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위급 귀족 & 관리 73

172대 영의정 김상로

김상로, 1702~1766 재임기간군주172대 영의정1759. 06. 01 ~ 1760. 11. 211759년(영조35년) ~ 1760년(영조36년)  출생1702년(숙종28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대제학 김유(1653~1719)와 어머니(송박의 딸)사이에서 5남으로 태어남.  배경서인 출신의 노론 벽파의 수장격 인물. 사도세자(1735~1762)에 대한 처벌을 강력하게 주장했던 인물로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의 동조를 얻어 김귀주(1740~1786), 홍계희(1703~1771), 홍인한(1722~1776)등과 함께 공격에 참여하여 사도세자를 사망케 했다. 이후 영조가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고간 것을 후회하면서 김상로는 세자의 사부이자 영의정으로서의 역할을 게을리 했다는 것에 ..

정약용

다산 정약용, 1762~1836출생1762년(영조38년) 조선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서 아버지 정재원(1730~1792)과 어머니 해남 윤씨 사이에서 태어남. 호는 다산. 배경명실상부 다재다능의 끝판왕. 어릴적부터 학문에 관심이 많아 아버지 정재원을 따라 다니면서 학문을 연마하고 성호 이익(1681~1763)의 학문을 계승하여 실학 사상의 근간을 갖추게 된다.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와의 기가막힌 콤비로 유명하다. 부교(배다리)를 생각해내어 사도세자(1735~1762)의 묘인 영우원을 양주에서 수원 화산으로 성공적으로 옮기게 하고, 수원 화성 건립때 총 공사기간을 단축시킨 거중기를개발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천주교와 연관되어있던 집안배경과 ..

좌의정 김종수

김종수, 1728~1799출생1728년(영조4년) 조선 한성부 미장동(현 서울시 종로구)에서 아버지 김치만(1697~1753)과 어머니 풍산 홍씨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후기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시기 좌의정을 역임한 대신. 정조의 세손시절 스승으로서 김종수는 노론 벽파(세손 제거 당론)였지만 당론에 반하여 세손을 지켜주는 쪽의 입장을 취하고 노론 내에서도 강경파에 속하던 벽파들과 대립하고 그들을 멀리하고 청명당파에 가담하는 행보를 보여준다. 이로인해 이후 1776년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 승하후 정조가 즉위하고 나서 정조의 최측근의 일원으로서 노론 청명파의 영수가 되고 좌의정에까지 이른다.   집안1728년 진사를 지낸 아버지 김치만(1697~175..

208대 영의정 채제공

채제공, 1720~1799, 영의정재임1793.07~1793.07(총9일 재임)출생1720년(숙종46년) 조선 충청도 홍주목(현재 충남 홍성군 홍성읍)에서 아버지 채응일(1686~1764)과 어머니 연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후기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시기 영의정을 역임한 문신으로, 1735년(영조11년) 향시 급제, 1743년(영조19년)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면서 관리가 된다.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의 재위기간 52년간에 걸쳐 다양한 요직들을 두루 거치면서 승진을 거듭하는데, 1760년대 들어 영조와 사도세자(1735~1762)간의 사이가 급속도로 나빠지면서 세자폐위의 그림자가 짙어질 때 채제공이 죽음을 무릅쓰고 이를막아 철회시켜 사도세..

174,176,180대 영의정 홍봉한

영의정 홍봉한, 1713~1778 재임기간재임기간 군주174대 영의정1761. 10. 24 ~ 1762. 06. 23 영조37년 ~ 영조38년176대 영의정1763. 07. 06 ~ 1766. 10. 15영조39년 ~ 영조42년180대 영의정1768. 12. 11 ~ 1770. 02. 05영조44년 ~ 영조46년출생1713년 조선 한양에서 아버지 홍현보(1680~1740)와 어머니 풍천 임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사도세자(1735~1762)의 부인인 세자빈 홍씨(혜경궁 홍씨, 1735~1816)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장인인 인물이자 영의정을 역임한 인물이며 조선14대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의 5대손(선조의 딸 정명공주의 4세손)이다. 1735년(영조11년) 생원시, 1736년..

혜경궁 홍씨(헌경왕후)

혜경궁 홍씨, 헌경왕후, 1735~1816   출생1735년 조선 한성부 반송방에서 아버지 영의정 홍봉한(1713~1778)과 어머니 한산 이씨 사이에서 태어남. 사도세자 이선(추존 장조, 1735~1762)의 세자빈이자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의 모후. 배경정조의 어머니이자 사도세자의 세자빈으로서 생전 사도세자가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사망했기에 왕비가 되진 못한다. 시아버지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승하 후 아들 정조가 왕위에 오르고 난 뒤 혜경궁이라는 궁호가 내려져서 익숙하게 불려온다. 1743년(영조19년) 사도세자의 세자빈으로 간택되고, 1744년(영조20년) 사도세자와 가례를 올리고 세자빈에 책봉된다. 1750년 의소세손 이정(1750~1752)과 1..

밀풍군

밀풍군,  1698~1729  출생1698년 아버지 임창군 이혼(1663~1724)과 어머니 응천군부인 밀양 박씨(?~1721)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인조(1595~1649, 재위1623~1649)의 장남인 소현세자(1612~1645)의 증손자이자 소현세자의 3남 경안군(1644~1665)의 손자. 소현세자의 자손들은 소현세자 사후 현종(1641~1674, 재위1659~1674)대에 들어서 경안군이 복권된 이후 여러 군주들을 거쳐서 왕실의 대우를 받고 잘 지내온다. 밀풍군 이탄역시 왕실의 큰어른으로서 여유로운 생활과 함께 잘 지내고 있었는데, 이인좌-정희량의 난이 벌어질 때 이인좌(1695~1728)에 의해 밀풍군을 왕으로 옹립하려 한 것이 오히려 독이 되어버리면서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정통성으..

홍국영

홍국영, 1748~1781    출생1748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홍낙춘()과 어머니 우봉 이씨 사이에서 1남1녀중 첫째로 태어남. 여동생은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의 후궁이 되는 원빈 홍씨(1766~1779). 배경19세기 조선 세도정치 이전의 세도 정치가. 1772년(영조48년) 정시 문과 병과 11위로 급제하면서 관직에 들어오게 되는데,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를 보좌하는 사관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영민하고 눈치가빠른 24세의 젊은 홍국영은 영조의 눈에 띄게 되면서 총애를 받고 1774년 동궁(세자)시강원 설서로 임명되면서 당시 세손이였던 이산(미래의 정조)과 가까워진다. 2년뒤 1776년 영조가 승하하고 정조(1752~1800, 재위177..

정후겸

정후겸, 1749~1776   출생1749년(영조25년) 경기도 인천도호부 제물포에서 아버지 정석달(1720~?)과 어머니 전주 이씨사이에서 태어남. 양부는 정치달(1732~1757)이고 양모는 영조의 서녀인 화완옹주(1738~1808)이다.  배경조선 후기 영조시대(재위1724~1776)때 외척, 권신. 평민 출신이였지만 정치달(화완옹주의 부군)의 양자가 되면서 화완옹주의 양자 자격으로 관직에 오른 인물이다. 이로인해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의 총애를 받고 1764년(영조40년) 종8품에 해당하는 장원서 봉사직에 오르고 이후 줄곧 승진하여 1767년(영조43년) 정6품 홍문관 수찬, 1768년(영조44년) 불과 만19세의 나이로 정3품 상계 승정원 좌승지가 되면서 당상관에 오른 ..

김일경

김일경, 1662~1724  출생1662년 아버지 김하중(1656~1698)과 어머니 안동 권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중기 소론 강경파 중신. 숙종(1661~1720, 재위1674~1720), 경종(1688~1724, 재위1720~1724)등을 모셨던 신하로 1721년(경종1년)경종이 병약하다는 이유로 노론 정권(친 연잉군)에서 세제 연잉군(미래의 영조)가 대리청정을 실시하게 함을 김일경이 반대하면서 노론탄압에 앞장선다. 그 결과 1721~1722년까지 2년간의 신임옥사(1721년 신축년+1722년 임인년 앞글자 따서)로 노론 4대신(김창집, 이이명, 조태채, 이건명)을 포함해 수백명의 노론을 처형시키고 유배보내게 되면서 노론이 실각하고 소론이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신임옥사 이후 2년뒤 1724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