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성종 6

비융사

비융사, 1500~1504비융사는 조선10대 임금 연산군(1476~1506, 재위1494~1506)4년인 1500년, 철제 전투용품을 생산하기위해 설치된 특별임시관서이다.  배경조선 중기로 넘어갈 시점인 1500년(연산군6년), 갓 영의정에 등극한 훈구파 한치형(1434~1502, 영의정재임1500~1502)이 건의해 창설된 군수품을 제조(철갑옷, 투구등)하는 특별기관인 비융사가 설치되게 된다. 당시 군사들은 가죽으로 만든 갑옷과 투구 거기다 모자라 종이로 만든 갑옷등을 입어 전투에 임하는등 방어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이에 한치형이 비융사 설치를 건의하여 철제 갑옷과 투구를 제조하여 군사들에게 면포를 내고 구입해 입도록 하게 한다. 그러나, 연산군(1476~1506, 재위1494~1506)과의 갈등과..

행정기구/조선 2025.01.21

예문관, 교서관

예문관과 교서관예문관은 조선시대(1392~1910)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이며 예조의 속아문으로 국왕의 말이나 명령을 담은 문서를 작성또는 담당하던 관서이다. 교서관은  책을 만들고, 제사관장, 축하연등을 관장하는 기관으로서 1393년(태조1년)에 만들어진 기관으로 초기이름은 교서감이였다.  I. 예문관 배경I-1. 역사고려시대때 예문춘추관이 1325년(충숙왕12년)에 춘추관과 분리되면서 예문관으로 불리다가, 1356년(공민왕5년) 한림원으로 재개칭(이전에도 한림원으로 썼음), 1362년(공민왕11년)에 예문관으로 바꿨다가 1389년(공양왕 원년)에 춘추관과 다시 합해져 예문춘추관으로 개편되면서 조선건국이후에도 이어졌다. 1392년 조선 건국 이후 1401년(태종1년)에 다시 춘추관과 분리되면서 예문관으..

행정기구/조선 2024.11.07

무오사화

무오사화(1498)1498년(연산군4년)에 훈구파가 사림파를 숙청한 사건. 김종직(1431~1492)이 쓴 '조의제문'이 성종실록이 편찬될 때 사초(자료)로서 편찬 위원장이던 이극돈(1435~1503)이 이를 발견하고, 같이 편찬위원으로서 활동하던 김일손(1464~1498)이 작성한 사초역시 본인 이극돈에 관련된 비리까지 들어갔었다. 이극돈은 이 부정적인 내용들을 연산군(1476~1506, 재위1494~1506)에게 보고해 분노한 연산군이 이를 근거로 사림파를 대거 숙청한 사건이다. 배경성종(1457~1494, 재위1469~1494)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세조의 장남인 의경세자(추존 덕종, 1438~1457)의 적차남이였던 잘산군(성종)은 원래 왕위계승서열에 조금 떨어져 있었는데(계승서열 3위. 1위는 ..

김맹성(조선)

김맹성(Kim maengseong, 1437~1487)   출생1437년 조선 경상도 성주(현 경북 성주 가천면)에서 아버지 김준례와 어머니 순흥 안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초기 사림파의 대표격인 인물로 김종직(1431~1492)의 문하에서 1452년부터 수학했으며 1476년 늦은나이인 39세에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면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초년1452년 15세가 되던 무렵에 6살많은 스승인 김종직(1431~1492)의 문하에 들어가게 되는데 처음엔 개령 감문산(현 경북 김천시 개령면 감문산)에 들어가서 수학하고 이후엔 직지사(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에 들어가 수학한다. 스승 김종직의 마음에 쏙 들던 제자로서 그 총명함이 스승을 감복시켰다 한다. 후일 스승 김종직의 둘째아들이 본인의 딸과..

김종직

김종직(Kim Chong-jik, 1431~1492)출생1431년 조선 경상도 밀양도호부(현 경남 밀양시)에서 아버지 강호 김숙자(1389~1456)와 어머니 밀양 박씨(박홍신의 딸,1400~1479)사이에서 3남2녀중 막내로 태어났다. 배경조선 초기 성리학자로 사림(전원의 산림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집단)의 영수이다. 영남학파의 종조가되는 대제학으로서 이름을 날리는 인물로서 '조의제문'으로 세조를 비판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이 조의제문으로 1492년 사후 6년이 지난 1498년 무오사화때 부관참시 당한다.  초년경상도 곳곳에서 수령과 교수직을 역임했던 아버지 김숙자(야은 길재 문하생)밑에서 수학하면서 외할아버지 박홍신(1373~1419)의 든든한 재력을 물려받아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한 김종직은 시를..

6대 성종(고려)

성종(Seongjong de Goreyo, 961~997, 재위981~997)  출생961년 고려 개경 내천왕사에서 아버지 대종 왕욱(추존왕, 왕건의 아들, ?~969)과 어머니 선의왕후(추존왕후, ?~?)사이에서 태어난다. 배경981년 경종(955~981, 재위975~981)이 자신의 아들 왕송(목종, 980~1009, 재위997~1009)을 대신해 사촌동생인 왕치(성종, 961~997, 재위981~997)에게 왕위를 양위하게 된다. 치세기간동안 거란족의 침략 효과적 방어(서희 외교담판), 불교정책에 반한 유교적 통치, 봉건제도 확립, 행정개혁등으로 나름 개혁적인 성향을 가진 군주로서 그 업적이 많아 사후 묘호가 성종이라 조선의 성종과 닮은 점이 많다. 즉위경종이 성종에게 왕위를 양위함에 앞서, 성종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