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위급 귀족 & 관리/조선 60

이운룡

이운룡, 1562~1610  출생1562년(명종17년) 조선 경상도 청도(현 경남 청도군)에서 아버지 이몽상(1530~?)과 어머니(?~1602)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경상도 청도에서 남해현령 이몽상의 아들로 태어나 1585년(선조18년)별시 무과 병과로 급제한다. 동북방 여진 국경지대쪽에서 복무하면서 녹둔도 전투에 참전하는데 당시 녹둔도 둔전관과 조산보 만호를 겸임하던 이순신(1545~1598)과 함께 참전하지만 피해가 발생했음에도 최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포로를 구출하는 전과를 올리지만 패전의 책임을 북병사 이일(1538~1601)이 책임을 물어 이순신과 이운룡, 이경록(1543~1599)등을 옥에 가두지만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는 이들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충분히 잘 싸워..

이영남

이영남, 1563~1598   출생1563년(명종18년) 조선 충청도 진천현 산정면 기지리(현 충북 진천군 덕산읍 기전리 기지마을)에서 아버지 이사종()과어머니(미상)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무신으로 1584년(선조17년)별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되어 관직에 오르는 인물이다.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할 시기 이영남은 율포권관으로 재직하고 있었고 당시 경상우수사 원균(1540~1597)의 휘하로 재직하며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는데 다대포진이 공격받을 때 경상좌수사 박홍(1534~1593)이 도망쳐버리고 자신의 상관 경상우수사마저 동래성 함락 이후 도망치려고 하면서 이영남은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에게 원군을 요청해 연합하게 되면서 옥포, 당포, 당항포, 율포, ..

원균

원균, 1540~1597   출생1540년(중종34년) 조선 경기도 진위현 여방면 내리(현 경기도 평택시 도일동)에서 아버지 원준량(1520?~1571)과 어머니 남원 양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시대 무신으로 전라우수사를 지낸 원준량의 아들이였는데 1564년(명종19년) 당시 경상우병사였던 원준량은 원균의 무과 초시에 규칙을 위배하면서까지 응시시키고 이로인해 합격했다는 죄목으로 탄핵을 당하고 원균역시 무과 초시 합격이 취소된다. 이후 재시험, 삼수, 사수등을 치르지만 낙방을 거듭하다가 겨우겨우1567년(선조원년)식년 무과 을과로 급제한다. 이후 선전관, 조산보만호, 거제현령, 종성부사, 전라좌수사등을 역임하지만 거제현령당시 부족한 능력이 비판받..

정운

정운, 1543~1592   출생1543년(중종37년) 조선 전라도 영암군 옥천종면 대산리(현 전남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에서 아버지 정응정과 어머니 (미상)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무관으로 1570년(선조3년) 식년시 무과 병과로 급제한 뒤 훈련원봉사, 수군권관, 거산찰방, 웅천현감등을 지내는데 워낙 강직한 성격으로 윗전의 미움을 받아 몇년동안 벼슬길이 막혀버리기도 한다. 이후 1591년(선조24년) 녹도 만호로 부임받아 전라도로 내려간다. 이듬해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의 휘하로 소속되어 옥포, 당포, 당항포, 율포, 한산도등 여러 해전에서 공을 세워 인정을 받다가 1592년 9월에 벌어진 부산포해전에서 우부장으로서 선봉대에서 왜 수..

211대 영의정 심환지

심환지, 1730~1802 재임 기간재임기간 군주211대 영의정1800. 08. 23 ~ 1802. 11. 13순조원년 ~ 순조2년출생1730년(영조6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심진(?~?)과 어머니 거창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후기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시기 때 문신으로 당시로서 많이 늦은 나이인 41세(1771년, 영조47년)에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관리가 되어 늦깎이 벼슬살이를 시작하는 인물이지만 이후 승진속도가 빨라져 부수찬, 부교리, 세자시강원 문학, 필선, 대사성, 대사간, 대사성, 도승지, 대사헌, 병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정승의 반열인 우의정, 좌의정을 거친다음 1800년(순조원년)정조가 갑자기 승하하면서 당시 정순왕후(영조의 계비, 1745~..

송상현

송상현, 1551~1592   출생1551년(명종6년) 조선 전라도 정읍현(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아버지 송복흥(1527~1594)과 어머니 안동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1576년(선조9년)문과로 급제한 송상현은 내직과 외직 두루 거쳐 1584년(선조17년) 명나라에 종계변무사 사신으로 다녀오기까지 한다. 1591년(선조24년)당상관으로 승진하고 경상도 동래 부사로 임명되기에 이른다. 동래 부사에 부임한지 겨우 1년이 지난 시점인 1592년 5월 23일, 왜1군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1558~1600)의 1군 선봉대가 부산 앞바다에 나타나면서 임진왜란이 발발한다. 임진왜란(1592~1598)이 발발한지 이틀만에 부산진과 다대진이 함락당하고, 왜군들이 동래성으로 쳐들어오자 동래 부사 송상현..

부산진첨사 정발

정발, 1553~1592출생1553년(명종8년) 조선 경기도 연천군 마전면에서 아버지 정명선(1517~1566)과 어머니 함열 남궁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무인으로 1577년(선조10년) 24세가 되었을 때 별시 무과 병과 7위로 급제하여 무인이 된 다음 현감, 현령등을 지냈다가 1592년(선조25년) 정3품 상계(당상관) 절충장군에 오르게 되면서 경상도 부산진성 부산진첨절제사(줄여서 부산진첨사)가 된다. 그러나 부산진첨사가 된지 몇개월 되지도 않은 시점에 임진왜란(1592~1598)이 발발한다. 정발은 왜군이 부산 앞바다에 쳐들어올 때 절영도(현 부산광역시 영도구)에서 사냥훈련 중이였는데 왜에서 조공을 하러 오는 쇄견선이라 여겼었는데, 공격을 자행하는 왜 함선을 목격하고 부산진성으로 급..

98대 영의정 기자헌

기자헌, 1563~1624 재임 기간군주98대 영의정 1614. 02. 27 ~ 1617. 10. 01광해군6년 ~ 광해군9년  출생1563년(명종18년), 조선 한성부 성저십리 청파(현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동)에서 아버지 기응세(1539~1585)와 어머니 선산 임씨(임백령의 딸)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중기 문신. 성균관 시절부터 동인성향을 보여오다가 1589년(선조22년) 정여립의 난때 위관으로 혹독하게 다루던 정철(1536~1594)에 반감을 가져 이후 정철이 탄핵되어 처벌될 상황에 놓였을 때 동인이 강경파와 온건파로 갈라질 때 강경파를 택하게 되어 북인이 된다.    관리1582년(선조15년) 성균관 유생이 되어 동인 성향으로 생활, 수학하다가 1589년(선조22년) 정여립의 난때 위관으로..

정기룡

정기룡, 1562~1622  출생1562년 경상도 곤양현 금양면 중평리(현재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에서 아버지 정호(1550~1595)와 분성 김씨(김의손의 딸)사이에서 태어남. 초명은 무수.  배경임진왜란(1592~1598)당시 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사를 역임했던 무신으로 1580년(선조13년)향시에 합격후 1586년(선조19년) 무과에 급제한 뒤에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의 명에 따라 기룡으로 개명하고 1590년(선조23년)당시 명장으로 이름이 높았던 신립(1546~1592)의 동생인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신할(1548~1592)의 휘하에 들어가서 복무한다.   관리로1562년(명종17년) 경상도 하동에서 태어나 18세때인 1580년(선조13년) 경상도 고성에서 향시에..

196대 영의정 김양택

김양택, 1712~1777 재임기간군주196대 영의정1776. 05. 06 ~ 1776. 09. 19정조(이산, 1752~1800, 재위1776~1800)  출생1712년 정2품 예조판서를 역임한 김진규(1658~1716)와 어머니 연일 정씨(정소하의 딸) 사이에서 2남4녀중 막내아들로 태어남. 사계 김장생(1548~1631)의 5대손.  배경노론의 당색을 가진 인물로,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가 세손시절일 때 부터 스승인 인물이였다. 할아버지 김만기(1633~1687), 아버지 김진규(1658~1716), 본인 김양택까지 3대가 대제학을 역임한 것으로 당대에 명망이 높았다. 1743년 알성 문과 병과로 급제후 정7품 세자시강원 겸설서가 되면서 영조(1694~1776, 재위17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