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탈리아 10

칸그란데 2세 델라 스칼라

Cangrande II della Scala, 1332~1359, 재위1351~1359출생1332년 베로나(Vérone)에서 아버지 마스티노2세(Mastino II della Scala, 1308~1351, 재위1329~1351)와 어머니 타데아 다 카라라(Taddea da Carrara, ?~1375)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남 일단 베이스는 쏘쏘1351년 아버지 마스티노2세가 서거하기전에 큰아버지 알베르토2세로부터 계승권을 인정받음과 동시에 베로나 에르베 광장에서 칸그란데2세의 세형제가 공동영주로 선포가 되는데(둘째 셋째동생은 어린이,유아였음), 사실상 장남인 칸그란데가 권력을 가졌다고 보면 됨. 그러나 즉위당시 아버지 마스티노2세의 욕심으로 인해 정복한 도시들이 분할되면서 남은 베로나와 비첸차를 상속받..

카를로1세 디 사부아

Carlo I di Savoia(프랑스어:Charles Ier, 1468~1490, 재위1482~1490)출생1468년 이탈리아 피에몬테주 카리냐노(Carignano)에서 아버지 아마데오 9세(Amédée IX, 1435~1472, 재위1465~1472), 어머니 욜랑드 드 프랑스(Yolande de France ; 샤를7세의 딸, 1434~1478, 재위1465~1472, 섭정재위1472~1478)사이에서9명중 일곱째로 태어남. 배경 투사라는 별명이 있는 군주였는데, 먼저 태어난 형들이 일찍 다 죽고, 그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형이자 전임자 필리베르토1세(프랑스어:Philibert Ier, Filiberto I di Savoia, 1465~1482, 재위1472~1482)가 자녀없이 일찍 사망해버려서 카..

보르소 데스테

Borso d'Este,  1413~1471, 재위1450~1471 출생사생아로, 1413년 에스테 가문 중심지 페라라(Ferrara)에서 아버지 니콜라 3세 데스테(Nicolas III d'Este,  1383~1441)와 어머니 스텔라 데 톨로메이(하녀,  Stella de' Tolomei, ?~1419)사이에서 태어남.  에스테 가문보통 이 가문에 대해 아는사람들은 왕비가 많이 나온 가문으로 인식하고 있을 것임. 유럽의 거의 모든국가에 뿌리가 내려져있다해도 과언이아닐만큼 스며들어져 있다고 보면 됨. 그리고 900년대부터 이어져온 베틴 가문(La maison de Wettin)과 친척관계. 군.인.10대말때부터 베네치아에서 군복무를 시작해서, 여러 전투에 참전하며 경력을 쌓는데  볼로냐 성 전투(14..

칸그란데 1세 델라 스칼라

Alberto Canfrancesco della Scala, 1291~1329, 공동재위 1308~1311, 단독재위 1311~1329출생1291년 베로나(Vérone)에서 베로나의 통치자인 아버지 알베르토1세 델라 스칼라(Alberto I della Scala, ?~1301, 재위1277~1301)와 어머니 베르데 다 살리지올레(Verde da salizzole, 1241~1306)사이에서 태어남. 이름의 의미칸그란데는 스칼라 왕조 창시자이기도 한 삼촌 마스티노1세 델라 스칼라(Mastino della Scala, ?~1277, 재위1262~1277)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뜻으로, '위대한 개'(욕 아님)라는 의미의 칸그란데라는 이름을 얻게 됨.1301년 아버지로부터 기사작위를 받자마자 사망하면서(칸그..

레오13세

본명 : Gioacchino Vincenzo Raffaele Luigi Pecci,  조아키노 빈첸초 라파엘레 루이지 페치 Leo XIII(1810~1903, 재위1878~1903)출생1810년 이탈리아 카르피네토로마노(Carpineto Romano)에서 아버지 루도비코 페치 백작 (Conte Ludovico Pecci, 1767~1833)과 어머니 안나 프란체스카 프로스페리 부치(Anna Francesca Prosperi Buzzi, 1773~1824)사이에서 총 7명중 여섯째로 태어남. 라틴어를 사랑한 청소년라틴어에 유달리 강한 애착이있던 어린시절부터 계속 라틴어연구를 지속하게 되는데, 1828년(18세)에 성직자가 되기로 결심한 후, 이후 교황청 내 외교관 학교에서 외교공부와 법학공부를 시작하는데,..

이탈리아어 이중자음/ 구두점/ 악센트

I. 이중자음같은 자음이 두번 반복되는 것 설명결합예시gl 모음 i와 결합됨. gliegli, famigliagn 모음 i를 뺀 나머지(a, e, o, u)와 결합됨.gna, gne, gno, gnusignore, montagnasc모음 a, o, u와 결합됨.sca, sco, scuscala, oscuro II. 구두점 La punteggiatura 표기설명기타.punto점마침표:due punti콜론소제목, 인용구, 간추릴 때,virgola구두점쉼표;punto e virgola세미콜론, 쌍반점보조하는 문장 바로뒤에 쓸 때!punto eslamativo 느낌표감탄, 명령 마침표?punto interrogativo물음표물음이나 의심 나타낼 때'apostrofo  축약" "virgolette인용부호(따옴표)..

카테고리 없음 2024.06.13

이탈리아어 숫자(서수)

기수 : 세는 숫자서수 :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  이탈리아어 서수10이상의 서수는 끝에 esimo를 붙여줌. 숫자 끝모음과 esimo가 만나면 숫자 끝모음 지우고 붙여주면됨. 표기기타1번째primo 2번째 secondo 3번째 terzo 4번째 quarto 5번째 quinto 6번째 sesto 7번째 settimo 8번째 ottavo 9번째 nono 10번째 decimo  11번째 undicesimo  12번째 dodicesimo  13번째 tredicesimo  14번째 quattordicesimo  15번째 quindicesimo  16번째 sedicesimo  17번째 diciassettesimo  18번째 diciottesimo 19번째 diciannovesimo 20번째ventesimo 21번째..

카테고리 없음 2024.06.12

이탈리아어 숫자(기수)

기수 : 세는 숫자서수 :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 이탈리아어 기수20부터 1, 8로 끝나는 두자리 수는 유의해서 볼것(기타참고) 표기기타0zero 1uno 2due 3tre 4quattro 5cinque 6sei 7sette 8otto 9nove 10dieci 11undici 12dodici 13tredici 14quattordici 15quindici 16sedici 17diciassette 18diciotto 19diciannove 20venti 21ventunoventi에서 i지우고 + 1(uno)22ventidue 23ventitre 24ventiquattro 25venticinque 26ventisei 27ventisette 28ventotto venti에서 i지우고 + 8(otto) 29vent..

카테고리 없음 2024.06.12

살바토르 로사

Salvator Rosa(1615~1673) 출생이탈리아 바로크 화가, 1615년 스페인 합스부르크령 나폴리 왕국 아레넬라(l'Arenella) 출생란프랑코의 제자로서, 란프랑코의 추천으로 로마로유학(1634)가자마자 말라리아에 걸리고, 다시 돌아오자마자 독특한 풍경화 화법을 개발하게되는데, (이때충격이 컸나..?) 나폴리의 천혜의  자연의 풍경이 생생하게 묘사되었을 뿐만아니라 낭만적인 느낌까지 표현해 내버린다.이런 그림들이 조금씩 알려지고 로마에까지 알려지게 되면서 1638년에 한 인물의 초청을 받아 로마로 가게되는데, 브란카치아나 도서관의 창립자이며, 같은 동향(나폴리)출신의 추기경 프란체스코 마리아 브란카치오(Francesco Maria Brancaccio, 1592~1675)추기경의 초청을 받아 ..

바로크

바로크는 일그러진 진주, 이상함, 괴상함 이런 뜻을 지니는데 개인적으로 괴상함에 좀 더 끌린다...! 필자의 생각은 바로크시대는 150여년간의 르네상스의 조화로운 미세한 진폭이 1600년대 이후 서서히 커지며, 기존의 질서를 깨지 않는 범위 내에서 파격적이고 화려한 양식으로 전환되게 되는 시기인 것 같다 일종의 과도기인 이시기에 소위 인물들이 많이 나왔다. 대표적으로 필자가 관심이 많은 음악, 미술쪽의 인물을 한명씩 적어보고자 한다. 개인적으로 인물에대한 생각차이가 있을 수도 있으니, 모자라더라도 이해바랍니다 음악쪽에서는, 이탈리아의 카치니(1551~1618)가 여러선율이 복잡하게 엉켜져있던 과거의 전통적인 음악양식과는 완전히 다른 하나의 선율을 화음이 반주하게 함으로써, 선율을 단순화 시켰다고 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