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로크시대 화가들 17

안니발레 카라치

안니발레 카라치(Annibale Carracci, 1560~1609)출생1560년 볼로냐에서 태어났다. 배경바로크 초기 화가로 르네상스 말기 무렵 예술가 미켈란젤로(Michelangelo, 1475~1564), 티치아노(Tiziano, 1488~1576), 베로네세(Veronese, 1528~1588)등의 작품에 영향을 받아 과거 르네상스 전통의 부활과 동시에 초기 바로크 미술의 현대성의 조화를 꾀한 예술가로 이름알려져 있다. 과거의 예술에서 보인 원칙적 표현을 구현하는 대신 매너리즘에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는 초기 바로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카라바조(Caravaggio, 1571~1610), 루벤스(Rubens, 1577~1640)와 함께 바로크 회화를 탄생시킨 장본인이다.  활동카라치는..

잔 로렌초 베르니니

잔 로렌초 베르니니(Giovanni Lorenzo Bernini, 1598~1680)출생1598년 나폴리왕국 나폴리(Napoli)에서 아버지 피에트로 베르니니(Pietro Bernini, 1562~1629)와 어머니 안젤리카  갈란테(Angelica Galante, 1575~1647)사이에서 태어남. 조각가 아버지잔 로렌초의 아버지 피에트로 베르니니는 조각가로서 시피오네 보르게세 추기경밑에서 1605년부터 일하기 시작했는데, 보르게세 가문출신 교황 바오로5세(Paulus PP. V, 1552~1621, 재위1605~1621)의 건설현장에서 일했는데, 그는 대표적으로 산타마리아 마조레 세례당의 '성모승천'과 파올리나 예배당등을 만들었다. 데뷔잔 로렌초는 조각가인 아버지와 함께 참여하여 그의 재주가 안니발레..

렘브란트

본명 : 렘브란트 하르먼손 반 레인 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Rembrandt, 1606~1669출생1606년 네덜란드(프로방스 연맹) 라이덴(Leyde)에서 아버지 Harmen Gerritszoon van Rijn과 어머니 Neeltje Willemsdr. Zutbrouck사이에서 태어남. 교육다른 아이들처럼 1612~1616년동안 초등교육을 받고, 1616~1620년동안 엄격한 칼뱅주의를 표방하는 학교에서 중, 고등교육을 받았음. 이때 처음으로 드로잉 레슨을 받게되고, 연극 딕션교육까지 받게 됨. 다양하게 그림, 판화의 기초교육을 받을때 동향출신에 렘브란트와 비등비등했던 화가 얀 리번스(Jan lievens, 1607~1674)와 이때 같이 교육을 받는다. 견습생1623년..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요하네스 페르메이르(Johannes Vermeer, 1632~1675)출생1632년 네덜란드 델프트에서 아버지 Reijnier Janszoon Vermeer와 어머니 Digna Baltus사이에서 둘째로 태어남(위로는 누나한명). 정체불명누구에게 견습을 받았는지는 현재까지 문서가 발견되지 않아서 모르지만, 1640년대 말부터 화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고 보면 됨. 공식기록은 1653년 델프트의 성-루가 길드의 일원으로서 활동을 시작했기 때문(여기에 가입하기위해선 6년간의 교육기간을 미리 거쳐가야하기 때문). 같은시대의 화가 렘브란트의 제자이름도 언급이되어있는등 간접적으로 렘브란트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음. 결혼1653년 4월, 벽돌상인출신 부유한 카톨릭 신자집안의 카트린 볼네스와 결혼하지만, 칼뱅주..

이아생트 리고

Hyacinthe Rigaud(1659~1743) 출생프랑스 남부 페르피냥 출생저번에  글올린 화가 프랑수아 드 트루아(Francois de Troy, 1645~1730)과 더불어 프랑스 바로크시대 초상화가중 가장 명성이 높은 화가. 트루아와는 다르게 당시 부르봉왕조에 절대충성하며 명성을 크게 얻게되며, 4대에 걸쳐 초상화화가를 배출하게 됨.현재의 위키피디아 루이14세 게시물에 올라와있는 루이14세의 초상화역시 리고가 그린 초상화로 아래의 그림은 '성스러운 의상을 입은 루이14의 자화상, 1701'의 주인공. 충!성! 부르봉트루아의 초상화(귀족적, 화려함)와는 다르게 군주,귀족의 위엄, 우아함, 질서에 좀 더 포인트를 맞춘 스타일의 기법을 써서 그런지(귀족들이 화려함보다는 위엄함을 좀 더 선호했던 것 같..

프랑수아 드 트루아

François de Troy (1645~1730) 출생프랑스 바로크 화가, 1645년(루이14세, 재위2년) 프랑스 툴루즈 출생.아버지 앙투안 니콜라 드 트루아(1608~1684), 툴루즈 시청소속 화가. 남동생 장 드 트루아(1638~1691)역시 화가. 그리고 로코코시대의 유명 역사화가 장 프랑수아 드 트루아(Jean François de Troy, 1679~1752)역시 화가. 여기도 예술가 집안. 니콜라 루아르 (Nicolas Loir, 1624~1679) 밑에서 공부했고(1650년대 중반), 이후 1662년 당시 유명한 초상화 화가인 클로드 르페브르(Claude Lefèvre, 1632~1675)밑에서 공부하게됨. 이 두명의 스승밑에서 가르침을 받은 것이 후에 역사화가로서, 초상화가로서의 어마..

살바토르 로사

살바토르 로사(Salvator Rosa, 1615.07.22~1673.03.15) 출생이탈리아 바로크 화가로서 1615년 7월 22일, 스페인 합스부르크령 나폴리 왕국 아레넬라(Arenella)에서 아버지 안토니오 데 로사(Antonio de Rosa, ?~?)와 어머니 줄리아 그레코(Giulia Greco,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파르마 출신 화가 조반니 란프랑코(Giovanni Lanfranco, 1582~1647)의 제자로서, 로사는 란프랑코의 추천으로 로마로유학(1634)가자마자 말라리아에 걸리고, 다시 돌아오자마자 독특한 풍경화 화법을 개발하게되는데, (이때충격이 컸나?) 나폴리의 천혜의 자연의 풍경이 생생하게 묘사되었을 뿐만아니라 낭만적인 느낌까지 표현해 내버린다.이런 그림들이 조금..

프란츠 할스

프란츠 할스(Frans Hals, 1580~1666)출생1582년 네덜란드 안트베르펜(Antwerpen)에서 아버지 프란츠 할스 반 메켈렌(Fransz Hals van Mechelen, 1542~1610)과 어머니 아드리아나 할스(Adriana Hals, 1555~?)사이에서 태어났다. 설명안트베르펜에서 태어났는데 이곳은 페테르 파울 루벤스(Peter Paul Rubens, 1577~1640)가 인생절반을 살아온곳이고 앞선게시물의 주인공이자 루벤스의 제자 안토니 판 다이크가 태어난 곳이다. 프란츠 할스는 네덜란드의 초상화 창시자이며 완성까지 시킨 아주 중요한 작가이다. 굳이 따지자면 네덜란드 초상화계에서 다이크가 모차르트라면 할스는 바흐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다. 집단 초상화라는 구성에 있어서는 ..

조르주 드 라 투르

조르주 드 라 투르(Georges de La Tour, 1593~1652) 출생1593년 로렌 공국 낭시근처 마을 빅-쉬흐-쎄이으(Vic-sur-Seille)에서 아버지 장 드 라 투르(Jean de la Tour, 1569~1617)와 어머니 씨빌 몰리안(Sibylle Molian, 1560~1626)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프랑스 바로크, 고전주의 화가로 촛불화가로도 알려져있는 화가로 바로크 창시자인 카라바조(Caravaggio, 1571~1610)의 명암대조법 영향을 받아서 그 영향을 극대화시키기위해 촛불을 사용하여 명암을 더 극대화시키면서 시선을 집중시키는 기법을 사용했다. 위 그림처럼 임신한 여인이 오른손엔 해골을 어루만지며 초를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 삶의 허무함과 죽음이 느껴질만큼 분위기가..

디에고 벨라스케스

Diego Velázquez(1599~1660)스페인 바로크 화가,  펠리페 4세 (프랑스어 Philippe IV, 스페인어 Felipe IV) 궁정을 주도하던 화가.초상화 화가로도 유명함. 파체코(1564~1644)의 제자이기도 함.. 출생1599년(펠리페3세, Felipe III, 재위원년) 세비야 출생, 1611년(펠리페3세, 재위 12년) 파체코의 문하생으로 들어가면서부터 미술교육이 시작되는데 수년간 교육을 받고 또한 파체코의 마음에 들었을까?.. 1618년에 파체코의 딸 후아나(1602~1660)와 결혼하기에 이른다역시 인복이 있었던가? 1622년(펠리페4세, Felipe IV, 재위원년)까지 세비야에있다가 그해 왕의 사제(돈 후안 드 폰세카, Don juan de Fonseca, 1585~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