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헌부 배경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존재했던 법, 감찰 업무 담당 관청으로 현재의 헌법재판소 & 검찰청 역할. 고려시대 때에는 어사대, 감찰사등으로 명목을 이어오다가 사헌부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 때는 고려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때이고, 이후 1392년 조선이 건국되면서 고려의 제도를 답습해 사헌부는 고려를 이어 조선에서도 존속 운영된다. 사헌부 양사(사헌부, 사간원)와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로 구성되는 기관중 하나. 양사로서는 사간원과 함께 언론의 역할을 하여 양사합사, 대간교장이라고도 했고, 성종(1457~1494, 재위1469~1494)대에는 홍문관까지 합해져 언론삼사라 불렸다. 사헌부는 중앙, 지방의 문무백관에 대한 감찰, 탄핵, 언론등의 역할을 맡은 관청으로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