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위급 귀족 & 관리/조선 61

이운룡

이운룡, 1562~1610 출생1562년(명종17년) 조선 경상도 청도(현 경남 청도군)에서 아버지 이몽상(1530~?)과 어머니(?~1602)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경상도 청도에서 남해현령 이몽상의 아들로 태어나 1585년(선조18년)별시 무과 병과로 급제한다. 동북방 여진 국경지대쪽에서 복무하면서 녹둔도 전투에 참전하는데 당시 녹둔도 둔전관과 조산보 만호를 겸임하던 이순신(1545~1598)과 함께 참전하지만 피해가 발생했음에도 최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포로를 구출하는 전과를 올리지만 패전의 책임을 북병사 이일(1538~1601)이 책임을 물어 이순신과 이운룡, 이경록(1543~1599)등을 옥에 가두지만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는 이들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충분히 잘 싸워..

이영남

이영남, 1563~1598 출생1563년(명종18년) 조선 충청도 진천현 산정면 기지리(현 충북 진천군 덕산읍 기전리 기지마을)에서 아버지 이사종()과어머니(미상)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무신으로 1584년(선조17년)별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되어 관직에 오르는 인물이다.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할 시기 이영남은 율포권관으로 재직하고 있었고 당시 경상우수사 원균(1540~1597)의 휘하로 재직하며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는데 다대포진이 공격받을 때 경상좌수사 박홍(1534~1593)이 도망쳐버리고 자신의 상관 경상우수사마저 동래성 함락 이후 도망치려고 하면서 이영남은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에게 원군을 요청해 연합하게 되면서 옥포, 당포, 당항포, 율포, ..

원균

원균, 1540~1597 출생1540년(중종34년) 조선 경기도 진위현 여방면 내리(현 경기도 평택시 도일동)에서 아버지 원준량(1520?~1571)과 어머니 남원 양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시대 무신으로 전라우수사를 지낸 원준량의 아들이였는데 1564년(명종19년) 당시 경상우병사였던 원준량은 원균의 무과 초시에 규칙을 위배하면서까지 응시시키고 이로인해 합격했다는 죄목으로 탄핵을 당하고 원균역시 무과 초시 합격이 취소된다. 이후 재시험, 삼수, 사수등을 치르지만 낙방을 거듭하다가 겨우겨우1567년(선조원년)식년 무과 을과로 급제한다. 이후 선전관, 조산보만호, 거제현령, 종성부사, 전라좌수사등을 역임하지만 거제현령당시 부족한 능력이 비판받..

황세득

황세득, 1537~1598 출생1537년 조선 충청도 직산(현 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서 아버지 황종식(?~?)과 어머니 진주 강씨(강위빙(1569~1637)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성주 황씨이다. 배경성주 황씨의 시조이며, 고려시대 당시 문신이자 상주 황씨의 시조인 황석주의 17대손이다. 조선 중기 임진왜란(1592~1598)당시 무관으로 전주 이씨 왕실 종친이자 전라우수사인 이억기(1561~1597)의 휘하인 장흥부사로서 해전에 참전(당항포해전, 율포해전, 부산포해전)하여 전공을 세운 인물이다. 1564년(명종19년)무과에 급제해 무관으로 살아오다가 장흥부사에 이르렀을 쯤인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위와같이 해전에서 수많은 공을 세우고, 1596년(선조29년) 사..

정운

정운, 1543~1592   출생1543년(중종37년) 조선 전라도 영암군 옥천종면 대산리(현 전남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에서 아버지 정응정과 어머니 (미상)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무관으로 1570년(선조3년) 식년시 무과 병과로 급제한 뒤 훈련원봉사, 수군권관, 거산찰방, 웅천현감등을 지내는데 워낙 강직한 성격으로 윗전의 미움을 받아 몇년동안 벼슬길이 막혀버리기도 한다. 이후 1591년(선조24년) 녹도 만호로 부임받아 전라도로 내려간다. 이듬해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의 휘하로 소속되어 옥포, 당포, 당항포, 율포, 한산도등 여러 해전에서 공을 세워 인정을 받다가 1592년 9월에 벌어진 부산포해전에서 우부장으로서 선봉대에서 왜 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