군주 공양왕(1345~1394, 재위1389~1392)을 폐위시키고 태조 이성계(1335~1408, 재위1392~1398)를 추대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고려 말기때부터 왜구를 격파하는등 명성이 높았는데, 1388년 이성계와 조민수(1324~1391)가 요동에 출병할 때 우군도통수 이성계의 휘하 장수로 참여하여 위화도회군에도 참..

남명 조식

조식, 1501~1572   출생1501년 조선 경상도 합천 삼가현(현 경남 합천군 삼가면)에서 아버지 조언형(1469~1526)과 어머니 인천 이씨(1476~1545)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배경관직에 전혀 나아가지 않고 후학을 양성하는데 평생을 쏟은 대 학자. 학자로서 성리학, 천문학, 역학, 지리학, 군사학등에 다방면으로 비상한 재주를 가지고 있어서 그 재주를 탐낸 명종(1534~1567, 재위1545~1567),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등이 조식에게 관직을 제안하지만 거의 다 거절하고 후학을 양성하고 계속해서 학문연구에 매진한다. 조식의 아버지 조언형은 문과에 급제함으로서 한양의 부친의 집에서 생활하면서 학문을 닦아 그곳에서도 여러 인물들과 교제하고 사림의 대표적..

영의정 이양원

이양원, 1526~1592  출생1526년 아버지 이학정(?~?)과 어머니 동래 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명종(1534~1567, 재위1545~1567)대 1556년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대에 주로 활동하던 관리로, 전주 이씨 왕족 출신으로서 2대 정종(1357~1419, 재위1398~1400)의 7남 선성군(1392~1460)의 4대손이다. 1563년(명종18년) 명나라 서장관으로서 종계변무사로 임명되어 명나라로 가서 [태조실록], [대명회전]등에 태조 이성계(1335~1408, 재위1392~1398)의 아버지가 고려말기 권신 이인임(1312~1388)으로 잘못 기재되어있는 것을 이성계의 친부인 이자춘(추존 환조, 1315~1360)으로 수정하..

79대 영의정 노수신

노수신, 1515~1590 재임기간군주79대 영의정1585. 05 ~ 1588. 06선조18년 ~ 선조21년  출생1515년 조선 경상도 상주(현 경북 상주시)에서 아버지 노홍(1496~1568)과 어머니 성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때 활동한 성리학자이며 사림파 이였으며, 이연경(1484~1548)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고 1543년 식년문과에 급제한 이후 조정에 들어오지만 들어오자마자 1545년 을사사화, 1547년 양재역벽서사건에 연루되어 20년에가까운 시간을 유배살이를 하다가 1567년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가 즉위하고 유배가 풀려 다시 기용되어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까지 이르게 된다. 그러나 운이없게도, 1589년 영중추부사를 역임하고 있을 당시 정여립 ..

118대 영의정 김자점

김자점, 1588~1652 재임기간군주118대 영의정1646. 05. 12 ~ 1649. 07. 31인조23년 ~ 인조26년  출생1588년 조선 전라도 낙안(현 전남 순천시)에서 아버지 현감 김탁(?~?)과 유씨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단종 복위 운동에 참여했다가 배신한 김질(1422~1478)의 5대손으로 당색은 서인이였으며 문,무에 능통한 인물로서 1623년 인조반정때 이귀(1557~1633), 김류(1571~1648)등과 함께 인조편에서서 도왔던 반정공신이자 유능한 관리였다. 이괄(1587~1624)이 인조반정때 논공행상의 불만을 품고 이괄의 난(1624)을 일으켜 위기가 닥쳤을 때 관련될 인물들을 미리 정리하는등 효과적으로 도모하여 사건의 확산을 막았지만, 1636년 평안도에 도원수로서 ..

44대 영의정 노사신

노사신, 1427~1498 재임기간군주44대 영의정1495. 04 ~ 1495. 10연산군1년  출생1427년(세종9년) 아버지 노물재(?~1446)와 어머니 청송 심씨(소헌왕후의 여동생)사이에서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배경외가쪽으로는 세종대왕(1397~1450, 재위1418~1450)의 처조카, 영의정 심온(1375~1419)의 외손자(노사신의 어머니가 소헌왕후의 여동생)이기도 하고, 친가쪽으로는 할머니가 여흥 민씨로서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의 왕후 원경왕후(1365~1420)의 여동생으로 이중 사돈인 셈으로 혈통으로 치면 친가와 외가모두 왕실과 연결된 셈이였다. 노사신은 훈구파의 원로격으로 조선 6대 임금 단종대에 급제해 7대 세조, 8대 예종, 9대 성종, 10대 연산군대까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