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계유정난 9

사육신

사육신조선6대 단종(1441~1457, 재위1452~1455)의 복위를 도모하려다 발각되어 단종에 대한 충절을 다하다가 거열형을 당한 6명의 신하.  배경조선 초기 1456년(세조1년), 삼촌인 세조에 의해 1455년 폐위되어 상왕이 된 단종(1441~1457, 재위1452~1455)을 복위하려고 주도적으로 움직였던 6명의 신하(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위지, 유성원, 유응부)들을 말한다. 이들중 대부분은 집현전 출신의 문신들이였는데, 세조(1417~1468, 재위1455~1468)를 제거하고 상왕이 된 단종을 복위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자 연회에 참석하려는 세조를 살해할 계획을 세우는데, 이 모의가 발각되어 붙잡혀 심문을 당한 박팽년(1417~1456)으로부터 증거가 드러나게 된다. 우찬성 정창손(1..

행정기구/조선 2025.02.08

생육신

생육신조선7대 세조가 자신의 조카이자 주군인 조선6대 단종의 왕위를 1455년 찬탈하고 이에 분개하여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다시는 벼슬을 얻지 않고 끝까지 절개를 지킨 6명의 신하.  배경1453년(단종1년), 단종의 삼촌인 수양대군(7대 세조, 1417~1468, 재위1455~1468)이 조카 단종의 왕위를 빼앗는 절차를 밟고자 계유정난을 일으킨다. 이 때 단종을 지키던 정승 영의정 황보인(1387~1453) 좌의정 김종서(1383~1453)등을 암살하여 정권을 장악해버린다. 이에 집현전을 중심으로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대한 불만을 품은 자들이 많이 생겼고 집현전 출신 문신인 성삼문(1416~1456)을 중심으로 수십여명이 세조3부자[세조,  덕종(의경세자, 성종의 아버지), 예종]을 암살할 계획을 ..

28,40대 영의정 신숙주

신숙주, 1417~1475 영의정 재임기간주군28대 영의정1462. 06. 17 ~ 1466. 05. 31세조(1417~1468, 재위1455~1468)40대 영의정1471. 12. 04 ~ 1475. 07. 23성종(1457~1494, 재위1469~1494)출생1417년(태종17)년 조선 전라도 나주군 노안면에서 아버지 신장(1382~1433)과 어머니 나주 정씨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전기시대 대표적 학자, 세종(1397~1450, 재위1418~1450)대에 훈민정음 창제에도 공이 있는 인물. 동갑내기인 수양대군(미래의 세조, 1417~1468, 재위1455~1468)의 최측근이 되면서부터 1순위 공신으로서 오른팔로 활동하게 된다. 계유정난, 단종폐위사건에 직접 개입한 인물로서 한명회, 권람, 윤..

22대 영의정 황보인

황보인, 1387~1453, 영의정재임1451~1453 재임 기간군주22대 영의정1451. 11. 20 ~ 1453. 11. 10문종1년 ~ 단종1년  출생1387년(우왕13년) 아버지 도평의밀직사 황보림(1333~1394)과 어머니 탐진 안씨[도원수 안우(?~1362)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세종(1397~1450, 재위1418~1450), 문종(1414~1452, 재위1450~1452)대의 관리로 김종서(1383~1453)와 함께 4군6진 개척을 하고 김종서와 정분(1394~1454)과 함께 세종의 고명대신중 한명. 문종은 영의정(황보인, 1387~1453), 좌의정(남지, 1392~1453), 우의정(김종서, 1383~1453)에게 자신이 죽고나면 단종(1441~1457, 재위1452~1455..

계유정난

계유정난(1453)1453년(단종1년), 조선4대 임금인 세종의 둘째 아들 수양대군(세조, 1417~1468, 재위1455~1468)이 조카인 단종(1441~1457, 재위1452~1455)의 왕위를 찬탈하고자 황보인, 김종서, 정분등의 반대파를 숙청해 정권을 장악한 사건이다.  배경세종(1397~1450, 재위1418~1450)은 장남인 문종(1414~1452, 재위1450~1452)과 차남인 수양대군(미래의 세조, 1417~1468, 재위1455~1468)이 있었는데,  세종은 이미 둘째아들 수양대군의 야심이 후대에 영향을 미칠 것을 걱정했었고, 1450년에 적장자로서 왕위에 오른 5대 문종은 건강이 좋지않아 스스로 오래 살지 못할 것 이라는 것을 예견하면서 자신의 어린 세자 단종을 염려해 대신 3명..

30, 37대 영의정 한명회

한명회(Han Myeong-hoe, 1415~1487, 영의정 재임1466~1467, 1469)  출생1415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한기(1393~1429)와 어머니 여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계유정난(1453)을 통해 세조(1417~1468, 재위1455~1468)를 즉위시키는 데 앞장선 킹메이커로서, 문/무에 고루 재능이 있어 권신으로서 강력한 권력을 가져 정1품 영의정에도 오르고, 두 딸을 예종(1450~1469, 재위1468~1469)과 성종(1457~1494, 재위1469~1494)에게 시집보냄으로서 왕실의 외척세력까지 겸비하게 되면서 일인지하만인지상에도 모자라 국구(군주의 장인)의 자리까지 오르는 어마무시한 배경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큰 힘엔 큰 책임이 따른다고 했던가, 권력이 ..

6대 단종

단종(Danjong de Joseon, 1441~1457, 재위1452~1455) 전임 군주당시 재직 군주후임 군주프로필조선5대 임금문종1414~1452재위1450~1452조선6대 임금단종1441~1457재위1452~1455조선7대 임금세조1417~1468재위1455~1468출생1441년 조선 한성부 경복궁 자선당에서 아버지 문종(1414~1452, 재위1450~1452)과 어머니 현덕왕후 권씨(1418~1441)사이에서 태어난다.  배경아버지 문종의 이른 죽음으로 인해 이미 할아버지 세종(1397~1450, 재위1418~1450)때부터 단종을 염려해 집현전의 학사들에게 어린 단종을 부탁한다는 말을 반복하여 대부분은 세종의 뜻을 받들지만 그렇지 않은 쪽도 있었다. 결국 우려한대로 숙부인 수양대군(세조, ..

7대 세조

세조(Sejo de Joseon, 1417~1468, 재위1455~1468) 전임 군주당시 재직 군주후임 군주프로필조선6대 임금단종1441~1457재위1452~1455조선7대 임금세조1417~1468재위1455~1468조선8대 임금예종1450~1469재위1468~1469출생1417년 조선 한성부 충녕대군 사저에서 아버지 충녕대군(당시 세자, 세종, 1397~1450, 재위1418~1450)과 어머니 소헌왕후 심씨(1395~1446)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고 휘는 '이유'이다. 세조의 위로는 형 문종(1414~1452, 재위1450~1452)이 있다. 배경우리에게는 수양대군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고 문종의 동생, 안평대군(1418~1453), 금성대군(1426~1457)의 형이다. 단종의 숙부로 이후 계유정..

5대 문종

문종(Munjong, 1414~1452, 재위1450~1452) 전임 군주당시 재직 군주후임 군주프로필조선4대 임금세종1397~1450재위1418~1450조선5대 임금문종1414~1452재위1450~1452조선6대 임금단종1441~1457재위1452~1455  출생1414년 조선 한성부 충녕대군 사저에서 아버지 충녕대군(4대 세종대왕, Sejong le grand, 1397~1450, 재위1418~1450)과 어머니 소헌왕후 심씨(영의정 심온의 딸, La reine soheon, 1395~1446)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문종의 동복동생들로는 수양대군 이유(미래의 조선7대 세조, 1417~1468, 재위1455~1468), 안평대군 이용(1418~1453), 임영대군 이구(1420~1469), 광평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