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사건 65

노량 해전

노량 해전, 1598. 12. 16 배경1598년(선조31년) 12월16일, 삼도수군통제사겸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을 포함한 조-명 연합수군 2만여명이 경상도 노량 앞바다(현재 경남 남해군 설천면)에서 왜군을 대파한 해전이다. 왜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1537~1598, 관백재위1585~1592, 태합재위1587~1598)가 노량해전이 터지기 3개월전인 1598년 9월 61세로 병사하면서 사기문제로 조선에 출병되어있던 왜군들에게는 태합의 죽음을 알리지 않고 비밀로 하였지만 곧 조선에 있던 왜병들에게 전달되고 철군명이 떨어짐에 따라 본국으로 철수준비를 하게 된다. 그러나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은 이들을 그냥 보낼 생각이 없었고 이에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1543~1607)과 이들..

용암포 사건

용암포 사건, 1903  배경1903년(고종39년, 광무6년) 국경지대인 압록강 하류지역인 용암포 일대를 러시아 제국이 불법적으로 무단점령, 그들이 시행하고자하던 벌채사업으로 불법점거한 용암포 일대의 벌채권까지 요구한 사건이다. 당시 대한제국은 1897년 고종(1852~1919, 조선재위1864~1897, 대한제국재위1897~1907)이 아관파천(1896~1897)이후 친러파가 득세하면서 벌어진 정책인 만한전진정책(러시아가 조선을 침략하기위해 추진한 정책)으로 점점 조선내 러시아의 힘이 커져가는데 그 정점을 찍은 사건이 용암포 사건이다. 이에 일제와 대영제국이 반발하여 대한제국 정부에 항의를 한다.  발단I. 아관파천1895년 일제는 청일전쟁 승리 이후 조선에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에 이르는데 거기다..

1592년 7~8월 조선 바다 전투

1592년 조선 바다 전투  배경1592년(선조25년) 8월 14일 조선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을 상대로 승리한 전투인 한산도 대첩은 3달 이전 1592년 5월 임진왜란이 발발한 이후 동래가 점령당하고 파죽지세로 북진한 왜군은 충청도쪽에서 조선의 명장 신립(1546~1592)이 이끄는 기마부대를 탄금대에서 궤멸시켜버리고 이에 수도 한양까지 경로가 확보되게 되면서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가 북쪽 명나라 경계지역인 의주까지 몽진을 하게되는 사태까지 가버리면서 왜군은 육전에서는 사실상 승전을 거듭하며 육로는 확보하지만 조선 남해안 제해권에 있어서는 전라좌수사 이순신의 함대에 의해 일방적으로 패배하게 되면서 고전을 거듭하게 ..

명량 해전

명량 해전, 1597  배경1597년(선조30년)에 다시 재발한 정유재란 당시인 1597년 10월 26일(음력9월16일)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1545~1598)의 지휘를 받는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을 명량 해협에서 대파시킨다. 명량 해전 이전의 조선 수군은 1597년 8월 27일에 벌어졌던 칠천량 해전에서 당시 삼도수군통제사 원균(1540~1597)이 전임 통제사 이순신을 모함하여 능력도 되지않고 전략적 판단도 미숙함에도 불구하고 왜군이 부산에 집결했다는 소식에 조정의 공격 압박을 받아 준비도 별로 되지 않은상태에서 어찌저찌 출정하다가 지휘력 부족과 왜군의 교란작전에 휘말려 90%이상의 전선을 잃어버리고 도망가다가 전사한다. 이 소식을 들은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은 충격을 받고 어..

탄금대 전투

탄금대 전투, 1592   배경조선 중기 임진왜란(1592~1598)당시 임진왜란 초기인 1592년 6월 7일, 도순변사 신립(1546~1592)이 이끄는 조선군이 선봉부대인 왜1군 고니시 유키나가(1558~1600)가 이끄는 왜군에 의해 '전멸'을 당한 전투이다. 양측 군대규모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는데(조선군 1만6천가량, 왜군 1만 8천가량) 주병력이 조선은 활을쓰는 기병 이였고 왜는 조총으로 무장한 군사로 화력차이에서부터 이미 상대가 되지 않는 싸움에서 신립은 부하들의 작전모의에서도 평야전을 고집하여 보병으로 구성되었던 왜군을 쉽게 제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가 조총의 화력을 이기지못하고 돌격기병들을 모두 총탄에 날리고 화력에 밀리면서 왜군 기동부대에 의해 충주성이 점령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탄금..

임오군란

임오군란, 1882  배경1882년(고종18년), 훈련도감의 병사들이 매달 선혜청 관할인 도봉소()에서 지급받는 녹봉인 쌀의 양이 절반으로 줄은 것도 모자라 쌀에 모래와 겨가 섞인채로 지급됨에 따라 병사들이 폭동을 일으킨다. 이들은 이러한 불이익에 지급담당관이 선혜청 소속 민겸호(명성황후 친척오빠이자 고종의 외삼촌, 1838~1882)만 믿고 오히려 적반하장 태도로 나오게 되면서 병사들이 난을 일으킨 것이다. 이를 도봉소에서 일어난 사건이라 하여 도봉소 사건이라고도 한다. 이 사건이 터지자 선혜청 민겸호는 병사들에 대한 체포령을 내려 주동자들을 체포하고 포도청에 일임한다. 난에 참여했던 병사들은 체포된 병사들을 위한 탄원서를 작성하지만, 흥인군 이최응(1815~1882)이 고종(1852~1919, 조선재..

을해옥사

을해옥사(나주괘서사건, 윤지의 난), 1755   배경을해년인 1755년(영조31년), 소론이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난을 일으킨다. 을해옥사 또는 나주괘서사건이라고도 불리는 이 사건은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가 즉위 초기부터 공표한 정책인 탕평책에서부터 발생한 문제이다. 영조가 즉위하기 전 연잉군시절, 아버지 숙종(1661~1720, 재위1674~1720)치세 후기에 후계자 자리를 놓고 세자(경종)를 지지하던 소론과 연잉군을 지지하던 노론간에 다툼이 본격화되게 되는데 첫 고름은 경종이 즉위하고 연잉군이 세제로 책봉되고 난 1년 후 1721년 급진 노론세력이 세제에게 대리청정을 하려는 무리수에 소론 김일경(1662~1724)과 목호룡(1684~1724)이 신임옥사를 주도하게 되면서..

녹둔도 사건

녹둔도 사건, 1587   배경1587년(선조20년) 동북방 여진족이 조선령 녹둔도를 습격한 사건이다. 녹둔도는 두만강 하구에 위치한 함경도 경흥부(현재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하산스키군)에 위치했던 섬이였는데, 1430년(세종12년) 세종(1397~1450, 재위1418~1450)이 6진(경원, 경흥, 부령, 온성, 종성, 회령)을 개척하면서 조선의 영토가 된 지역이였다. 조선령이 된 지 150년이 지난 1583년(선조16년), 녹둔도에 주둔해있던 부사 원호(1533~1592)는 군량이 부족하게 되면서 둔전을 설치하여 군량을 해결하고자하여 둔전을 설치하였고 당시 녹둔도 조산만호 이순신(1545~1598)에게 둔전을 관리토록 하였다. 그 와중인 1587년(선조20년)이순신이 둔전의 곡식을 추수하는 ..

정암진 전투

정암진 전투, 1592  배경임진왜란(1592~1598)이 발발한지 2개월이 지난 1592년 7월, 경상도 의령 출신 의병장 곽재우(1552~1617)을 중심으로 뭉친 50여명의 의병들과 왜6군 선봉 지휘관 안코쿠지 에케이(1539~1600)의 2천병력을 기습해 패퇴시킨 전투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파죽지세로 북진하던 왜군들은 곡창지대인 전라도를 제외하고 모든 지역을 빼앗았었는데 왜군들의 보급 입장에서도 수로를 통한 보급보다 육로를 통한 보급이 더 수월하고 안전했기에 곡창지대인 전라도를 점령하기 위해 왜6군을 경상도 의령지역으로 보낸다. 그러나 경상도 의령 출신인 의병장 곽재우는 이를 가만 두고 볼 수 없어 수십명의 의병들을 규합시켜 왜6군 선봉장 안코쿠지 에케이가 이끄는 2천 병력을 기습하기위해 정암..

칠천량 해전

칠천량 해전, 1597   배경원균(1540~1597)의 패작. 1597년 7월 15일(선조30년), 칠천량에서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시마즈 요시히로(1535~1619)가 이끄는 왜 수군에 의해 대패한다. 당시는 1597년 3월에 왜와 명나라간 교섭이 결렬되면서 다시 전투가 벌어지게 된다. 이를 정유재란(1597~1598)이라 한다.왜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1537~1598, 관백재위1585~1592, 태합재위1587~1598)가 명나라와의 교섭이 결렬되고 다시 조선 하삼도(경상도, 전라도, 충청도)를 공격하여 점령하라는 명을 내리는데, 육로를 내어주지 않는 조선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수로로 보급품을 전달하여야 했는데 그러자니 이순신(1545~1598)이 걸렸다. 그러나 이순신은 뜻..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