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위급 귀족 & 관리 73

성혼

성혼(Seong Hon, 1535~1598)  출생1535년 조선 한성부 순화방에서 아버지 성수침(1493~1564)과 어머니 파평 윤씨사이에서 독자로 태어났다. 배경아버지 성수침 밑에서 학문을 배우고, 백인걸(1497~1579)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이 때 평생 친구가 되는 율곡 이이(1536~1584)를 만나게 된다. 서인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1590년(선조23년) 좌찬성으로 공식 은퇴하지만 1592년 임진왜란이 터지면서 다시 복귀하게 되는 인물이다. 초년현량과로 천거되었지만 기묘사화(1519)이후 벼슬을 사양했던 아버지 성수침의 독남으로서 은거했던 아버지 아래에서 학문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휴암 백인걸(1497~1579)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배운다. 백인걸은 사림파였던 조광조(1482~152..

김일손

김일손(Kim il son, 1464~1498)  출생1464년 조선 경상도 청도군에서 아버지 김맹(1410~1483)과 어머니 용인 이씨 사이에서 3남중 막내로 태어났다.  배경1498년 스승인 김종직(1431~1492)이 쓴 조의제문으로 인한 발단으로 일어난 무오사화로 처형을 당하는 인물이다.  초년1471년 아버지 김맹이 예문관 봉교(정7품)로 부임하면서 큰형 김준손(1454~1508), 작은형 김기손(1456~1493)과 함께 옥수정사에서 학문을 배웠다고 전해지며, 1478년(성종9년) 14세가 되던 무렵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김일손의 아버지 김맹(1410~1483)은 종3품 사헌부 집의까지 오르는 중신이였는데, 1480년 아버지 김맹이 노환으로 병져누우면서 고향인청도로 가족모두가 내려가..

김굉필

김굉필(Kim Koeng-pil, 1454~1504)  출생1454년 조선 한성부 정동에서 아버지 김유(?~1487)와 어머니 청주 한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전기의 유학자로서 한훤당이라는 호로 더 잘알려진 인물로서 1474년 함양군수로 있던 김종직(1431~1492)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인연이 된다. 소학동자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소학에 심취했었으며 말년에 두번의 거친 사화(무오, 갑자)로 인해 그 운명을 달리하는 인물이다.  초년할아버지가 조선의 개국공신인 조반(1341~1401)의 사위가 되어 한성부 정동에서 살게 되면서 김굉필이 이곳에서 태어나게 된다. 보통의 시기보다 늦은 수학시기(20세)를 가지는데, 20세인 1474년 김종직(1431~1492)의 문하에 수학하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김맹성(조선)

김맹성(Kim maengseong, 1437~1487)   출생1437년 조선 경상도 성주(현 경북 성주 가천면)에서 아버지 김준례와 어머니 순흥 안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초기 사림파의 대표격인 인물로 김종직(1431~1492)의 문하에서 1452년부터 수학했으며 1476년 늦은나이인 39세에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면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초년1452년 15세가 되던 무렵에 6살많은 스승인 김종직(1431~1492)의 문하에 들어가게 되는데 처음엔 개령 감문산(현 경북 김천시 개령면 감문산)에 들어가서 수학하고 이후엔 직지사(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에 들어가 수학한다. 스승 김종직의 마음에 쏙 들던 제자로서 그 총명함이 스승을 감복시켰다 한다. 후일 스승 김종직의 둘째아들이 본인의 딸과..

율곡 이이

이이(Yi yi, 1536~1584)출생1536년 조선 강원도 강릉부 오죽헌에서 아버지 이원수(1501~1561)와 어머니 신사임당(1504~1551)사이에서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배경오늘날 5천원 지폐권의 주인공이자 서인의 영수로서, 퇴계 이황(1502~1571)과 함께 조선을 대표하는 성리학의 대가로 이론뿐만아니라 현실에서도 적극적으로 성리학적 근반의 개혁을 하기위해 노력했던 주인공이다. 1583년(선조16년) 국방부장관격인 정2품 병조판서에 임명되고 국방력 강화를 위해 [시무6조]를 올리지만 주장하지만 안일했던 대신들과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의 반대로 무산되고 다들 알듯이 9년뒤 임진왜란이 터지게 됨으로서 조선이 왜국의 공격을 받게 된다.  한때 스님이였던강릉에서 태어나 ..

퇴계 이황

이황(Lee Hwang, 1502~1571)  출생1502년 조선 경상도 예안현(현 경북 안동시)에서 아버지 진사 이식(1463~1502)과 어머니 춘천 박씨사이에서 6남 1녀중 막내로 태어났다. 배경오늘날 1천원권 지폐의 주인공으로서, 조선의 대표 유학자로서 우리에게는 퇴계 이황으로 익숙한 인물로 남인계열 동인의 정신적 지주격 인물이며 조선 성리학의 대가로서 그 수준을 한단계 더 격상시킨 학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이황이 태어나고 자라던 어린시절 1500년대 초는 두번의 큰 사화(1498년 무오, 1504년 갑자)로 인해 정세가 어지러웠고 이에 민심을 제대로 잃은 연산군이 중종반정으로 인해 폐위되고 중종이 옹립되지만 반쪽짜리 권력에 불과해 중종역시 정계에 이끌려다닐 수 밖에 없던 입장이였다. 그리하여 ..

조광조

대사헌 조광조(Jo Gwang-jo, 1482~1520)출생1482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조원강과 어머니 여흥 민씨 사이에서 3남중 둘째로 태어남. 배경사림의 중시조로서 시대를 많이 앞서간 개혁가이다. 성리학을 바탕한 이상적 도덕정치 구현이라는 어마어마한 슬로건을 내달았던 인로서 짧은시간동안 빛이 바라다가 보수적인 시대를 잘못 타고나 현실의 벽을 제대로 느끼고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스승 김굉필아버지 조원강으로부터 어린시절 훈육을 받으면서 자란다. 어느 조선시대 고위급 대신들과 마찬가지로 학문의 뜻을 가지고 성장. 1498년 무오사화(사림인 김종직일파의 실록사초문제로 인한 숙청사)로 인해 희천(현 북한 자강도 희천시)에서 유배중이던 김굉필(한훤당, 1454~1504)을 우연히 만나게 되면서 어린 조광조..

김종직

김종직(Kim Chong-jik, 1431~1492)출생1431년 조선 경상도 밀양도호부(현 경남 밀양시)에서 아버지 강호 김숙자(1389~1456)와 어머니 밀양 박씨(박홍신의 딸,1400~1479)사이에서 3남2녀중 막내로 태어났다. 배경조선 초기 성리학자로 사림(전원의 산림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집단)의 영수이다. 영남학파의 종조가되는 대제학으로서 이름을 날리는 인물로서 '조의제문'으로 세조를 비판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이 조의제문으로 1492년 사후 6년이 지난 1498년 무오사화때 부관참시 당한다.  초년경상도 곳곳에서 수령과 교수직을 역임했던 아버지 김숙자(야은 길재 문하생)밑에서 수학하면서 외할아버지 박홍신(1373~1419)의 든든한 재력을 물려받아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한 김종직은 시를..

108, 111대 영의정 최명길

최명길(Choi Myeong-gil, 1586~1647) 영의정 재임기간군주108대 영의정1638.10 ~ 1640.02인조15년~인조17년111대 영의정1642.08 ~ 1642.12인조19년 출생1586년 아버지 영흥대도호부사 최기남(1559~1619)과 어머니 전주 류씨(병조참판 류영립1537~1599의 딸, 1556~1615)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1623년 인조반정 당시 광해군을 몰아낸 주역이며 인조의 최측근이자, 정묘호란, 병자호란등을 같이 겪는 주화파(친청파:청나라와 화친하자)대표 인물이다. 후금과의 강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소장파들의 협상반대를 타파하고 인조(1595~1649, 재위1623~1649)에게 강화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여 강화를 성사시킨 인물로, 조선-후금 강화체결 이후 집중 공격..

고려시대 품계

고려의 품계I. L'introduction고려의 품계는 조선의 품계와 차이가 조금 나는데, 고려 국조인 태조(877~943, 재위918~943)때 마련된 품계는 태봉의 품계를 참고했었고(9품16계, 문관무관 상관없이 모두적용, 명칭이 없었음) 이후 6대인 성종(961~997, 재위981~997)대 995년(성종14년)에 문치주의 국가인 북송(북송은 또한 당나라의 제도를 도입함. 문산계, 무사계)의 품계를 도입해 재편성되면서 정식 관작과 함께 품계로 활용이 된다. 성종은 15품을 만들고 이후 11대 문종(1019~1183, 재위1146~1183)대 1176년(문종30년)에 들어 29품으로 개편된다. 이후로는 문산계 개편정도만 이루어지다가 조선에 들어서 고려의 품계를 참고하여 다시 품계가 정비된다. II.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