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의 군주/고구려의 군주 10

고구려 왕 계보

고구려 왕 계보고구려 왕은 28대 705년(BC37~668)간 유지된 고대 한국 삼국시대때 국가의 군주를 칭하며 김부식의 삼국사기[1145(인종23)]를 인용하였다. BC 37년 고주몽이 이끄는 졸본세력과 조선유민세력(고조선 유민)이 규합해 졸본땅에 고구려가 건국된다.  왕명휘생몰년도 (재위)재위기간비고, 키워드1대동명성왕고주몽BC 58 ~ BC 19 (BC37~BC19)18년국조 '추모성왕'2대유리명왕고유리BC 38 ~ 18 (BC19~18)37년1대 동명성왕의 아들3대대무신왕고무휼4 ~ 44 (18~44)26년2대 유리명왕의 셋째 아들4대 민중왕고해색주? ~ 48 (44~48)4년2대 유리왕의 다섯째 아들5대모본왕고해우? ~ 53 (48~53)5년3대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왕자의 형제6대태조왕고궁53..

19대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Kwanggaet'o de Goguryo, 374~413, 재위391~413)  출생374년 고구려 국내성에서 아버지 고이련(고국양왕, ?~391, 재위384~391)과 기록미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담덕'이다.  배경한국 역사 통틀어 가장 강력한 국가였던 고구려를 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 만들어 놓은 정복군주이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고구려의 위상이 오르며 중원의 맹주였던 후연, 한반도 내 백제, 신라(당시 동맹), 왜나라, 거란국등을 물리치며 영토를 확장한 인물이다. 한국사에서 2명의 대왕이 있는데, 세종대왕과 광개토대왕이다.  원래는 군주와 거리가 멀었다원래 담덕은 군주가 되기 어려운 쪽이였던게, 아버지 고국양왕에게는 형이 있었는데, 그 인물이 17대 소수림왕(?~384, 재위..

25대 평원왕

평원왕(Pyeongwon de Goguryeo, ?~590, 재위559~590)  출생아버지 양원왕(?~559, 재위545~559)과 기록미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양성'이다. 평강공주의 아버지이자 온달(?~590)장군은 평원왕의 사위이다. 배경할아버지 안원왕(?~545, 재위531~545)부터 흔들리던 왕권이 평원왕에 와서도 흔들리는데, 귀족연립정권의 설립 이후로 왕권이 더 떨어졌고 귀족들의 권한과 영향력이 상당히 커지던시기였어서 중앙집권을 추구하던 평원왕에게 있어서는 부담이 갈 수 밖에 없었다. 아버지 양원왕 치세때와마찬가지로 북쪽으로는 돌궐, 말갈이 남쪽으로는 백제, 신라가 시시때때로 고구려 변경을 치려고하면서 외교적으로 그 어느때보다 중요한 시기였던 것은 확실하다.   즉위아버지 양..

24대 양원왕

양원왕(Yangwon de Goguryeo, ?~559, 재위545~559)  출생출생년도는 여러 설이있다 528, 530, 538년등으로 확실치는 않고, 아버지는 23대 안원왕(?~545, 재위531~545)과 기록미상의 어머니(두번째 왕비로 추정)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휘는 '평성'이다. 배경문자명왕(?~519, 재위492~519)의 손자이며, 즉위하기 전 태자일때 아버지 안원왕이 병석에 누워있을 때 이복동생 세군이 반란을 일으켜서 왕위를 찬탈하려는 시도를하지만 3일만에 난이 진압되고 겨우 왕위에 오른다. 즉위했을 때부터 이런 사건으로 인해 왕권이 크게 위축되었고,  외부적으로도 북쪽 돌궐이 강성해지면서 고구려를 위협, 신라 정복군주 진흥왕(534~576, 재위540~576)이 고구려 남쪽 변경..

18대 고국양왕

고국양왕(Gogugyang, ?~391, 재위384~391)   출생출생년도는 미상. 아버지 고국원왕(300?~371, 재위331~371)과 어머니 역시 미상이며 부모님 사이에서 둘째아들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고이련, 어지지로 불리고 그의 형은 17대 소수림왕(?~384, 재위371~384)이다. 배경서기 371년, 아버지 고국원왕은 백제군에 맞서 싸우다 평양성에서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고 뒤이어 형 소수림왕이 재위에 오르게 되면서 고구려, 백제, 신라중 최초로 고구려가 불교를 수용하는 시대를 겪으며 태학설립, 율령반포등 고구려 내치를 다지는데 애쓴 형이 자식이 없자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모용 선비형 소수림왕이 외교적으로 잘 풀던 전진에 급변이 일어나는데, 과거 전연의 모용황(297~348, 재위337~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