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I 이론/원자와원자핵 6

X, γ선/광전효과

3. χ선, γ선전자기 방사선의 일종. 전자기파 : 빛과 마찬가지로 파동으로서의 성질과 입자로서의 성질 모두 갖춤.하전입자와의 차이는 전자기방사선은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쿨롱포스가 미치지 않음. 이리하여 하전입자와는 상호작용 방식도 다름. 전자기 방사선 상호작용의 대표적인 과정들은 아래에. 3-1. 광전효과( 프 : l'effet photoélectrique , 영 : photoelectric effect ) 설명E가 원자핵/궤도전자의 결합에너지보다 높을 때궤도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의 영향 벗어나, 튀어나감 E가 원자핵/궤도전자의 결합에너지보다 낮을 때 궤도전자가 원자핵에 계속 묶여있음. 속박상태결국 이 현상은 궤도전자를 원자로부터 분리되어지는 현상을 의미함. 이 현상의 결과로, 운동에너지는 원래..

5. 원자의 결합에너지/핵력

3. 결합에너지결합에너지는 원자핵을 양성자와 중성자로 다시 떼어놓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임. 비결합에너지(핵자당 결합에너지) 결합에너지에 핵자수를 나눈 것임.원자핵을 구성하고 있는 핵자(양성자,중성자)는 강한 핵력으로 결합되어있는 상태인데, 이상태가 독립된상태로 있는 것보다 퍼텐셜에너지가 낮으므로 안정된 상태이다.결합에너지가 클수록 원자핵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원자 번호가 다른 원소들의 안정/불안정성은 단순하게 결합에너지로 비교하면 안되어서, 핵자당 결합에너지를 비교하여 안정/불안정성을 비교하는게 낫다.핵자의 결합에너지는 원소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철 Fe에서 그 값이 최대가 되고, 원자번호숫자가 커질수록 점점 값이 떨어진다.x축 질량수 20이상이면 비결합에너지는 거의 일정해지고, A=60부근에서 가장큼..

4. 원자의 질량과에너지

2. 질량과 에너지전기적으로 중성인 안정한 상태의 탄소-12 원자 질량을 12u 또는 12Da(1,66x10^-27kg)로 해서, 1/12하여 1u로 정의된 단위를 사용. 질량(kg)원자질량단위(u)에너지(MeV)양성자1,673 x 10^-271,007277938,278중성자1,675 x 10^-271,008665939,571궤도전자9,1 x 10^-310,0005480,511위 식 맨오른쪽 MeV에서 eV는 전자볼트(일렉트론볼트)라고하는 방사선의 에너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단위인데, 앞선 내용에도 설명했듯이, 전하e의 전자를 1V의 전위차로 가속시켰을 때 전자가 얻은 운동에너지를 뜻함.요즘엔 질량과 에너지 파트가 고2 물리학 중반파트에 나올정도가 되었다. 무려 아인슈타인 상대성원리에 따른 등가법칙이 ..

3.원자핵구조/마법수/물방울모형

1. 원자핵 구조1-1 Shell model과 마법수성질이 비슷한 핵자들이 한정된 좁은 공간에 밀집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게 원자핵이다. 그리고 원자와의 에너지준위 상태 또한 다르다근데 임의의 핵자수일 때, 원자핵이 안정된 상태에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같은 핵구를 shell model이라 하고 각 shell을 형성하는 숫자를 마법수*라고 함(프-nombre magique , 영-magic number). Shell model으로 원자핵의 들뜸상태, 알파붕괴등을 설명할 수있다. 그리고 핵퍼텐셜의 모양을 알면 핵자의 운동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어 핵에너지 준위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1940년대에 발견되었으며, 양성자나 중성자의 껍질이 모두 차서 에너지가 특별히 낮은 핵에서의 그 핵자의 수를..

2. 원자의들뜸/이온화

5. 원자의 크기원자의 크기 = 전자 궤도의 크기전자 궤도의 크기는 주양자수*n으로 결정되고,  원자의 크기는 전자 궤도의 최대반지름으로 결정됨.* 오직 자연수의 값만을 가질 수 있고, 양자수가 커질 수록 오비탈이 커지고 전자가 높은 포텐셜 에너지를 가지게 되어 핵에 덜 매여있게 된다. 반지름이 작은 안쪽 궤도부터 K(n=1), L(n=2), M(n=3)...으로 정의됨 보어 반지름 이라고 하는데, 이는 존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궤도 반지름 r = 0,0529 nm = 0,53 x 10^-10n^2(m)임.각 궤도에 들어갈 전자의 수는 파울리의 배타원리에 따라서 허용전자수는 2n^2개가 됨.원자핵의 크기는 10^-15m정도질량수 A와 원자핵의 반지름 R(m)과의 관계식을 정리함에있어 우즈-삭슨 형태로 ..

1.원자와 원자핵 - 원자

1. 원자의 변천과정라틴어 átŏmus, 프랑스어 atome, 이탈리아어 atomo, 영어 atom     "더이상 나누어 질 수 없는 기본" ●고대 그리스 데모크리토스와 레우키포스(기원전 5세기) - '원자론' 주장 "우주 전체의 근원은 원자와 허공 뿐이며, 다른 모든 것들은 관습적으로 믿어지는 것들이다"● 1803년 돌턴의 원자모형 - "돌턴의 원자설은 모든 물질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로 되어 있으며 원자의 종류가 다르면 크기와 질량이 달라진다" ● 톰슨의 원자모형(건포도 푸딩 원자모형, 1904년) - "원자는 구형이고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1909년 톰슨의 지도제자 러더퍼드와 공동연구자2명의 이름을 딴 가이거-마즈든 실험(알파입자 산란실험), 일명 행성모형 이론 - 원자 가운데에 원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