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려사 33

김부식

김부식, 1075~1151  출생1075년 아버지 김근(?~?)과 미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고대 삼국시대의 역사를 정리한 [삼국사기]를 편찬한 대명사. 신라 29대 태종 무열왕(김춘추, 602~661, 재위654~661)의 후손으로서 김부식의 증조부인 김위영(?~?)이 고려 태조(왕건, 877~943, 재위918~943)가 935년 신라 수도 금성을 경주로 이름을 바꾼 뒤 김위영을 경주의 주장으로 삼았다고 [고려사]에 쓰여있다. 김부식은 과거 급제 이후 송나라에 사신으로 가게되어 6개월간 송나라 휘종(1082~1135, 재위1100~1125)의 대접을 받으며 [자치통감]을 가지고 고려로 돌아온다. 1122년 인종이 즉위하면서 외척인 이자겸(1050~1127)이 국정을 휘어잡고 전횡을 일삼다가..

서희

서희, 942~998  출생942년 출생지는 미상이며 아버지 종1품 내의령 서필(901~965)과 어머니 평양 황씨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서희의 외교담판으로 유명한 한국사 단골 등장인물. 993년 제1차 고려-거란 전쟁으로 요나라(거란) 동경유수 소항덕(소손녕, ?~996)이 대군(수치의견분분)을 이끌고 압록강 유역으로 쳐들어온다. 당시 고려 군주 성종(961~997, 재위981~997)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전선까지 나아가지만 첫 전투(봉산군 전투)에서 선봉장(윤서안)이 사로잡히고 예봉이 꺾이게 되면서 성종은 서경(현재의 평양)에 머물게된다. 대군의 위용에 고려 대신들 사이에서 항복을 하느냐, 할지를 하느냐(서경 이북의 땅을 떼어주고 국경을 새로이 설정하느냐?)등의 의견이 나오는데 할지론 쪽으로 의견이..

고려시대 품계

고려의 품계I. L'introduction고려의 품계는 조선의 품계와 차이가 조금 나는데, 고려 국조인 태조(877~943, 재위918~943)때 마련된 품계는 태봉의 품계를 참고했었고(9품16계, 문관무관 상관없이 모두적용, 명칭이 없었음) 이후 6대인 성종(961~997, 재위981~997)대 995년(성종14년)에 문치주의 국가인 북송(북송은 또한 당나라의 제도를 도입함. 문산계, 무사계)의 품계를 도입해 재편성되면서 정식 관작과 함께 품계로 활용이 된다. 성종은 15품을 만들고 이후 11대 문종(1019~1183, 재위1146~1183)대 1176년(문종30년)에 들어 29품으로 개편된다. 이후로는 문산계 개편정도만 이루어지다가 조선에 들어서 고려의 품계를 참고하여 다시 품계가 정비된다. II. ..

31대 공민왕

공민왕(Kongmin de Goryeo, 1330~1374, 재위1351~1374)출생1330년 아버지 충숙왕(1294~1339, 재위1313~1330, 1332~1339)과 어머니 공원왕후 홍씨(명덕태후, 1298~1380)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전'이며 몽골식 이름은 바얀테무르이다. 공민왕의 위로는 동복형 충혜왕(1315~1344, 재위1330~1332, 1339~1343)이 있다. 배경원나라 간섭기 군주로서, 고려 말기 혼란스러운 틈에서 개혁을 하고자한 개혁군주로 원나라 간섭기를 벗어나 1259년 이전의 자주성을 가진 고려로 돌리려고 시도했던 군주이다. 원 탈피 첫단계는 권문세족(친원)을 숙청하여 원과 고려의 권력연결고리를 끊는 거였고, 노비를 해방시키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해 악법으로 행한 불..

34대 공양왕(고려 최후의 군주)

공양왕(Gongyang de Goryeo, 1345~1394, 재위1389~1392)  출생1345년 아버지 정원부원군 왕균(?~?)과 어머니 국대비 왕씨(?~?)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요'이다. 공양왕은 고려 20대 신종(1144~1204, 재위1197~1204)의 7대손이다. 배경고려의 34대 군주이자 고려 최후의 군주이다. 창왕(1380~1389, 재위1388~1389)이 폐가입진(가짜왕을 몰아내고 진짜왕을 세운)으로 폐위되고 이성계(태조, 1335~1408, 조선재위1392~1398) 세력에 의해 34대 군주로 옹립된 인물로 우왕 창왕과는 다르게 부계모계 혈통모두 고려 왕실 혈통이자 몽고혼혈이 아닌 순수 고려인이였기에 혈통에 있어서는 충분히 그 힘이 입증되었고, 더욱이 왕요의 형 정양군 왕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