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오사화 5

44대 영의정 노사신

노사신, 1427~1498 재임기간군주44대 영의정1495. 04 ~ 1495. 10연산군1년  출생1427년(세종9년) 아버지 노물재(?~1446)와 어머니 청송 심씨(소헌왕후의 여동생)사이에서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배경외가쪽으로는 세종대왕(1397~1450, 재위1418~1450)의 처조카, 영의정 심온(1375~1419)의 외손자(노사신의 어머니가 소헌왕후의 여동생)이기도 하고, 친가쪽으로는 할머니가 여흥 민씨로서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의 왕후 원경왕후(1365~1420)의 여동생으로 이중 사돈인 셈으로 혈통으로 치면 친가와 외가모두 왕실과 연결된 셈이였다. 노사신은 훈구파의 원로격으로 조선 6대 임금 단종대에 급제해 7대 세조, 8대 예종, 9대 성종, 10대 연산군대까지..

무오사화

무오사화(1498)1498년(연산군4년)에 훈구파가 사림파를 숙청한 사건. 김종직(1431~1492)이 쓴 '조의제문'이 성종실록이 편찬될 때 사초(자료)로서 편찬 위원장이던 이극돈(1435~1503)이 이를 발견하고, 같이 편찬위원으로서 활동하던 김일손(1464~1498)이 작성한 사초역시 본인 이극돈에 관련된 비리까지 들어갔었다. 이극돈은 이 부정적인 내용들을 연산군(1476~1506, 재위1494~1506)에게 보고해 분노한 연산군이 이를 근거로 사림파를 대거 숙청한 사건이다. 배경성종(1457~1494, 재위1469~1494)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세조의 장남인 의경세자(추존 덕종, 1438~1457)의 적차남이였던 잘산군(성종)은 원래 왕위계승서열에 조금 떨어져 있었는데(계승서열 3위. 1위는 ..

김일손

김일손(Kim il son, 1464~1498)  출생1464년 조선 경상도 청도군에서 아버지 김맹(1410~1483)과 어머니 용인 이씨 사이에서 3남중 막내로 태어났다.  배경1498년 스승인 김종직(1431~1492)이 쓴 조의제문으로 인한 발단으로 일어난 무오사화로 처형을 당하는 인물이다.  초년1471년 아버지 김맹이 예문관 봉교(정7품)로 부임하면서 큰형 김준손(1454~1508), 작은형 김기손(1456~1493)과 함께 옥수정사에서 학문을 배웠다고 전해지며, 1478년(성종9년) 14세가 되던 무렵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김일손의 아버지 김맹(1410~1483)은 종3품 사헌부 집의까지 오르는 중신이였는데, 1480년 아버지 김맹이 노환으로 병져누우면서 고향인청도로 가족모두가 내려가..

김굉필

김굉필(Kim Koeng-pil, 1454~1504)  출생1454년 조선 한성부 정동에서 아버지 김유(?~1487)와 어머니 청주 한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전기의 유학자로서 한훤당이라는 호로 더 잘알려진 인물로서 1474년 함양군수로 있던 김종직(1431~1492)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인연이 된다. 소학동자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소학에 심취했었으며 말년에 두번의 거친 사화(무오, 갑자)로 인해 그 운명을 달리하는 인물이다.  초년할아버지가 조선의 개국공신인 조반(1341~1401)의 사위가 되어 한성부 정동에서 살게 되면서 김굉필이 이곳에서 태어나게 된다. 보통의 시기보다 늦은 수학시기(20세)를 가지는데, 20세인 1474년 김종직(1431~1492)의 문하에 수학하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10대 연산군

연산군(Yeonsangun, 1476~1506, 재위1494~1506)  출생1476년 조선 한성부 경복궁 강녕전에서 아버지 성종 이혈(1457~1494, 재위1469~1494)과 어머니 폐비 윤씨(1455~1482, 1479년 폐위)사이에서 태어났고 본명은 이융이다. 배경성종의 장자로서 7살이되던 1483년 세자에 책봉되고 군주가 되기위한 기초교육을 받기 시작하는데, 배움에 별로 관심이 없던 연산군이라 되려 왜 이런걸 해야하느냐 라고 따지고, 성격도 난폭해서 어릴적부터 신하들이 매우 대하기 힘든 세자로서 성장하게 된다. 즉위아버지 성종이 1494년 서거하면서 연산군이 조선 10대 국왕으로서 즉위하게 된다. 처음부터 난폭하게 굴었던 건 아니고 즉위 초반기에는 나름 살기 어려운 백성들의 생활에 신경도 많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