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 7

조선의 지방제도(행정구역)

조선의 지방제도(행정구역)8도체제로부터 시작. 조선 정부가 지방을 효과적으로 다스리기위해 마련한 제도.  배경조선의 지방제도는 신라시대때 9주, 고려시대때 12목으로 구획한 것을 바탕으로 했다. 1392년 건국이후 고려의 지방제도를 이어받고 이어받은 제도를 발전시켜 8도체제를 갖추게 된다. 1413년(태종13년)에 정해진 방식으로 당시 좌의정 하륜(1348~1416)의 건의에 따라 조선을 8도로 구획. 다음은 1413년 구획된 지방행정구역.   지방 장관(도 수장)지방 수령8도경기도종2품 관찰사 8도 각각 도 밑에 부, 대도호부, 목, 도호부, 군, 현 설치부 수장 : 부윤(종2품, 현재의 광역시장급)대도호부 수장 : 대도호부사(정3품 상계)목 수장 : 목사(종3품)군 수장 : 군수(종4품)현 수장 : ..

계유정난

계유정난(1453)1453년(단종1년), 조선4대 임금인 세종의 둘째 아들 수양대군(세조, 1417~1468, 재위1455~1468)이 조카인 단종(1441~1457, 재위1452~1455)의 왕위를 찬탈하고자 황보인, 김종서, 정분등의 반대파를 숙청해 정권을 장악한 사건.  배경세종(1397~1450, 재위1418~1450)은 장남인 문종(1414~1452, 재위1450~1452)과 차남인 수양대군(미래의 세조, 1417~1468, 재위1455~1468)이 있었는데,  세종은 이미 둘째아들 수양대군의 야심이 후대에 영향을 미칠 것을 걱정했었고, 1450년에 적장자로서 왕위에 오른 5대 문종은 건강이 좋지않아 스스로 오래 살지 못할 것 이라는 것을 예견하면서 자신의 어린 세자 단종을 염려해 대신 3명에게..

갑자사화

갑자사화(1504)조선 10대 임금 연산군(1476~1506, 재위1494~1506)이 1482년 어머니인 폐비 윤씨(1455~1482)가 폐출되고 사약을 받고 사사될때 이에 관련된 사람들을 잡아 국문 후 처형. 이럼에도 사화가 확대되어 당시 사사에 관련되었던 훈구 세력들까지 화가 미친 사건. 배경폐비 윤씨는 1476년 성종(1457~1494, 재위1469~1494)의 첫번째 왕비 공혜왕후 한씨(한명회의 딸, 1456~1474)가 1474년 서거하고 2년뒤 두번째 왕비가 된다. 그러나 남편인 성종에게도 불경한 말을 할 뿐만아니라 부도덕성(의경세자의 후궁 귀인 권씨집에 소용 정씨와 숙의 엄씨가 윤씨 본인과 원자인 연산군을 해하려 한다는 내용을 적은 투서를 날리지만 주변사람을 시켜 꾸며낸 일이였음)과 저주행..

경신환국(1680)

경신환국조선 19대 임금인 숙종(1661~1720, 재위1674~1720)이 일으킨 환국(급격하게 정국이 바뀜, 정치적 국면 전환) 3가지(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중 경신환국에 대한 설명. 숙종의 아버지인 현종(1641~1674, 재위1659~1674)대부터 두차례의 예송논쟁으로 이미 골이 깊어져버린 서인과 남인의 붕당정치가 숙종대에 들어와서 급격한 정치적 국면 전환에 휩쓸리게 된다.  배경1680년(숙종6년)에 일어난 환국으로 남인이 실각한 일을 뜻함. 숙종의 첫 환국작품으로 아버지 현종이 1차예송(기해예송, 1659, 현종원년)과 2차예송(갑인예송, 1674, 현종15년)을 겪으면서 특히 2차 갑인예송때 남인이 정권을 잡지만, 현종이 승하하고 숙종이 즉위함에 따라 숙종은 예송정국에 끌려다니던 ..

관찰사와 감영(조선)

종2품 관찰사조선시대때 지방행정, 감찰, 군사지휘를 맡은 종2품 지방행정장관.    대한민국 중앙행정부대한민국 지방행정(지자체)정1품당상관영의정, 좌의정, 우의정국무총리 종1품좌찬성, 우찬성부총리, 감사원장 정2품6조판서, 좌참찬, 우참찬국정원장, 각 부처 장관서울특별시장종2품6조참판, 관찰사, 대사헌각 부처 차관도지사, 광역시장, 서울부시장이해를 더 쉽게 돋구기위해 본인이 썼던 표중 일부를 발췌해온 것. 현재 대한민국의 중앙행정부와 지방행정(지자체)체제에 관찰사 직급이 어느정도에 위치하는지 비교하기위한 것이니 활용하길 바람.  배경중앙정부의 통치력이 지방에까지 미치지 못했던 고려시대(918~1392)때, 지방을 감시하며 감찰하여 관리들을 단속하기 위해 순찰을 시켰던 직책인 안찰사()에서부터 비롯되었다...

행정기구/조선 2024.10.28

고려, 조선 군주의 묘호&시호

묘호군주가 죽은후 살아생전 공덕을 기려 붙인 이름.  배경유교식 왕실 예법으로 고,중,근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방식. 전임 군주가 승하하고 새로이 즉위하는 군주가 승하한 군주에게 조(祖) 또는 종(宗)이라는 형식으로 묘호를 올렸다. 조(祖)의 경우에는 창업군주또는 아주 위대한 천자(황제)에게만올렸던 묘호. 처음으로 묘호가 쓰이던 국가는 상나라(BC1600~BC1046)삼국시대때 유일하게 정식으로 묘호를 사용한 군주는 신라 29대 '태종' 무열왕(604~661, 재위654~661)이다. 고려의 경우에는 창업군주인 왕건(태조, 877~943, 재위918~943)에게만 조(祖)가 붙고 나머지 군주는 종(宗)이 붙는데 고려때는 외왕내제(대외적으론 왕, 내적으론 황제로 내세우는 체제)가 자리잡으면서 본격적으로 묘..

행정기구/조선 2024.10.23

18대 현종

Hyeonjong, 1641~1674, 재위1659~1674  출생1641년 청나라 심양 질관에서 아버지 봉림대군(효종, 1619~1659, 재위1649~1659)과 어머니 인선왕후 장씨(1619~1674)사이에서 태어남. 본명은 이연 배경청나라에서 태어난 이유는, 할아버지 인조(1595~1649, 재위1623~1649)때 일어난 병자호란(1636)으로 인해 삼전도의 굴욕으로 굴욕적인 항복 후 청나라의 신하국이 되면서 청나라의 요구에 따라 아버지 봉림대군과 백부 소현세자(1612~1645)가 볼모로 청나라로 끌려가 있을때이기 때문. 조선의 역대 군주중 유일하게 외국에서 태어난 군주이고, 왕비 외에 후궁을 두지 않은 유일한 군주.청나라에서 태어나 아버지 봉림대군의 풍채를 빼닮아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태어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