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122

척준경

척준경, ?~1144  출생출생미상. 아버지 척위공(?~?)과 미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고려의 소드마스터. 무반으로서 동여진 정벌에 공을 세운 이후로 윤관(1040~1111)의 눈에 띄어 윤관을 따라 다시 동여진 정벌에서 큰 공을 세워 지속적인 승진을 거듭해 인종(1109~1146, 재위1122~1144)대에 정2품에 해당하는 문하시랑평장사에 제수되기까지 하지만, 1126년 이자겸(1050~1127)과 함께 군사반란을 일으켜(이자겸의 난)궁을 난장판으로 만들어 권세를 부리다가 김찬, 안보린등이 인종에게 이자겸, 척준경을 제거할 것을 계획안을 상주하고 인종이 동의함에 따라 이자겸, 척준경 일파들이 제거되고 척준경은 인종의 부름을 받아 인종이 척준경을 달래고 이후 정지상()의 탄핵을받아 유배형에..

김부식

김부식, 1075~1151  출생1075년 아버지 김근(?~?)과 미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고대 삼국시대의 역사를 정리한 [삼국사기]를 편찬한 대명사. 신라 29대 태종 무열왕(김춘추, 602~661, 재위654~661)의 후손으로서 김부식의 증조부인 김위영(?~?)이 고려 태조(왕건, 877~943, 재위918~943)가 935년 신라 수도 금성을 경주로 이름을 바꾼 뒤 김위영을 경주의 주장으로 삼았다고 [고려사]에 쓰여있다. 과거 급제후 송나라에 사신으로 가게되어 6개월간 송나라 휘종(1082~1135, 재위1100~1125)의 대접을 받으며 [자치통감]을 가지고 고려로 돌아온다. 1122년 인종이 즉위하면서 외척인 이자겸(1050~1127)이 국정을 휘어잡고 전횡을 일삼다가 1126년(인..

최충헌

최충헌, 1149~1219 출생1149년 고려 개경 우봉군(현 황해도 금천군 우봉면)에서 아버지 최원호(우봉 최씨 시조, ?~?)와 어머니 진강국대부인 유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남.  배경100년간의 무신정권(1170~1270)에서 과반이 훨씬 넘는 기간인 62년간 유지된 무신 최씨정권의 시작을 여는 인물. 1196년 아우 최충수(1151~1197)와 함께 이의민(?~1196)을 죽여 정권을 장악한다. 1219년 사망할 때 까지 23년간 4명의 군주를 갈아치우는 절대 권력을 누린다.대수묘호생몰년도, 재위기간비고19명종1131 ~ 1202, 재위1170~11971197년 최충헌형제의 정변으로 폐위, 창락궁에 유폐20신종1144 ~ 1204, 재위1197~12041204년 희종에게 강제로 양위21희종118..

좌의정 맹사성

맹사성, 1360~1438  출생1360년(공민왕9년) 고려 양광도 온양(현 충남 아산시)에서 아버지 수문전제학 맹희도(?~?)와 어머니 흥양 조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남. 최영의 손녀사위이기도 하다.  배경조선전기 청백리의 상징적인 인물로 여겨지는 인물. 권근(1352~1409)의 문하생이며 1386년 문과 을과 장원급제후 춘추관검열에 임명된 이후 1392년 조선이 건국되었을 때 잠시 물러나지만 이내 복귀해 내, 외직을 겸하면서 후배들을 지도한다. 1386년(우왕12년) 관리가 되어 1438년 78세로(당시로선 매우 장수) 사망할 때 까지 52년동안 고려의 군주3명(우왕, 창왕, 공양왕)과 조선의 군주4명(태조, 정종, 태종, 세종)을 모신다. 관리1386년 문과 을과에 급제하면서 관리가 되지만 13..

도원수 권율

권율, 1537~1599출생1537년(중종31년) 조선 경기도 강화부(현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아버지 권철(1503~1578)과 어머니 창녕 조씨 사이에서 4남으로 태어남. 오성대감으로 알려진 이항복(1556~1618)의 장인이다. 배경행주대첩을 이끈 장본인. 무반이아닌 문반으로 출사한 인물이다. 찬성사 권근(1352~1409)의 5대손.  생몰년도품계, 직위, 기타6대조권근1352 ~ 1409종1품 찬성사5대조권제1387 ~ 1445종1품 우찬성고조할아버지권마? ~ ?정2품 이조판서, 권근의 4남증조할아버지권교? ~ ?종4품 양근군수할아버지권적1484 ~ 1560종3품 강화부사아버지권철1503 ~ 1578정1품 영의정본인권율1537 ~ 1599정2품 도원수임진왜란당시 55세의 나이로 광주목사, 중위장..

우의정 김명원

김명원, 1534~1602  출생1534년(중종28년) 아버지 김만균(?~1549)과 어머니 순흥 안씨 사이에서 2남2녀로 태어남.  배경퇴계 이황(1502~1571)의 문하생으로 수학했다. 1561년 관직에 진출한 이후부터 철저함을 갖춘 꼼꼼한 성격에 강직함까지 갖춰 행정업무에 있어서 빈틈이 없었고 다양한 요직들을 고루 거치며 1583년 니탕개의난, 1589년 발생한 정여립의 난으로 일어난 기축옥사를 잘 수습했다는 평을 받고,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도원수로서 방어임무를 맡지만 전투지휘에서는 크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한다.  관리김명원은 1558년 사마시에 합격해 성균관에 들어가서 수학한 뒤 1561년 식년문과 3위로 급제하면서 관리가 된다.  직위소속, 기타1561년식년문과 갑과 3위 ..

22대 영의정 황보인

황보인, 1387~1453, 영의정재임1451~1453  출생1387년 아버지 도평의밀직사 황보림(1333~1394)과 어머니 탐진 안씨[도원수 안우(?~1362)의 딸]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세종(1397~1450, 재위1418~1450), 문종(1414~1452, 재위1450~1452)대의 관리로 김종서(1383~1453)와 함께 4군6진 개척을 하고 김종서와 정분(1394~1454)과 함께 세종의 고명대신중 한명. 문종은 영의정(황보인, 1387~1453), 좌의정(남지, 1392~1453), 우의정(김종서, 1383~1453)에게 자신이 죽고나면 단종(1441~1457, 재위1452~1455)을 잘 보필하라는 문종의 유언을 받들지만 수양대군의 기습적인 정변인 계유정난으로 인해 김종서와 함께 살해당한..

서희

서희, 942~998  출생942년 출생지 미상, 아버지 종1품 내의령 서필(901~965)과 어머니 평양 황씨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서희의 외교담판으로 유명한 한국사 단골 등장인물. 993년 제1차 고려-거란 전쟁으로 요나라(거란) 동경유수 소항덕(소손녕, ?~996)이 대군(수치의견분분)을 이끌고 압록강 유역으로 쳐들어온다. 당시 고려 군주 성종(961~997, 재위981~997)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전선까지 나아가지만 첫 전투(봉산군 전투)에서 선봉장(윤서안)이 사로잡히고 예봉이 꺾이게 되면서 성종은 서경(현재의 평양)에 머물게된다. 대군의 위용에 고려 대신들 사이에서 항복을 하느냐, 할지를 하느냐(서경 이북의 땅을 떼어주고 국경을 새로이 설정하느냐?)등의 의견이 나오는데 할지론 쪽으로 의견이 굳어..

우의정 송시열

송시열, 1607~1689  출생1607년 충청도 옥천군에서 아버지 송갑조(1574~1628)와 어머니 곽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중기 성리학자. 17세기 당대의 성리학자로 칭송받으며 이름을 높였던 대가. 노론의 영수로서 조선 후기를 사실상 판가름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영향력이 큰 인물이였는데, 긍정적인 평가도 많지만 주로 부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룸. 당파 대립을 격화시켰다는 것과 지나치게 성리학적인 원리를 고집해 정작 조선의 현실에 제대로 적용하지 못했고, 강직한 성격에 군주들에게도 미움을 많이받았다. 나무가 너무 단단하면 끊어진댔던가, 1689년(숙종15년)에 일어난 기사환국으로 사사된다.  대가의 어린시절초명은 성뢰(성인이 주신 아들, 아버지 송갑조가 꿈속에서 공자와 제자들을 보았다하여)..

조만영

조만영, 1776~1846  출생1776년 아버지 조진관(1739~1808)과 어머니 남양 홍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남. 배경풍양 조씨가문으로 수대에 걸쳐 고위직이 배출되었다. 조만영의 조부는 정2품 조엄(1719~1777)으로,조선에 고구마를 들여온 인물이다. 노론 벽파 출신으로서 아버지 조진관은 정2품 판서직을 역임하면서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승하후 순조(1790~1834, 재위1800~1834)대에 들어 눈에 띈다. 조만영의 딸(추존 신정왕후)이 1819년 효명세자(추존 문조, 1809~1830)의 세자빈으로 입궁하게되고 이후 신정왕후가 이환(미래의 헌종, 1827~1849, 재위1834~1849)을 낳게되면서 조만영은 헌종이 1834년 즉위하게 되면서 왕실의 외척이 되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