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의 군주/백제의 군주 4

백제 왕 계보

백제 왕 계보백제 왕은 32대 정통678년(BC18 ~ 660), 비정통681년(BC18 ~ 663)간 유지된 고대 한국 삼국시대때 국가인 백제의 군주를 칭하며 어라하 또는 건길지로 불렸다. 백제는 초대 온조왕(?~28, 재위BC18~28)부터 정통으로는 31대 의자왕(?~660, 재위641~660)까지, 비정통으론 32대 풍왕(부여풍, 623~?, 재위660~663)까지 이어지며 백제 군주의 성씨는 '부여'씨이다. 아래 표는[삼국유사, 일본서기]자료 활용하여 정리하였고, 9대 책계왕 이전의 군주들은 신뢰도가 낮아(재위기간이 50년정도에 전후관계가 맞지않음)사실상 신뢰도가 높은 9대 책계왕대부터가 현실적일 것이다.  왕명휘생몰년도 (재위)재위기간비고, 키워드1대온조왕부여온조? ~ 28 (재위BC18~28..

13대 근초고왕

근초고왕(Geunchogo de Baekje, ?~375, 재위346~375)  출생300년대 초 추청 백제 위례성에서 아버지 11대 비류왕(?~344, 재위304~344)와 기록미상의 모친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구'이다. 배경백제의 최전성기를 이끈 군주로서 내치, 외치 모두 큰 성과를 거두면서 세력을 크게 확장한 시기. 백제의 정복군주로서 가야, 마한, 고구려까지 공격해서 371년에 평양성에서 고구려 대왕 고국원왕(300?~371, 재위331~371)까지 전사시키면서 그 명성이 한반도에 널리 떨쳐지게 된다. 중원의 동진, 왜나라등과도 교류해 백제의 문화를 전파시키고 불교가 중흥하는 시기로서 많은 역사적 가치를 지닌 것들이 이때 많이 만들어지게 된다.  즉위12대 계왕(?~346, 재위344~346..

14대 근구수왕

근구수왕(Geungusu, ?~384, 재위375~384)  출생출생년도는 미상, 아버지 근초고왕(?~375, 재위346~375)과 어머니 진씨사이에서 출생했으며 본명은 '부여수'이다.  배경태자시절부터 아버지 근초고왕과 같이 전쟁터에 나가서 많은 전공을 세우면서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게 하는 등의 전공을 세우면서 군인으로서의 위용을 보이지만 정작 오랜기간동안의 고구려와의 전쟁으로 인해 즉위할때 상황은 좋지 못하다. 그리고 4대에 걸친 외척세력을 무시할 수도 없는 실정에서 재위를 이어나간 왕이다. 서기 369년태자시절인 369년은 부여수(근구수왕)에게있어선 아주 바쁜 한해라고 할 수 있겠다. 아버지 근초고왕과함께 남방 마한(마한은54개의 부족국가 연맹임)을 치면서 54개 부족국중 4개국의 항복을 받..

16대 진사왕

진사왕(Jinsa de Baekje, ?~392, 재위385~392)  출생출생년도는 미상이며, 아버지 14대 어라하 근구수왕(?~384, 재위375~384)과 어머니 아이부인 진씨(근구수왕의 제1왕비, ?~?)사이에서 둘째로 태어났다. 위로는 형 15대 침류왕(?~385, 재위384~385)이 있으며 본명은 '부여진사'이다. 배경형 침류왕이 384년에 즉위하고 즉위한지 1년만에 서거해버리면서, 형 침류왕의 어린아들인 부여아신(미래의 아신왕, ?~405, 재위392~405)을 대신해서 본인이 백제의 어라하로 즉위하게 된다. 삼국사기와 일본서기는 이 즉위과정을 다르게 해석하고 있는데, 삼국사기에서는 아신의 나이가 너무어려 숙부인 진사가 대신 즉위했다고 하고, 일본서기에서는 진사왕이 아신의 왕위를 찬탈해 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