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독립운동가 15

김가진

김가진, 1846~1923출생음력1846년 1월 29일(헌종12년) 조선 한성부 순화방(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교동)에서 아버지 김응균(1801~1875)과 어머니(?~1853)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신 안동 김씨이며 문춘공 상용파 26세 '진(鎭)'항렬로 청산리 대첩으로 유명한 김좌진(1889~1930)장군과 같은 항렬이다. 배경조선 후기 문신이자 귀족, 독립운동가이자 경술국치 이전 대한제국의 국권을 침탈하려던 일제에 맞서 싸운 인물이다.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로 국권을 일제에게 빼앗기고 조용히 칩거하나 1919년 3월 1일, 3.1만세운동이 일어나면서 오랜 칩거를 깨고 일제에 대항한다. 1919년 3.1운동 이후 7개월 뒤인 10월 10일 김가진은 고종(1852~1919, 조선재위186..

독립운동가 2025.04.12

홍병기

홍병기, 1869~1949  출생1869년 조선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이포리에서 아버지 홍익룡과 어머니 한익화 사이에서 2대독자로 태어남. 배경1919년,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민족대표 33인중 한명인 천도교도이자 독립운동가. 독립선언서 낭독후 체포되어 2년형을 언도받고 복역하다가 러시아 연해주로가서 고려혁명당을 창당하지만 이역시 발각되면서 2년형을 받고 복역하다가 출소 후 경성에서 칩거하다가 1945년 해방 목격후 4년이 지난 1949년 서울에서 트럭사고로 사망한다. 초년1887년(고종23년) 무과에 급제하지만 아버지 홍익룡이 서자출신이라는 점에서 무관으로 활동하진 못하고 정확한 이유까진 아니지만 이러한 차별대우에 불만을 품었기 때문으로 추측하는 동학에 입교를 1892년에 하게 된다.  동학동학에 입교하..

독립운동가 2025.01.27

강기동

강기동, 1884~1911  출생1884년 조선 한성부 남부 명례방 명례방골(서울 명동)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강기주이다. 배경구한말 대한제국시기, 항일 의병장으로서 일제 헌병 보조원으로 위장귀순하여 포로가된 의병들을 석방하고 무기를 탈취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한 인물. 창의원수부 의병대장 이은찬(1878~1909)과 합류하여 항일투쟁을 지속하다 이은찬이 체포, 처형되고는 의병장이 되어 항일투쟁을 전개하다가 망명해 독립군이되어 항일투쟁을 전개하는 뜻을 품고 이동하다가 함경도 원산에서 체포되어 이후 총살형으로 순국한다.   활동강기동은 이미 10대때부터 대한제국군에 입대한 군인이였고 병과는 기병이고 계급은 참교였다. 그러다가 1907년(광무10년)정미7조약(한일신협약)으로 고종(광무제, 1852~1919, ..

독립운동가 2025.01.17

김상옥

김상옥, 1889~1923출생1889년 조선 한성부 건덕방 어의동계(현 서울 종로구 효제동)에서 군인인 아버지 김귀현(1860~1890)과 어머니 김점순(경주 김씨, 1861~1941)사이에서 4남매중 셋째로 태어났다. 배경일제강점기(1910~1945)시기 종로경찰서 폭탄 의거를 한 독립운동가로 1919년 3.1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한 이후 [혁신단]을 조직, 암살단을 조직해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지원을 받아 항일 투쟁을 벌이고자하는 계획을 세워 진공작전을 펼치고자하는 뜻을 가지지만 실패한 이후 김원봉(1898~1958)의 의열단에 가입해 종로경찰서에 폭탄의거를 한 후 일제감시망을 피해다니다가 최후엔 3시간동안 총격전을 벌이면서 피하다가 총알이 다 떨어지고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친 뒤 자결로 순국한다. ..

독립운동가 2025.01.16

김동삼

김동삼, 1878~1937  출생1878년 조선 경상도 안동군에서 아버지 김계락(1848~1885)과 어머니 평산 신씨(1845~?)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김긍식이다. 배경일제강점기(1910~1945)당시 1910~1920년대까지 만주에서 활동한 군인이자 독립운동가이자 독립운동 단체 경학사의 리더로서 신흥학교를 설립하고 이에 더불어 학교 졸업생들을 이끌고 백서농장이라는 병영을 만들어서 유격전까지 준비한다. 이후 1919년 3월, 민족 대표 39인의 이름으로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4월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다시 만주로 돌아와서 서로군정서(사령관 지청천, 1888~1957) 참모장이 된다. 1920년 10월 청산리 대첩에서 김좌진(1889~1930), 홍범도(18..

독립운동가 2025.01.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