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려공민왕 4

사헌부

사헌부  배경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존재했던 법, 감찰 업무 담당 관청으로 현재의 헌법재판소 & 검찰청 역할. 고려시대 때에는 어사대, 감찰사등으로 명목을 이어오다가 사헌부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 때는 고려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때이고, 이후 1392년 조선이 건국되면서 고려의 제도를 답습해 사헌부는 고려를 이어 조선에서도 존속 운영된다. 사헌부 양사(사헌부, 사간원)와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로 구성되는 기관중 하나. 양사로서는 사간원과 함께 언론의 역할을 하여 양사합사, 대간교장이라고도 했고, 성종(1457~1494, 재위1469~1494)대에는 홍문관까지 합해져 언론삼사라 불렸다. 사헌부는 중앙, 지방의 문무백관에 대한 감찰, 탄핵, 언론등의 역할을 맡은 관청으로서 ..

행정기구/조선 2025.02.03

고려시대 품계

고려의 품계I. L'introduction고려의 품계는 조선의 품계와 차이가 조금 나는데, 고려 국조인 태조(877~943, 재위918~943)때 마련된 품계는 태봉의 품계를 참고했었고(9품16계, 문관무관 상관없이 모두적용, 명칭이 없었음) 이후 6대인 성종(961~997, 재위981~997)대 995년(성종14년)에 문치주의 국가인 북송(북송은 또한 당나라의 제도를 도입함. 문산계, 무사계)의 품계를 도입해 재편성되면서 정식 관작과 함께 품계로 활용이 된다. 성종은 15품을 만들고 이후 11대 문종(1019~1183, 재위1146~1183)대 1176년(문종30년)에 들어 29품으로 개편된다. 이후로는 문산계 개편정도만 이루어지다가 조선에 들어서 고려의 품계를 참고하여 다시 품계가 정비된다. II. ..

31대 공민왕

Kongmin de Goryeo, 1330~1374, 재위1351~1374출생1330년 아버지 충숙왕(1294~1339, 재위1313~1330, 1332~1339)과 어머니 공원왕후 홍씨(명덕태후, 1298~1380)사이에서 태어남. 본명은 왕전 몽골식 이름은 바얀테무르. 위로는 동복형 충혜왕(1315~1344, 재위1330~1332, 1339~1343)이 있다. 배경원나라 간섭기 군주로서, 고려 말기 혼란스러운 틈에서 개혁을 하고자한 개혁군주로 원나라 간섭기를 벗어나 1259년 이전의 자주성을 가진 고려로 돌리려고 시도했던 군주이다. 원 탈피 첫단계는 권문세족(친원)을 숙청하여 원과 고려의 권력연결고리를 끊는 거였고, 노비를 해방시키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해 악법으로 행한 불법적 토지를 국가로 회수해 ..

30대 충정왕

Chungjeong de Goryeo, 1338~1352, 재위1348~1351  출생1338년 아버지 충혜왕(1315~1344, 재위1330~1332, 1339~1343)과 어머니 희비 윤씨(충혜왕 제2비, ?~1380)사이에서 태어남. 본명은 왕저. 배경이복형이였던 충목왕(1337~1348, 재위1344~1348)이 11세로 승하하면서 뒤를이어 고려 30대 국왕이 되는데, 형 충목왕과 비슷한 나이에 즉위하면서(10세) 섭정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섭정자리를 놓고 충혜왕의 1비인 덕녕공주와 2비인 희비 윤씨(충정왕 모친)사이에서 다툼이 벌어지는데, 원나라 황실 출신인 덕녕공주가 우선순위를 차지하면서 섭정을 맡게 된다.그러나 충정왕 재위시기 끝부분으로 갈수록 환관과 외척세력의 전횡이 심해지는데, 드라마 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