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티스토리챌린지 21

관사

관사관사는 명사(noun)앞에 붙어서 명사의 뜻에 제한을 두는 것으로서,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와 정관사(Definite article) 두 가지로 나뉜다.  배경중세 영어에는 관사가 존재하지 않았는데, 1066년 노르망디 공작 윌리엄(프랑스어 기욤)이 잉글랜드를 점령하면서 윌리엄1세(William I the Conqueror, 1028~1097, 노르망디재위1035~1087, 잉글랜드재위1066~1087)가 즉위하게 되면서 잉글랜드에 프랑스, 앵글로, 노르만의 문화가 빠르게 전파되기 시작하면서 관사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미 윌리엄1세가 즉위하기 전 수십년전 잉글랜드를 포함한 북해제국을 이끌던 크누트 대왕(Cnut the great, 990~1035, 잉글랜드재위1016~1035, ..

영어/문법 2024.11.27

간접, 직접목적어

영어 목적어목적어는 주로 동사의 뒤에 위치하고 동사의 행동이나 대상이 되는 것을 나타내는 품사이며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2가지로 나뉜다. 보통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를 타동사(transitive verb : 하나이상의 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라고 하는데, 목적어를 가지지 않는 자동사(intransitive verb :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동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간접 목적어는 영어 4형식에 쓰이는 수여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되는 형태로서 행위에 의해 행위의 대상이 간접적으로 나타나는 목적어로서 동작이 이루어지는지를 나타낸다는 특징이 있다. 주로 직접 목적어 앞에 오고 수여동사 뒤에 위치하며 4형식 동사인 수여동사는 "~에게(I.O) ~을(D.O)주다" 라는 형..

영어/문법 2024.11.26

불규칙동사

불규칙동사영어에서 불규칙동사는 다른 규칙동사들과 다르게 과거형, 과거분사형이 규칙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동사이다.  배경대부분의 동사들은 과거, 과거분사형이 변칙적으로 변하는데 불규칙동사는 이 규칙을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불규칙동사는 한꺼번에 외우는건 추천하지 않고, 그때 그때 보면서 문장이나 예문등에 적용하여 익히는 것을 추천한다.  불규칙동사 종류I. 원형, 과거형, 과거분사형이 모두 다른 경우 (A - B - C형) 원형 (A)Base form과거형 (B)Past form과거분사형 (C)Past participle formIbewas / werebeenIIbeginbeganbegunIIIdodiddoneIVgo wentgoneVseesaw..

영어/문법 2024.11.25

영어 어순

영어 어순영어에서 어순은 문장 내 품사들이 나열되는 순서를 뜻한다.  배경영어의 경우 어떤 경우에도 주어가 생략되지 않고(한국어는 주어가 생략되거나 주어가 누구인지 애매한 경우가 많음), 영어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주어(Subject), 동사(Verb), 목적어(Object)의 순서를 따름으로서 한국어와는 어순이 반대인 것이 특징이다.  구조한국어 S + O + V    [주어 + 목적어 + 동사(서술어)]영어S + V + O    (주어 + 동사 + 목적어) 종류I. 평서문(Declarative sentence)평서문은 어떤 언어든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장 유형으로 있는 사실 그대로를 설명하는 문장이다. 평서문의 형태는 주어(S) + 동사(V) + 보어(C) 또는 목적어(O)로 나타난다.    예시해석I..

영어/문법 2024.11.24

대명사

대명사(Pronoun)영어의 대명사는 문장, 명사를 대신하는 단어로서 명사로 쓰이게(절도 대신 가능)된다는 특징이 존재하며, 또한 명사의 역할을 하기에 주어, 목적어 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배경계속적인 반복형태를 방지하여 헷갈리는 것을 줄이고, 표현을 좀 더 간결, 명확하게 하기위해 사용하는 것이 특징. 영어에서 대명사는 크게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소유대명사, 의문대명사, 재귀대명사, 관계대명사등으로 나뉜다.  역할, 기능예시인칭대명사사람, 장소, 사물등 지칭i,  you,  he,  she,  we,  us,  it,  they,  them지시대명사문장 내 특정 인물, 사물 지칭this,  that,  these,  those등..부정대명사불특정 대상을 지칭all, both, eve..

영어/문법 2024.11.23

접속사

영어 접속사(Conjunctions) 2개 이상의 단어나 구, 절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품사이며 크게 등위접속사, 종속접속사, 상관접속사등으로 나뉜다.  배경앞 뒤 문맥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 격변화(굴절어)등을 하지 않는 불변어로서 접속사로 연결된 두 문장은 깔끔하고 부드럽게 연결되면서 바뀌게 된다. 대신, 접속사로 연결시키되 어구는 문법상 같은구조로 만들어주어야 해석상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며 종류별로 등위접속사, 종속접속사, 상관접속사로 나뉜다. 접속사 종류I. 등위접속사(Coordinating Conjunctions)등위접속사는 문법적으로 동등한 규격(성분)의 단어, 구, 절을 연결하는 접속사를 일컫는다.  내용종류and,   but,   for,   or,   so,   yet 역할예시and단..

영어/문법 2024.11.22

완료시제

완료시제문장의 시간적 개념을 뜻하고 어떠한 행위가 어떤 행위를 하든 특정 시점에 완료하는 것을 뜻한다. 이를 쉽게 이야기하자면 어떤 행위가 끝났음을 말해주는 것으로서 시제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로 나뉘어진다. 범위형태과거 완료과거 이전부터 과거 시점까지had + p.p현재 완료현재 이전부터 현재 시점까지have/has + p.p미래 완료미래 이전(과거,현재,미래)부터 미래 시점까지will + have + p.p위의 표에서 문장형태에서 시제만 바꿔주면 된다. I. 현재완료과거에 시작된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칠 때 사용하며, 과거의 행위가 지속되어 현재에 끝났다거나 현재까지 이어지는 중이라면 이 표현을 쓰면 되며 완료, 경험, 계속,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현재 시제현재 완료 시제예시I make a ..

영어/문법 2024.11.21

능동태/수동태

능동태(Active voice)행위를 하는 주체의 시점에서 쓰여진 동사를 뜻하고 주어와 동사간의 관계가 능동적(행위의 주체가 어떠한 행위를 스스로 하는 모습)인 것을 말하며, 행위를 수행하는 주어를 강조하는게 특징이다. 능동태의 형식은 아래 표와 같다.  내용해석문장구조주어(S : Subject) + 동사(V : Verb) + 목적어(O : Objective)주어가 행동을 직접 수행함.S(은,는,이,가)  ~하다 예시해석I I drive the car.나는 차를 운전한다.IIHe holds a book.그는 책을 잡고있다.IIIThe man cleans the room.그 남자는 방을 청소했다.예시를 보면 알겠지만, 능동태의 문장에서는 동사(V)뒤에 목적어(O)가 오는것이 특징이다. 수동태(Passive..

영어/문법 2024.11.20

가쓰라-태프트 밀약

가쓰라-태프트 밀약(1905)1905년에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 일제의 대한제국 지배권을 상호 승인하는 회담내용을 담은 기록으로 1924년 세상에 알려지기까지 극비리에 진행된 밀약이다. 가쓰라-태프트 밀약은 일제 수상 가쓰라 다로(1848~1913)와 미합중국 전쟁부장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Wiliam Howard Taft, 1857~1930, 대통령재임1909~1913)사이에서 이루어졌다.  배경러일전쟁(1904~1905)이 끝나갈 무렵인 1905년 7월, 일본이 우위를 차지해 사실상 승리가 확정되던 시점에 전쟁으로 막대한 재정을 쏟은 일제는 대한제국의 보호권을 열강들로부터 확실하게 인정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였다. 당시 미국은 일제에 호의적인 입장(러시아의 남하정책을 매우경계한 미국)으로 마침..

조선의 붕당

붕당붕당은 정치적 사상, 이해관계에 따라 이루어진 당파집단을 일컫는다. 배경1560년대 외척으로서 권력의 정점을 찍던 훈구파 대신인 소윤 윤원형(1503~1565)이 1565년 누이인 문정왕후 윤씨(명종의 어머니, 1501~1565)가 서거함에 따라 몰락하고 사림이 다시 기용되면서 1567년 명종(1534~1567, 재위1545~1567)이 승하하고 재위에 오른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는 덕망이 높은 학자 집단인 사림을 대폭 기용하면서 문치주의형 정치를 이끌어가게 되면서 사림이 정계를 완전 주도하게 된다. 그러나 1575년 사림내에서 김효원(1542~1590)과 심의겸(1535~1587)사이에 막대한 권한을 가진 이조전랑의 임명문제로 인해 대립이 일어나게 되면서 김효원을 중심으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