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의 직책 2

정,종5품 교리

정,종5품 교리  배경조선시대 최초의 교리 직위는 1399년(정종1년) 집현전이 설치되면서 5품 이하의 문신이 교리를 겸직하게 되면서 역사가 시작되는데, 이후 1401년(태종1년)교서감을 교서관으로 개편하면서 교서관 교리직이 설치되고, 1409년(태종9년) 승문원 교리가 설치, 세종(1397~1450, 재위1418~1450)대인 1420년(세종2년) 유명무실했던 집현전을 재건하면서 정5품 관리를 교리로 임명하게 된다. 홍문관의 모태가되는 집현전이 그 시초이였는데 그러나 1456년(세조1년) 집현전의 관리들이 단종 복위 운동명목으로 세조를 제거하려 모반을 꾀했다가 모두 숙청당하고 세조는 집현전을 폐지해버린다. 1463년(세조8년)집현전을 계승했던 홍문관이 설치되고 예문관 관원이 교리직을 대행하다가 1478..

조선의 직책 2025.02.13

이조전랑

이조전랑이조정랑 + 이조좌랑  배경조선시대 인사담당 중간급 실무자로 정5품 이조정랑과 정6품 이조좌랑을 합쳐서 부르는 말. 전랑은 크게 자대권, 통청권, 낭청권이라는 3가지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때 각각 정원3인으로 정해 이후 1485년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상대적으로 낮은 품계에 위치했던 직위였지만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의 청요직을 추천하고 관리를 선발할 수 있는 권한과 더불어 당하관(정3품하계~종9품)에 대한 인사권을 가지고 있던 요직. 거기다가 자신들의 후임을 천거할 수 있어서 당시 당쟁을 일삼던 조선의 조정분위기에서는 세력을 키우기 위해서 반드시 자기편 세력을 이조전랑직에 올리고 싶어했을 만큼 요직이였다.그러나 이 이조전랑 직..

조선의 직책 2025.02.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