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의 군주 80

신라 왕 계보

신라 왕 계보신라 왕은 56대 992년(BC57~935)간 유지된 괘 한국 삼국시대때 국가 신라의 군주를 칭함. 역사상 천년(1000년)동안 지속된 왕조는 동로마제국(330~1453)과 신라왕조 둘이라고 한다.군주의 호칭또한 여러가지가 존재하는데 [거서간▶차차웅▶이사금▶마립간▶왕] 의 순서로 바뀌었다. 국가가 성장하면서 계층이 나뉘는 점에서 당시 제사장겸임이던 정치적 우두머리가 기능을 분리시키게 되면서 나뉘게 된 것. 왕으로 변화한 시점은 중앙집권화를 추진하게되면서 바뀌는데 '왕'칭호를 처음 쓴 군주는 지증 마립간(437~514, 재위500~514)으로 재위3년인 503년에 첫 시행.그리고 천년 역사속 3명의 여왕이 등장하는데 한국사 최초의 여왕인 선덕여왕(?~647, 재위632~647)과 진덕여왕(?~..

백제 왕 계보

백제 왕 백제 왕은 32대 정통678년(BC18 ~ 660), 비정통681년(BC18 ~ 663)간 유지된 고대 한국 삼국시대때 국가인 백제의 군주를 칭함. 어라하 또는 건길지로 불림.초대 온조왕(?~28, 재위BC18~28)부터 정통으로는 31대 의자왕(?~660, 재위641~660)까지, 비정통으론 32대 풍왕(부여풍, 623~?, 재위660~663)까지 이어진다.성은 부여씨.[삼국유사, 일본서기]자료 활용하였고, 9대 책계왕 이전의 군주들은 신뢰도가 낮아(재위기간이 50년정도에 전후관계가 맞지않음)사실상 신뢰도가 높은 9대 책계왕대부터가 현실적. 왕명휘생몰년도 (재위)재위기간비고, 키워드1대온조왕부여온조? ~ 28 (재위BC18~28)46년국조, 동명성왕의 아들2대다루왕부여다루? ~ 77 (재위28..

고구려 왕 계보

고구려 왕 계보고구려 왕은 28대 705년(BC37~668)간 유지된 고대 한국 삼국시대때 국가의 군주를 칭함.김부식의 삼국사기[1145(인종23)]를 인용함. BC 37년 고주몽이 이끄는 졸본세력과 조선유민세력(고조선 유민)이 규합해 졸본땅에 고구려가 건국. 왕명휘생몰년도 (재위)재위기간비고, 키워드1대동명성왕고주몽BC 58 ~ BC 19 (BC37~BC19)18년국조 '추모성왕'2대유리명왕고유리BC 38 ~ 18 (BC19~18)37년1대 동명성왕의 아들3대대무신왕고무휼4 ~ 44 (18~44)26년2대 유리명왕의 셋째 아들4대 민중왕고해색주? ~ 48 (44~48)4년2대 유리왕의 다섯째 아들5대모본왕고해우? ~ 53 (48~53)5년3대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왕자의 형제6대태조왕고궁53 ~ 165..

18대 실성 마립간

Silseong de Silla, ?~417, 재위402~417   출생신라 18대 군주로 금성 탁(현재 경주)에서 아버지 이찬 대서지(?~?)와 어머니 이리부인(?~?)사이에서 태어남. 본명은 김실성.  배경[삼국유사, 1281]를 참조하여 실성을 마립간으로 표기하고자 하니 참고.내물 마립간(?~402, 재위356~402)의 후임군주로, 내물 마립간의 자식들이 너무 어렸어서 화백회의에서 실성을 왕위에 올렸음. 즉위당시 백제-가야-왜에게 둘러싸여 고립된 상태로 압박을 받아온터라 당시 고구려는 전성기가 시작되는 광개토태왕(374~413, 재위391~413)대로, 내물 마립간은 고구려의 힘을 빌리기 위해 실성을 고구려에 볼모로 보낸다(392년).  복잡한 국제정세내물 마립간 재위기간(356~402)동안에 신..

27대 선덕여왕

Seondeok de Silla, ?~647, 재위632~647  출생출생년도는 미상, 아버지 진평왕(567~632, 재위579~632)과 어머니 마야부인 김씨(?~?)사이에서 태어남. 본명은 김덕만. 동생으로는 천명공주(김춘추의 어머니)가 있었다. 배경한국사 최초의 여왕. 아버지 진평왕(567~632, 재위579~632)이 아들 없이 승하하면서 화백회의에서 군주로 추대되었음. 600년대 중반 삼국의 혼란시기때 즉위해서 고구려와 백제의 침공을 받는 국가적 위기상황에 김유신(595~673)같은 명장을 적극 활용, 당나라에 구원을 요청하는 등 신라를 방비하며 불교를 기반으로한 정치이념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시도한 군주. 말년에 귀족의 반란으로 인해 더욱 혼란이 야기되지만 김춘추와 김유신이 이를 제압한 뒤..

24대 진흥왕

Chinhung de Silla, 534~576, 재위540~576  출생534년 신라 금성에서 아버지 김입종(입종 갈문왕, ?~537)과 어머니 지소왕후(지소태후,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남. 본명은 김삼맥종. 동생으로는 김숙흘종이 있다.  배경6세에 큰숙부인 법흥왕(?~540, 재위514~540)이 승하하면서 재위에 오르고, 어린나이로인해 태후들의 섭정기를 거쳐 551년부터 친정을 시작한다. 법흥왕대부터 닦여온 국가로서의 기틀과 제도정비등으로 내적으로 안정을 취한 베이스로, 재위기간동안 정복군주로서 영토확장을 하며 삼국시대의 주도권을 신라가 쥐게되는 시기의 군주이다.  내적으로 안정을 유지하고, 외적으로도 남북조시대의 중원에 사신을 보내 조공, 책봉을 맺는다. 즉위위 배경처럼 법흥왕이 아들이 없..

23대 법흥왕

Pophung de Silla, ?~540, 재위514~540  출생신라 서라벌 탁부에서 아버지 지증왕(437~514, 재위500~514)과 어머니 연제부인 박씨(?~?)사이에서 태어남. 본명은 김원종 또는 모즉지. 배경신라 중흥기가 시작되기 전 내치를 잘 수행한 군주로서 중앙집권체제,  불교공인,  율령반포, 골품제 확립등으로 강대국으로 성장하기위한 발판을 마련한 군주라고 할 수 있다. 이후 후임 군주인 조 진흥왕(534~576, 재위540~576)이 정복사업을 펼칠 수 있게 국가를 제대로 정비를 해놓은 군주라고 할 수 있다. 즉위514년 아버지 지증왕(437~514, 재위500~514)이 승하하면서 바로 즉위하게 된다. 연호는 건원.  중앙집권화I. 율령반포520년(법흥왕6년) 법제체계에 관한정비를 ..

13대 근초고왕

Geunchogo de Baekje, ?~375, 재위346~375  출생300년대 초 추청 백제 위례성에서 아버지 11대 비류왕(?~344, 재위304~344)와 기록미상의 모친 사이에서 태어남. 본명은 부여구. 배경백제의 최전성기를 이끈 군주로서 내치, 외치 모두 큰 성과를 거두면서 세력을 크게 확장한 시기. 백제의 정복군주로서 가야, 마한, 고구려까지 공격해서 371년에 평양성에서 고구려 대왕 고국원왕(300?~371, 재위331~371)까지 전사시키면서 그 명성이 한반도에 널리 떨쳐지게 된다. 중원의 동진, 왜나라등과도 교류해 백제의 문화를 전파시키고 불교가 중흥하는 시기로서 많은 역사적 가치를 지닌 것들이 이때 많이 만들어지게 된다.  즉위12대 계왕(?~346, 재위344~346)이 승하하면서..

19대 광개토대왕

Kwanggaet'o de Goguryo, 374~413, 재위391~413  출생374년 고구려 국내성에서 아버지 고이련(고국양왕, ?~391, 재위384~391)과 기록미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남.  본명은 고담덕.  배경한국 역사 통틀어 가장 강력한 국가였던 고구려를 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 만들어 놓은 정복군주이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고구려의 위상이 오르며 중원의 맹주였던 후연, 한반도 내 백제, 신라(당시 동맹), 왜나라, 거란국등을 물리치며 영토를 확장한 인물이다. 한국사에서 2명의 대왕이 있는데, 세종대왕과 광개토대왕이다.  원래는 군주와 거리가 멈원래 담덕은 군주가 되기 어려운 쪽이였던게, 아버지 고국양왕에게는 형이 있었는데, 그 인물이 17대 소수림왕(?~384, 재위371~384)이다...

25대 평원왕

Pyeongwon de Goguryeo, ?~590, 재위559~590  출생아버지 양원왕(?~559, 재위545~559)과 기록미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남. 본명은 고양성. 평강공주의 아버지이자 온달(?~590)장군은 평원왕의 사위이다. 배경할아버지 안원왕(?~545, 재위531~545)부터 흔들리던 왕권이 평원왕에 와서도 흔들리는데, 귀족연립정권의 설립 이후로 왕권이 더 떨어졌고 귀족들의 권한과 영향력이 상당히 커지던시기였어서 중앙집권을 추구하던 평원왕에게 있어서는 부담이 갈 수 밖에 없었다. 아버지 양원왕 치세때와마찬가지로 북쪽으로는 돌궐, 말갈이 남쪽으로는 백제, 신라가 시시때때로 고구려 변경을 치려고하면서 외교적으로 그 어느때보다 중요한 시기였던 것은 확실하다.   즉위아버지 양원왕이 559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