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선조 4

김시민

김시민, 1554~1592  출생1554년 조선 충청도 목천현 백전촌(현 충남 천안시 병천면)에서 아버지 김충갑(1515~1575)과 어머니 창평 이씨 사이에서 6남 2녀중 3남으로 태어남.  배경조선 중기 임진왜란(1592~1598)에 참전한 무장으로,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게 되면서 왜군의 파죽지세로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마저 의주로 피난가고 왜군이 전라도지역 곡창지대를 확보하기 위해 3만여명의 대병력을 모아 교두보인 진주성을 공격하고자 할 때 김시민은 진주 목사로서 의병들과 합세하여 3천여명의 병력으로 일주일간 왜군과의 공방끝에 물리치는데 이것이 진주대첩(제1차 진주성 전투)이다. 김시민은 전투당시 총에 맞고 진주성 전투가 승리로끝난뒤에도 병상에 누워있다가 선조가 있는..

도원수 권율

권율, 1537~1599출생1537년(중종31년) 조선 경기도 강화부(현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아버지 권철(1503~1578)과 어머니 창녕 조씨 사이에서 4남으로 태어남. 오성대감으로 알려진 이항복(1556~1618)의 장인이다. 배경행주대첩을 이끈 장본인. 무반이아닌 문반으로 출사한 인물이다. 찬성사 권근(1352~1409)의 5대손.  생몰년도품계, 직위, 기타6대조권근1352 ~ 1409종1품 찬성사5대조권제1387 ~ 1445종1품 우찬성고조할아버지권마? ~ ?정2품 이조판서, 권근의 4남증조할아버지권교? ~ ?종4품 양근군수할아버지권적1484 ~ 1560종3품 강화부사아버지권철1503 ~ 1578정1품 영의정본인권율1537 ~ 1599정2품 도원수임진왜란당시 55세의 나이로 광주목사, 중위장..

동서분당

동서분당(1575)1575년(선조8년)에 사림파가 동, 서로 분열된 사건을 뜻함.  배경I. 훈구파사림파와 쌍벽을 이루던 윤원형을 필두로 한 훈구파는 1545년(명종원년)에 을사사화를 통해 사림파였던 윤임(1487~1545)을 필두로 한 대윤을 숙청하고 훈구파인 소윤 윤원형은 정권을 장악하지만(명종의 어머니 문정왕후가 윤원형의누나이고, 어린 명종을 대신해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함), 1565년 문정왕후가 서거하면서 윤원형을 필두로 한 훈구는 일시에 몰락한다. 그리고 1567년에 즉위한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대부터는 사림파가 정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사실상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얼마남지 않았던 훈구파는 자연스럽게 사림파로 흡수된다. II. 분열의 시작그러나 일당체제가 된지 얼마안..

86대 영의정 윤두수

Yun Doo-su, 1533~1601, 영의정재임1599(2개월)출생1533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윤변(1493~1549)과 어머니 성주 현씨 사이에서 태어남. 동생으론 같은 서인인 문신 윤근수(1537~1616)이 있다.  배경조선중기 문신으로서, 종계변무의 공과 더불어 임진왜란&정유재란(1592~1598)기간동안 서인의 영수로서 류성룡(1542~1607)등과 함께 전란을 수습하는 중책을 맡으면서 조선을 위기로부터 벗어나기위해 고군분투한 고위급 대신이다. 7년간의 전쟁이후 영의정으로서 전란을 수습하는데 애쓰지만, 양사 대간들의 탄핵으로 2달만에 물러난 인물. 영혼의단짝일찍이 아버지 윤변을 16살인 1549년에 잃고 성수침(조광조의 제자, 1493~1564)문하에서 수학하면서 성수침의 아들 성혼(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