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진왜란 14

정운

정운, 1543~1592   출생1543년(중종37년) 조선 전라도 영암군 옥천종면 대산리(현 전남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에서 아버지 정응정과 어머니 (미상)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무관으로 1570년(선조3년) 식년시 무과 병과로 급제한 뒤 훈련원봉사, 수군권관, 거산찰방, 웅천현감등을 지내는데 워낙 강직한 성격으로 윗전의 미움을 받아 몇년동안 벼슬길이 막혀버리기도 한다. 이후 1591년(선조24년) 녹도 만호로 부임받아 전라도로 내려간다. 이듬해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의 휘하로 소속되어 옥포, 당포, 당항포, 율포, 한산도등 여러 해전에서 공을 세워 인정을 받다가 1592년 9월에 벌어진 부산포해전에서 우부장으로서 선봉대에서 왜 수..

의병장 임계영

임계영, 1528~1597  출생1528년(중종22년) 전라도 보성군 조성면에서 아버지 임희중(?~?)과 어머니(정보없음)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임진왜란(1592~1598) 당시 의병장으로 임진왜란 발발 직후 의병을 일으켜 동향인 전라도 지역에서 의병장으로서 왜군을 막은 인물이다. 1576년(선조9년) 48세의 늦은 나이로 별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면서 진보 현감을 지내고 더이상 관직에 욕심이 없어 현감 임기가 끝난 이후 고향으로 돌아가 조용히 지내다가,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고향 보성에서 의병을 일으킨다. 전라도 화순 출신 의병장 최경회(1532~1593)와 함께 활동하며 전라도, 경상도 일대의 왜군들을 격파하는 활동을 보이고, 제1차, 2차 진주성 전투에도 참전하였었다. 이후 명..

한산도 대첩

한산도 대첩, 1592. 08. 14   배경임진왜란이 발발한지 3개월이 되던 시점인 1592년 8월(선조25년), 경상도 해안 한산도 근방에서 큰 해전이 일어난다. 이 전투가 벌어지기 전 왜군은 육지로는 우세를 보이지만 조선 수군에게 연패당하며 점점 동쪽으로 밀려나고 있었는데,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1537~1598, 관백재위1585~1592, 태합재위1587~1598)가 육군에 있던 와키자카 야스하루(1554~1626)를 수군으로 급파시켜 조선 수군 토벌을 명령한다.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은 거제도와 가덕도 인근에서 왜군의 해군증강을 목격하고 전라우수사 이억기(1561~1597), 경상우수사 원균(1540~1597)등과 합세해 총55척의 전력으로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73척의 함대..

영의정 이양원

이양원, 1526~1592  출생1526년 아버지 이학정(?~?)과 어머니 동래 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명종(1534~1567, 재위1545~1567)대 1556년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대에 주로 활동하던 관리로, 전주 이씨 왕족 출신으로서 2대 정종(1357~1419, 재위1398~1400)의 7남 선성군(1392~1460)의 4대손이다. 1563년(명종18년) 명나라 서장관으로서 종계변무사로 임명되어 명나라로 가서 [태조실록], [대명회전]등에 태조 이성계(1335~1408, 재위1392~1398)의 아버지가 고려말기 권신 이인임(1312~1388)으로 잘못 기재되어있는 것을 이성계의 친부인 이자춘(추존 환조, 1315~1360)으로 수정하..

우의정 김명원

김명원, 1534~1602  출생1534년(중종28년) 아버지 김만균(?~1549)과 어머니 순흥 안씨 사이에서 2남2녀로 태어났다.  배경퇴계 이황(1502~1571)의 문하생으로 수학했으며, 1561년 관직에 진출한 이후부터 철저함을 갖춘 꼼꼼한 성격에 강직함까지 갖춰 행정업무에 있어서 빈틈이 없었고 다양한 요직들을 고루 거치며 1583년 니탕개의난, 1589년 발생한 정여립의 난으로 일어난 기축옥사를 잘 수습했다는 평을 받고,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도원수로서 방어임무를 맡지만 전투지휘에서는 크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한다.  관리김명원은 1558년 사마시에 합격해 성균관에 들어가서 수학한 뒤 1561년 식년문과 3위로 급제하면서 관리가 된다.  직위소속, 기타1561년식년문과 갑과 3..

좌의정 정탁

정탁, 1526~1605출생1526년(중종20년) 경상도 예천에서 아버지 정이충(?~?)과 어머니 평산 한씨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배경선조(1552~1608, 재위1567~1608)가 이순신을 죽이려고 할 때 상소를 올려 저지시켜 이순신(1545~1598)을 구명한 인물로서, 퇴계 이황(1502~1571)과 남명 조식(1501~1572)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다방면으로 능통한 수재형 인물로 심지와 지조가 굳고 인품이 넉넉해서 동인출신이지만 서인들과도 사이가 좋았다고 한다. 1592년 임진왜란발발 당시 종1품 좌찬성으로 선조를 의주까지 호송하고, 최대한 전쟁수행을 할 수 있게끔 현재도 거론되는 무관들을 천거하는등 다방면으로 임진왜란을 해결하기위해 노력하고 이후 좌의정에 재수되지만 사양한다. 관리155..

성혼

성혼(Seong Hon, 1535~1598)  출생1535년 조선 한성부 순화방에서 아버지 성수침(1493~1564)과 어머니 파평 윤씨사이에서 독자로 태어났다. 배경아버지 성수침 밑에서 학문을 배우고, 백인걸(1497~1579)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이 때 평생 친구가 되는 율곡 이이(1536~1584)를 만나게 된다. 서인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1590년(선조23년) 좌찬성으로 공식 은퇴하지만 1592년 임진왜란이 터지면서 다시 복귀하게 되는 인물이다. 초년현량과로 천거되었지만 기묘사화(1519)이후 벼슬을 사양했던 아버지 성수침의 독남으로서 은거했던 아버지 아래에서 학문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휴암 백인걸(1497~1579)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배운다. 백인걸은 사림파였던 조광조(1482~152..

81, 88대 영의정 이산해

이산해(Lee San-hae, 1539~1609) 재임기간군주81대 영의정1590.03 ~ 1592.06선조23년 ~ 선조25년88대 영의정1600.03 ~ 1600.06선조33년출생1539년 조선 한성부에서 명종대 문신인 아버지 이지번(1508~1575)과 어머니 의령 남씨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문신으로서 여러 직책을 거쳐 정1품 영의정에 오른 동인출신 인물로 정철(1536~1593)처분에 따른 분열로 남인(정철 살리자 온건파)과 북인(정철 처형파)으로 갈릴 때 북인의 영수가 된 인물로 임진왜란(1592~1598)이 터지면서 선조를 피난시키는 등의 일을 담당하지만 임진왜란이 터지기 전에 나라를 그르치고 왜적이 침입하도록 했다는 명목으로 탄핵을 받아 파면된다.  어린시절 목은 이색(1328~..

5선 영의정 이원익

이원익(Lee Wonik, 1547~1634) 대수재임기간군주영의정 재임851598. 11 ~ 1599. 07*선조31년 ~ 선조 32년871599. 11 ~ 1600. 02선조32년 ~ 선조 33년941608. 03 ~ 1609. 09*광해군 원년 ~ 광해군1년961611. 09 ~ 1612. 07광해군3년 ~ 광해군4년1011623. 04 ~ 1627.01인조 원년 ~ 인조4년*선조(1552~1608, 재위1567~1608), 광해군(1575~1641, 재위1608~1623)출생1547년 조선 경기도 금천현 서면(현 경기도 광명시)에서 아버지 이억재(1503~1585)와 어머니 동래 정씨 사이에서 태어났고 아버지 이억재는 왕실 종친으로 종2품 하계 정의대부에 봉해진 인물이다. 이원익은 전주 이씨 왕실..

82대, 84대 영의정 류성룡

류성룡(Ryu Seong-ryong, 1542~1607, 영의정재임1592, 1593~1598)  출생1542년 조선 경상도 의성현(현 경북 의성군)에서 아버지 황해도 관찰사 류중영(1515~1573)과 어머니 안동 김씨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위로는 형 류운룡(1539~1601)이 있다. 배경임진왜란이라는 전시상황에서의 영의정으로서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를 보필하고 전쟁을 수행하면서 국난을 극복하게끔 한 장본인이다. 여러 평가가 나뉘지만 전란의 위기의 조선을 구했다는 평가가 후에 이루어졌다.  퇴계문하의 천재퇴계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뛰어난 머리로 이황에게도 높이 평가받으면서 학문을 익히다가 1564년 생원,진사(소과)가 되어 1565년 성균관에 들어가서 1566년에 별시 문과에 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