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웨덴 군주 6

스웨덴 바사 왕조

스웨덴 바사 왕조스웨덴 바사 왕조는 1523년부터 1654년까지 131년간 스웨덴을 통치하고 도잇에 1587년부터 1668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왕국을 통치했던 왕조이다. 바사라는 이름의 유래는 밀 다발(고대 스웨덴으로부터 유래)으로부터 유래되었고 이 밀 다발은 스웨덴 군주들의 문양에 넣어질 정도로 핵심적인 요소가 되었다. 1521년부터 1523년까지 2년간 섭정직을 맡던 구스타브1세 바사(Gustav I Vasa, 1496~1560, 섭정1521~1523, 재위1523~1560)는 1523년 6월 6일 스웨덴 왕으로 즉위하면서 스웨덴 바사 왕조의 문을 열게 된다. 구스타브1세 바사이후 6명의 군주들이 바사 왕조의 명목을 이어갔으며, 1632년 즉위한 크리스티나 여왕(Kristina, 1626~1689..

스웨덴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

스웨덴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1654년 6월 6일 초대 칼10세 구스타브(Karl X Gustav, 1622~1660, 재위1654~1660)부터 1720년 2월 29일 울리카 엘레오노라(Ulrika Eleonora, 1688~1741, 재위1718~1720)까지 스웨덴을 지배한 왕조인 독일의 비텔스바흐 가문의 팔츠 계열 분가가문이다. 스웨덴 바사 왕조 마지막 군주인 크리스티나 여왕(Kristina, 1626~1689, 재위1632~1654)의 퇴위를 끝으로 바사 왕조는 끝나고, 크리스티나 여왕이 퇴위 전 지지한 사촌 오빠 칼10세 구스타프가 새 스웨덴 왕으로 등극하면서 스웨덴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가 시작된다. 칼10세 구스타브는 츠바이브뤼켄 백작인 요한 카시미르(Johann Kasimir von Pf..

스웨덴 헤센카셀 왕가

스웨덴 헤센카셀 왕가우선적으로 이 왕가는 1567년에 만들어진 신성로마제국 내 국가인 헤센-카셀 방백령(Landgrafschaft Hessen-Kassel)을 모태로 하는 왕가이다. 이 왕가의 군주는 1명이며 스웨덴 출신이 아닌 헤센카셀 출신 인물로 백작 프리드리히1세였다. 프리드리히1세의 아버지 헤센카셀 백작 카를(Karl von Hessen-Kassel, 1654~1730, 재위1670~1730)은 1670년부터 백작으로서 헤센카셀을 통치하는데 1648년 30년전쟁이 끝난 이후 신성로마제국은 산업시설과 간접기반시설등이 파괴되거나 초토화되면서 회복까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했는데, 헤센카셀지역은 원래부터 변방으로서 농업이 주였던 국가였고 산업기반들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피해가 크제 않아 농업을 중심으로 ..

스웨덴 홀스타인고토로프 왕가

스웨덴 홀스타인고토로프 왕가1751년 3월 25일, 올덴부르크 분파가문인 홀슈타인고토로프 가문의 아돌프 프레데리크(Adolf Frederick, 1710~1771, 재위1751~1771)가 스웨덴의 왕으로 즉위한다. 뤼베크(Lübeck)의 왕자였던 아돌프 프레데리크는 전임 스웨덴 왕 프레드리크1세(Fredrik I, 1676~1751, 재위1720~1751)가 사망한 후 즉위하여 입헌군주제 체제였던 스웨덴의 명목상인 왕에 불과하고 실권은 스웨덴 국회에 있었다. 이런 점 때문에 아돌프 프레데리크는 수차례 쿠데타를 일으켜 전제군주제를 부활시키려 했으나 1771년 2월 12일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뜻은 이루지 못하지만 후임 왕으로 즉위하는 구스타브3세(Gustav III, 1746~1792, 재위1771~17..

스웨덴 베르나도테 왕가

스웨덴 베르나도테 왕가1810년, 프랑스 제1제정 장군 장 바티스트 쥘 베르나도테(Jean-Baptiste Jules Bernadotte, 미래의 칼14세 요한)가 스웨덴 국회에서 스웨덴 왕 칼13세(Karl XIII, 1748~1818, 재위1809~1818)의 왕세자로 지목된다. 당시 유럽은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1세(Napoleon Ier, 1769~1821, 재위1804~1814, 1815)의 천하로 유럽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북유럽과 발칸반도등 동유럽등의 군주국에 자신의 부하 또는 친족을 국왕으로 옹립시키는 행동을 보이는데, 스웨덴은 1809년 러시아와의 핀란드 전쟁에서 패하고 핀란드를 러시아 제국에 빼앗기면서 스웨덴 내에서 왕 구스타프4세 아돌프(Gustaf IV Adolf,..

구스타브 3세

구스타브3세(Gustave III, 1746~1792, 재위1771~1792)*알렉산데르 로슬린(Alexandre Roslin, 1718~1793)은 스웨덴 출신 자화상 화가이다.  출생1746년 스웨덴 왕국 스톡홀름(Stockholm)에서 아버지 아돌프-프레데리크(Adolphe-Frédéric, 1710~1771, 재위1751~1771)와 어머니 루이즈-울리케 드 프로이센(프리드리히2세의 여동생, Louise-Ulrique de Prusse, 1720~1782)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스웨덴 홀슈타인고토로프 왕조 2대 군주로, 쿠데타로 의원내각제에서 계몽주의에 입각한 전제군주제로 회귀시킨 장본인이다. 1772년 쿠데타를 통해 스웨덴 왕국을 장악하고 스웨덴의 경제적, 문화적 중흥을 이끈 군주이지만, 17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