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의 군주/고려의 군주 34

31대 공민왕

공민왕(Kongmin de Goryeo, 1330~1374, 재위1351~1374)출생1330년 아버지 충숙왕(1294~1339, 재위1313~1330, 1332~1339)과 어머니 공원왕후 홍씨(명덕태후, 1298~1380)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전'이며 몽골식 이름은 바얀테무르이다. 공민왕의 위로는 동복형 충혜왕(1315~1344, 재위1330~1332, 1339~1343)이 있다. 배경원나라 간섭기 군주로서, 고려 말기 혼란스러운 틈에서 개혁을 하고자한 개혁군주로 원나라 간섭기를 벗어나 1259년 이전의 자주성을 가진 고려로 돌리려고 시도했던 군주이다. 원 탈피 첫단계는 권문세족(친원)을 숙청하여 원과 고려의 권력연결고리를 끊는 거였고, 노비를 해방시키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해 악법으로 행한 불..

34대 공양왕(고려 최후의 군주)

공양왕(Gongyang de Goryeo, 1345~1394, 재위1389~1392)  출생1345년 아버지 정원부원군 왕균(?~?)과 어머니 국대비 왕씨(?~?)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요'이다. 공양왕은 고려 20대 신종(1144~1204, 재위1197~1204)의 7대손이다. 배경고려의 34대 군주이자 고려 최후의 군주이다. 창왕(1380~1389, 재위1388~1389)이 폐가입진(가짜왕을 몰아내고 진짜왕을 세운)으로 폐위되고 이성계(태조, 1335~1408, 조선재위1392~1398) 세력에 의해 34대 군주로 옹립된 인물로 우왕 창왕과는 다르게 부계모계 혈통모두 고려 왕실 혈통이자 몽고혼혈이 아닌 순수 고려인이였기에 혈통에 있어서는 충분히 그 힘이 입증되었고, 더욱이 왕요의 형 정양군 왕우(..

33대 창왕

창왕(Chang de Goryeo, 1380~1389, 재위1388~1389)  출생1380년 고려 개경에서 아버지 우왕(1365~1389, 재위1374~1388)과 어머니 근비 이씨(우왕의 1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창'이다. 배경1388년 위화도회군 사건 직후 아버지 우왕이 폐위되고 강화도로 추방되면서 이성계, 조민수, 이색의 추천으로 공민왕의4비인 정비 안씨(?~1428)에 의해 즉위하게 되며 당시 나이는 8세였다. 신진사대부들에 의해 정국이 끌려다니면서 시달리다가, 아버지 우왕을 강화도에서 여흥(경기 여주시)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아버지와 자주 내통하여 아버지 우왕을 복위시키려는 계획에 가담한 사실이 신진사대부에 의해 걸리게 되면서 이후 폐위되어 아버지 우왕과 같이 사사당하는 비운의 ..

32대 우왕

우왕(U de Goryeo, 1365~1389, 재위1374~1388)  재위1365년 고려 개경부에서 아버지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과 어머니 반야(?~1376)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인 반야의 가계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원래 신돈(1323~1371)의 노비였던 반야의 혈통을 한씨의 자식이라고 선언한다. 본명은 왕우(궁에 들어온이후) 또는 모니노(초명, 석가모니+종)이다.  배경1374년 아버지 공민왕이 홍륜과 자제위(젊고 외모가 출중한 청년으로 하여금 공민왕에게 시중을 들게 한 기관)에 의해 시해당하면서, 권신 이인임(1312~1388)의 추대를 받아 우왕이 즉위하게 된다. 격변하는 고려 내, 외 속에서 정통성논란에 시달려 복잡한 정치문제와 왜 침입등 다양한 사건에 마주..

30대 충정왕

충정왕(Chungjeong de Goryeo, 1338~1352, 재위1348~1351)  출생1338년 아버지 충혜왕(1315~1344, 재위1330~1332, 1339~1343)과 어머니 희비 윤씨(충혜왕 제2비, ?~1380)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저'이다. 배경이복형이였던 충목왕(1337~1348, 재위1344~1348)이 11세로 승하하면서 뒤를이어 고려 30대 국왕이 되는데, 형 충목왕과 비슷한 나이에 즉위하면서(10세) 섭정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섭정자리를 놓고 충혜왕의 1비인 덕녕공주와 2비인 희비 윤씨(충정왕 모친)사이에서 다툼이 벌어지는데, 원나라 황실 출신인 덕녕공주가 우선순위를 차지하면서 섭정을 맡게 된다. 그러나 충정왕 재위시기 끝부분으로 갈수록 환관과 외척세력의 전횡이 심해지..

29대 충목왕

충목왕(Chungmok de Goryeo, 1337~1348, 재위1344~1348)  출생1337년 아버지 충혜왕(1315~1344, 재위1330~1332, 1339~1343)과 어머니 덕녕공주(쿠빌라이의 고손녀, ?~1375)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흔' 이다. 배경충목왕 치세때는 고려 후반부 혼란이 가속화되는 시기로, 즉위전에 원나라에서 보내다가(볼모) 아버지 충혜왕의 막장의 끝으로 폐위당하면서 6살에 고려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사실상 나이가 너무 어려 어머니 덕녕공주(?~1375)가 섭정을 하였으니 재위기간동안의 업적은대부분 덕녕공주의 업적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 이다. 정치도감(1347~1349, 불법토지문제 해결을 위한 기관), 진제도감(1348~1381, 백성의 진휼을 위해 설치된 임시 기관..

28대 충혜왕

충혜왕(Chunghye de Goryeo, 1315~1344, 재위1330~1332, 1339~1343)  출생1315년 고려 개경에서 아버지 충숙왕(1294~1339, 재위1313~1330, 1332~1339)과 어머니 공원왕후 홍씨(충혜왕, 공민왕의 어머니, 1298~1380)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정'이다. 충혜왕의 동생으로는 고려 31대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이 있다. 배경명실상부 고려의 폭군이다. 아버지 충숙왕이 1330년 양위하면서 고려 국왕자리에 올랐지만,  얼마나 패악질이 심했는지 원나라에서 이를 막고자 폐위시키고 충숙왕을 다시 올려놓는 상황까지 발생한다. 1339년 충숙왕이 승하하면서 다시 복위되지만 사치, 향락, 사냥, 강간, 백성약탈등을 일삼으며 온갖 흉..

27대 충숙왕

충숙왕(Chungsuk de Goryeo, 1294~1339, 재위1313~1330, 1332~1339)  출생1294년 아버지 충선왕(1275~1325, 재위1298, 1308~1313)과 어머니 의비 야속진(기록거의없음, ?~1316)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도'이다. 배경아버지 충선왕 할아버지 충렬왕때보다도 더 원나라의 권력이 고려내정에 더욱 깊숙히 관여해서 불안한 재위를 유지했던 군주이다. 그때그때 자신의 지위를 지키기위해 고군분투 했던 인물로서, 모두가 적일 수 밖에 없던 시절에 정신을 바짝 차리고 있다가 말년엔 권력에 염증을 느껴 다 놓아버리는 비운의 군주이다. 그렇게 해서 아들인 왕정(충혜왕)에게 양위하지만 더 개판을 쳐 원나라로부터 폐위를 당하고 다시 충숙왕이 즉위하지만, 정사를 보지않..

26대 충선왕

충선왕(Chungseon de Goryeo, 1275~1325, 재위1298, 1308~1313)  출생1275년 고려 개경 사판궁에서 아버지 충렬왕(1236~1308, 재위1274~1298, 1298~1308)과 어머니 제국대장공주(쿠빌라이 칸의 딸, 1259~1297)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초년 '원' 에서 '장'으로 바뀌며 몽골식 이름은 '이지르부카'이다. 배경쿠빌라이의 외손자(고려-몽고 혼혈)로서, 완전히 원나라 제후국으로서 자리잡게된 시기의 군주로 직접적인 원나라의 정치적 영향을 받은 시기이기도 하다. 원나라의 정치구도 변화 속에서 원나라에 유배당하기까지 하고, 고려에 있는 시간보다 원나라에 머무는 시간이 더 많은 군주이며 고려 왕위를 아들 충숙왕에게 1313년 물려준 이후에는 다시 원나라 수..

25대 충렬왕

충렬왕(Chungnyeol de Goryeo, 1236~1308, 재위1274~1298, 1298~1308)  출생1236년 고려 강화도 별궁에서 아버지 태자 왕전(원종, 1219~1274, 재위1259~1274)과 어머니 경주 김씨(정순왕후 김씨, 1222~1237)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초기에 '심' 이였다가 '거'로 변경된다. 배경원 간섭기 들어 승하한 후 묘호를 올리지 못한 첫 군주이다. 최씨 정권 중기에 태어나 할아버지 고종(1192~1259, 재위1213~1259)의 승하로 아버지 태자 왕전이 강화를 위해몽골에 가 있었으므로, 태손으로서 임시 정무를 주관하기도 했으며, 아버지 원종 즉위 이후 바로태자에 책봉된다(1260).  무신정권의 종말(1270)을 목격한 증인이고, 이후 1271년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