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친일파 5

권중현

권중현, 1854~1934출생1854년 조선 충청도 영동현(현 충북 영동군)에서 아버지 권홍섭(권율의9대손, 1833~1893)과 어머니 덕수 이씨(이순신의 9대손, 1820~1877)사이에서 5남1녀중 차남으로 태어남.  배경친일파, 을사오적중 한명. 초명 권재형에서1903년 권중현으로 개명하고 여러 고위직들(농상공부대신, 의정부 찬정, 군부대신)을 역임하고 1905년(광무8년, 고종41년) 을사늑약 체결에 찬성한 을사오적중 한명으로 지탄을 받는다. 1910년 경술국치로 대한제국이 일제에 국권이 넘어감에도 친일행각을 계속 이어가고, 조선귀족 자작 작위를 받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으로 연금을 받고 죽을 때까지 호의호식 하다가 1934년 81세로 사망.  아래표는 을사늑약에 찬성한 5명의 대신. 생몰년도..

친일파 2025.02.01

박제순

박제순, 1858~1916출생1858년 조선 경기도 용인군 수여면(현 경기 용인시 처인구)에서 아버지 박홍수(1814~1901)와 어머니 대구 서씨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친일파. 외부대신으로서 1905년 을사늑약 체결에 찬성한 을사오적(이완용, 이근택, 이지용, 박제순, 권중현)중 한명이며 외교쪽 직통의 관리로서 오래 생활하였고 동학농민운동 진압, 을사늑약 체결등 이후 친일파로 완전히 변절되어 경술국적중 한명에 이르며 경술국치 이후엔 조선귀족 자작 작위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등에 임명되며 연금과 함께 은사공채등을 받고 호화스럽게 잘 살다가 1916년 병으로 사망. 아래표는 을사오적 목록. 생몰년도직위이완용1858 ~ 1926학부대신이근택1865 ~ 1919군부대신이지용1870 ~ 1928내부대신박제순18..

친일파 2025.01.31

이근택

이근택, 1865~1919출생1865년 조선 충청도 충주(현 충북 충주시)에서 아버지 이민승(1841~1912)과 미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을사오적(이완용, 이근택, 이지용, 박제순, 권중현)중 한명으로 친일파. 형 이근호(1860~1923)와 동생 이근상(1874~1920)역시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일제에 의해 귀족 작위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직을 제수받으며 죽을때까지 일제로부터 연금을 받으면서 가족들과 호화스럽게 생활하다가 1919년 사망. 아래표는 을사오적 목록. 생몰년도직위이완용1858 ~ 1926학부대신이근택1865 ~ 1919군부대신이지용1870 ~ 1928내부대신박제순1858 ~ 1916외부대신권중현1854 ~ 1934농상공부대신 관직으로1882년(고종18년) 발생한 임오군란..

친일파 2025.01.30

이지용

이지용, 1870~1928출생1870년 조선 경기도 광주부 궁촌에서 아버지 광흥령 이희하(1839~1900)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남. 아명은 이용구. 이재긍(1857~1881)의 양자가 되면서 이은용으로 바꾸고, 1900년 고종이 3남 영친왕의 이름을 이은(1897~1970)으로 지으면서 겹치지 않기 위해 이지용으로 재개명.  배경친일파로서 이완용보다 덜 알려진 인물이지만 이완용보다 더한 인물중 하나. 심지어는 조선 왕조 전주 이씨 왕족출신으로서 광평대군(세종의 5남, 1425~1445)의 17대손. 문과 급제이후 고종의 명으로 일본 본토를 돌면서 탐방후 감찰사를 거쳐 주일 대사등을 지내고 1900년대에 들어서 친일적 행각을 슬슬 드러내면서 1905년 을사늑약에 동조하고 1910년 한일병합조약 이후 일..

친일파 2025.01.29

이완용

이완용, 1858~1926출생1858년 조선 경기도 광주부 낙생면에서 아버지 이호석(1822~1888)과 어머니 영산 신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매국노, 친일반민족행위자, 일제부역자의 대명사로 불리는 인물로 친일파의 상징적 인물이다. 1882년(고종18년)증광별시 병과로 급제해 관직을 거치면서 영어, 신학문등을 배우고 외교쪽으로 재능을 보이면서 관직을 맡으면서 동시에 외교관으로서의 임무를 맡아 공사직을 맡기도 하는 개화파의 상징적인 인물이 된다. 이때까지만해도 이완용은 친미파에 가까운 인물이였는데, 1894년(고종30년) 청일전쟁으로 일제가 승기를 잡으면서 친청파가 몰락하면서 친일개화파가 득세하지만 자신의 상관이였던 박정양(1842~1905)이 1895년 내각총리대신이 되면서 이완용도 중책을 맡게 된다...

친일파 2025.01.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