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사건/조선 65

노량 해전

노량 해전, 1598. 12. 16(양력) 배경1598년(선조31년) 12월16일, 삼도수군통제사겸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을 포함한 조-명 연합수군 2만여명이 경상도 노량 앞바다(현재 경남 남해군 설천면)에서 왜군을 대파한 해전이다. 왜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1537~1598, 관백재위1585~1592, 태합재위1587~1598)가 노량해전이 터지기 3개월전인 1598년 9월 61세로 병사하면서 사기문제로 조선에 출병되어있던 왜군들에게는 태합의 죽음을 알리지 않고 비밀로 하였지만 곧 조선에 있던 왜병들에게 전달되고 철군명이 떨어짐에 따라 본국으로 철수준비를 하게 된다. 그러나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은 이들을 그냥 보낼 생각이 없었고 이에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1543~160..

용암포 사건

용암포 사건, 1903 배경1903년(고종39년, 광무6년) 국경지대인 압록강 하류지역인 용암포 일대를 러시아 제국이 불법적으로 무단점령, 그들이 시행하고자하던 벌채사업으로 불법점거한 용암포 일대의 벌채권까지 요구한 사건이다. 당시 대한제국은 1897년 고종(1852~1919, 조선재위1864~1897, 대한제국재위1897~1907)이 아관파천(1896~1897)이후 러시아 제국이 1896년 압록강 유역 삼림벌채권을 손에 쥐고, 이후로 계속 친러파가 득세하면서 벌어진 정책인 만한전진정책(러시아가 조선을 침략하기위해 추진한 정책)으로 점점 조선내 러시아의 힘이 커져가는데 그 정점을 찍은 사건이 용암포 사건이다. 러시아 제국은 불법으로 용암포를 무단점령하다 못해 대한제국 정부에게 이곳의 벌채권 조차까지 요..

1592년 7~8월 조선 바다 전투

1592년 조선 바다 전투  배경1592년(선조25년) 8월 14일 조선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을 상대로 승리한 전투인 한산도 대첩은 3달 이전 1592년 5월 임진왜란이 발발한 이후 동래가 점령당하고 파죽지세로 북진한 왜군은 충청도쪽에서 조선의 명장 신립(1546~1592)이 이끄는 기마부대를 탄금대에서 궤멸시켜버리고 이에 수도 한양까지 경로가 확보되게 되면서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가 북쪽 명나라 경계지역인 의주까지 몽진을 하게되는 사태까지 가버리면서 왜군은 육전에서는 사실상 승전을 거듭하며 육로는 확보하지만 조선 남해안 제해권에 있어서는 전라좌수사 이순신의 함대에 의해 일방적으로 패배하게 되면서 고전을 거듭하게 ..

명량 해전

명량 해전, 1597  배경1597년(선조30년)에 다시 재발한 정유재란 당시인 1597년 10월 26일(음력9월16일)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1545~1598)의 지휘를 받는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을 명량 해협에서 대파시킨다. 명량 해전 이전의 조선 수군은 1597년 8월 27일에 벌어졌던 칠천량 해전에서 당시 삼도수군통제사 원균(1540~1597)이 전임 통제사 이순신을 모함하여 능력도 되지않고 전략적 판단도 미숙함에도 불구하고 왜군이 부산에 집결했다는 소식에 조정의 공격 압박을 받아 준비도 별로 되지 않은상태에서 어찌저찌 출정하다가 지휘력 부족과 왜군의 교란작전에 휘말려 90%이상의 전선을 잃어버리고 도망가다가 전사한다. 이 소식을 들은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은 충격을 받고 어..

탄금대 전투

탄금대 전투, 1592   배경조선 중기 임진왜란(1592~1598)당시 임진왜란 초기인 1592년 6월 7일, 도순변사 신립(1546~1592)이 이끄는 조선군이 선봉부대인 왜1군 고니시 유키나가(1558~1600)가 이끄는 왜군에 의해 '전멸'을 당한 전투이다. 양측 군대규모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는데(조선군 1만6천가량, 왜군 1만 8천가량) 주병력이 조선은 활을쓰는 기병 이였고 왜는 조총으로 무장한 군사로 화력차이에서부터 이미 상대가 되지 않는 싸움에서 신립은 부하들의 작전모의에서도 평야전을 고집하여 보병으로 구성되었던 왜군을 쉽게 제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가 조총의 화력을 이기지못하고 돌격기병들을 모두 총탄에 날리고 화력에 밀리면서 왜군 기동부대에 의해 충주성이 점령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탄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