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의정 7

208대 영의정 채제공

채제공, 1720~1799, 영의정재임1793.07~1793.07(총9일 재임)출생1720년(숙종46년) 조선 충청도 홍주목(현재 충남 홍성군 홍성읍)에서 아버지 채응일(1686~1764)과 어머니 연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후기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시기 영의정을 역임한 문신으로, 1735년(영조11년) 향시 급제, 1743년(영조19년)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면서 관리가 된다.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의 재위기간 52년간에 걸쳐 다양한 요직들을 두루 거치면서 승진을 거듭하는데, 1760년대 들어 영조와 사도세자(1735~1762)간의 사이가 급속도로 나빠지면서 세자폐위의 그림자가 짙어질 때 채제공이 죽음을 무릅쓰고 이를막아 철회시켜 사도세..

118대 영의정 김자점

김자점, 1588~1652 재임기간군주118대 영의정1646. 05. 12 ~ 1649. 07. 31인조23년 ~ 인조26년  출생1588년 조선 전라도 낙안(현 전남 순천시)에서 아버지 현감 김탁(?~?)과 유씨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단종 복위 운동에 참여했다가 배신한 김질(1422~1478)의 5대손으로 당색은 서인이였으며 문,무에 능통한 인물로서 1623년 인조반정때 이귀(1557~1633), 김류(1571~1648)등과 함께 인조편에서서 도왔던 반정공신이자 유능한 관리였다. 이괄(1587~1624)이 인조반정때 논공행상의 불만을 품고 이괄의 난(1624)을 일으켜 위기가 닥쳤을 때 관련될 인물들을 미리 정리하는등 효과적으로 도모하여 사건의 확산을 막았지만, 1636년 평안도에 도원수로서 ..

108, 111대 영의정 최명길

최명길(Choi Myeong-gil, 1586~1647) 영의정 재임기간군주108대 영의정1638.10 ~ 1640.02인조15년~인조17년111대 영의정1642.08 ~ 1642.12인조19년 출생1586년 아버지 영흥대도호부사 최기남(1559~1619)과 어머니 전주 류씨(병조참판 류영립1537~1599의 딸, 1556~1615)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1623년 인조반정 당시 광해군을 몰아낸 주역이며 인조의 최측근이자, 정묘호란, 병자호란등을 같이 겪는 주화파(친청파:청나라와 화친하자)대표 인물이다. 후금과의 강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소장파들의 협상반대를 타파하고 인조(1595~1649, 재위1623~1649)에게 강화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여 강화를 성사시킨 인물로, 조선-후금 강화체결 이후 집중 공격..

4대 영의정 조준

조준(Jojune, 1346~1405, 영의정재임1403~1405) 재임 기간군주4대 영의정1403. 08. 03 ~ 1405. 07. 13태종3년 ~ 태종5년   출생1346년 고려 서북면 평양부에서 아버지 평양부원군 조덕유(1314~1352)와 어머니 해주 오씨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조준의 동생으로 여말선초 문신인 조견(1351~1425)이 있다.  배경조선의 개국공신중 한명으로, 충선왕(1275~1325, 재위1298, 1308~1313)시대때 문하시중을지낸 조인규(1227~1308)의 증손자이고 평양부원군 조덕유의 5남으로 고려 말기 당시 권문세족임에도 불구하고 토지개혁을 주도한 인물이다.  문무 통합형 인재1371년 음서(출신을 고려한 관직선발제도)로 관직에 올랐다가 1374년 문과에 급제해서 여..

86대 영의정 윤두수

윤두수(Yun Doo-su, 1533~1601, 영의정재임1599) 재임 기간군주86대 영의정 1599. 09. 13 ~ 1599. 11. 06선조32년출생1533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윤변(1493~1549)과 어머니 성주 현씨 사이에서 태어났고 윤두수의 동생은 같은 서인인 문신 윤근수(1537~1616)이다.  배경조선중기 문신으로서, 종계변무의 공과 더불어 임진왜란&정유재란(1592~1598)기간동안 서인의 영수로서 류성룡(1542~1607)등과 함께 전란을 수습하는 중책을 맡으면서 조선을 위기로부터 벗어나기위해 고군분투한 고위급 대신이다. 7년간의 전쟁이후 영의정으로서 전란을 수습하는데 애쓰지만, 양사 대간들의 탄핵으로 2개월만에 영의정 자리에서 물러난 인물이다. 영혼의 단짝일찍이 아버지 윤변..

90, 95, 97대 영의정 이덕형(한음)

이덕형(Lee Deok hyung, 1561~1613)출생1561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정2품 지중추부사 이민성(?~?)과 어머니 문화 류씨(?~?)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전래동화 오성과 한음에서 한음역에 해당하는 인물. 호가 한음이라.. 이덕형의 절친인 오성에 해당하는 이항복(1556~1618)은 호가 오성이아니라 오성부원군 작위에서 따온 것 호는 명보.  다양한 직위를 역임했던 문신으로서 임진왜란, 정유재란때에 명나라 접반관으로서 동행하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전란후 영의정으로 민심수습, 국가정비에 총력을 기울이며 전란후 국가를 재건하는데 힘썼다. 그러나 말년에 절친 이항복과 함께 영창대군 처형과 인목대비 폐위을 반대하다가 북인의 탄핵을 받고 삭탈관직되고 사저로 돌아간 이덕형은 이듬해 사망한다.  ..

30, 37대 영의정 한명회

한명회(Han Myeong-hoe, 1415~1487, 영의정 재임1466~1467, 1469)  출생1415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한기(1393~1429)와 어머니 여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계유정난(1453)을 통해 세조(1417~1468, 재위1455~1468)를 즉위시키는 데 앞장선 킹메이커로서, 문/무에 고루 재능이 있어 권신으로서 강력한 권력을 가져 정1품 영의정에도 오르고, 두 딸을 예종(1450~1469, 재위1468~1469)과 성종(1457~1494, 재위1469~1494)에게 시집보냄으로서 왕실의 외척세력까지 겸비하게 되면서 일인지하만인지상에도 모자라 국구(군주의 장인)의 자리까지 오르는 어마무시한 배경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큰 힘엔 큰 책임이 따른다고 했던가, 권력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