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의 군주/고려의 군주 35

고려 왕조 왕 계보

고려 왕조 왕 계보고려 왕조는 중세 한국을 통치한 왕조로 918년 7월 30일 송악 호족이자 태봉국 시중(총리)인 왕건(고려 태조, 太祖, 877~943, 재위918~943)이 태봉국 군주 궁예(弓裔, 869~918, 재위901~918)를 4기장(신숭겸, 복지겸, 배현경, 홍유)등과 함께 거병을 일으켜 몰아내고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고려(高麗)'로 한다. 고려 태조가 고려를 세운 이후에는 후백제 왕 견훤(甄萱, 867~936)과 대립하며 공산 전투(927.11.xx)에서 호족의 배신등으로 후백제군에 대패하고 대위기를 겪지만 3년뒤 고창 전투(929~930)에서 후백제군을 대파하고 견훤이 935년 태자 신검(神劍, 885~?, 재위935~936)에 의해 쫓겨나고 금산사(현재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사)..

31대 공민왕

공민왕(Kongmin de Goryeo, 1330~1374, 재위1351~1374)출생1330년 아버지 충숙왕(1294~1339, 재위1313~1330, 1332~1339)과 어머니 공원왕후 홍씨(명덕태후, 1298~1380)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전'이며 몽골식 이름은 바얀테무르이다. 공민왕의 위로는 동복형 충혜왕(1315~1344, 재위1330~1332, 1339~1343)이 있다. 배경원나라 간섭기 군주로서, 고려 말기 혼란스러운 틈에서 개혁을 하고자한 개혁군주로 원나라 간섭기를 벗어나 1259년 이전의 자주성을 가진 고려로 돌리려고 시도했던 군주이다. 원 탈피 첫단계는 권문세족(친원)을 숙청하여 원과 고려의 권력연결고리를 끊는 거였고, 노비를 해방시키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해 악법으로 행한 불..

34대 공양왕(고려 최후의 군주)

공양왕(Gongyang de Goryeo, 1345~1394, 재위1389~1392)  출생1345년 아버지 정원부원군 왕균(?~?)과 어머니 국대비 왕씨(?~?)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요'이다. 공양왕은 고려 20대 신종(1144~1204, 재위1197~1204)의 7대손이다. 배경고려의 34대 군주이자 고려 최후의 군주이다. 창왕(1380~1389, 재위1388~1389)이 폐가입진(가짜왕을 몰아내고 진짜왕을 세운)으로 폐위되고 이성계(태조, 1335~1408, 조선재위1392~1398) 세력에 의해 34대 군주로 옹립된 인물로 우왕 창왕과는 다르게 부계모계 혈통모두 고려 왕실 혈통이자 몽고혼혈이 아닌 순수 고려인이였기에 혈통에 있어서는 충분히 그 힘이 입증되었고, 더욱이 왕요의 형 정양군 왕우(..

33대 창왕

창왕(Chang de Goryeo, 1380~1389, 재위1388~1389)  출생1380년 고려 개경에서 아버지 우왕(1365~1389, 재위1374~1388)과 어머니 근비 이씨(우왕의 1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창'이다. 배경1388년 위화도회군 사건 직후 아버지 우왕이 폐위되고 강화도로 추방되면서 이성계, 조민수, 이색의 추천으로 공민왕의4비인 정비 안씨(?~1428)에 의해 즉위하게 되며 당시 나이는 8세였다. 신진사대부들에 의해 정국이 끌려다니면서 시달리다가, 아버지 우왕을 강화도에서 여흥(경기 여주시)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아버지와 자주 내통하여 아버지 우왕을 복위시키려는 계획에 가담한 사실이 신진사대부에 의해 걸리게 되면서 이후 폐위되어 아버지 우왕과 같이 사사당하는 비운의 ..

32대 우왕

우왕(U de Goryeo, 1365~1389, 재위1374~1388)  재위1365년 고려 개경부에서 아버지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과 어머니 반야(?~1376)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인 반야의 가계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원래 신돈(1323~1371)의 노비였던 반야의 혈통을 한씨의 자식이라고 선언한다. 본명은 왕우(궁에 들어온이후) 또는 모니노(초명, 석가모니+종)이다.  배경1374년 아버지 공민왕이 홍륜과 자제위(젊고 외모가 출중한 청년으로 하여금 공민왕에게 시중을 들게 한 기관)에 의해 시해당하면서, 권신 이인임(1312~1388)의 추대를 받아 우왕이 즉위하게 된다. 격변하는 고려 내, 외 속에서 정통성논란에 시달려 복잡한 정치문제와 왜 침입등 다양한 사건에 마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