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진왜란 14

정운

정운, 1543~1592   출생1543년(중종37년) 조선 전라도 영암군 옥천종면 대산리(현 전남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에서 아버지 정응정과 어머니 (미상)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무관으로 1570년(선조3년) 식년시 무과 병과로 급제한 뒤 훈련원봉사, 수군권관, 거산찰방, 웅천현감등을 지내는데 워낙 강직한 성격으로 윗전의 미움을 받아 몇년동안 벼슬길이 막혀버리기도 한다. 이후 1591년(선조24년) 녹도 만호로 부임받아 전라도로 내려간다. 이듬해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의 휘하로 소속되어 옥포, 당포, 당항포, 율포, 한산도등 여러 해전에서 공을 세워 인정을 받다가 1592년 9월에 벌어진 부산포해전에서 우부장으로서 선봉대에서 왜 수..

의병장 임계영

임계영, 1528~1597  출생1528년(중종22년) 전라도 보성군 조성면에서 아버지 임희중(?~?)과 어머니(정보없음)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임진왜란(1592~1598) 당시 의병장으로 임진왜란 발발 직후 의병을 일으켜 동향인 전라도 지역에서 의병장으로서 왜군을 막은 인물이다. 1576년(선조9년) 48세의 늦은 나이로 별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면서 진보 현감을 지내고 더이상 관직에 욕심이 없어 현감 임기가 끝난 이후 고향으로 돌아가 조용히 지내다가,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고향 보성에서 의병을 일으킨다. 전라도 화순 출신 의병장 최경회(1532~1593)와 함께 활동하며 전라도, 경상도 일대의 왜군들을 격파하는 활동을 보이고, 제1차, 2차 진주성 전투에도 참전하였었다. 이후 명..

한산도 대첩

한산도 대첩, 1592. 08. 14   배경임진왜란이 발발한지 3개월이 되던 시점인 1592년 8월(선조25년), 경상도 해안 한산도 근방에서 큰 해전이 일어난다. 이 전투가 벌어지기 전 왜군은 육지로는 우세를 보이지만 조선 수군에게 연패당하며 점점 동쪽으로 밀려나고 있었는데,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1537~1598, 관백재위1585~1592, 태합재위1587~1598)가 육군에 있던 와키자카 야스하루(1554~1626)를 수군으로 급파시켜 조선 수군 토벌을 명령한다.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은 거제도와 가덕도 인근에서 왜군의 해군증강을 목격하고 전라우수사 이억기(1561~1597), 경상우수사 원균(1540~1597)등과 합세해 총55척의 전력으로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73척의 함대..

영의정 이양원

이양원, 1526~1592  출생1526년 아버지 이학정(?~?)과 어머니 동래 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명종(1534~1567, 재위1545~1567)대 1556년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대에 주로 활동하던 관리로, 전주 이씨 왕족 출신으로서 2대 정종(1357~1419, 재위1398~1400)의 7남 선성군(1392~1460)의 4대손이다. 1563년(명종18년) 명나라 서장관으로서 종계변무사로 임명되어 명나라로 가서 [태조실록], [대명회전]등에 태조 이성계(1335~1408, 재위1392~1398)의 아버지가 고려말기 권신 이인임(1312~1388)으로 잘못 기재되어있는 것을 이성계의 친부인 이자춘(추존 환조, 1315~1360)으로 수정하..

우의정 김명원

김명원, 1534~1602  출생1534년(중종28년) 아버지 김만균(?~1549)과 어머니 순흥 안씨 사이에서 2남2녀로 태어났다.  배경퇴계 이황(1502~1571)의 문하생으로 수학했으며, 1561년 관직에 진출한 이후부터 철저함을 갖춘 꼼꼼한 성격에 강직함까지 갖춰 행정업무에 있어서 빈틈이 없었고 다양한 요직들을 고루 거치며 1583년 니탕개의난, 1589년 발생한 정여립의 난으로 일어난 기축옥사를 잘 수습했다는 평을 받고,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도원수로서 방어임무를 맡지만 전투지휘에서는 크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한다.  관리김명원은 1558년 사마시에 합격해 성균관에 들어가서 수학한 뒤 1561년 식년문과 3위로 급제하면서 관리가 된다.  직위소속, 기타1561년식년문과 갑과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