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랑스의 군주, 고위 귀족/Bourbon, 부르봉 22

가스통 도를레앙

가스통 도를레앙, Gaston d'Orléans, 1608~1660출생1608년 프랑스 퐁텐블로 퐁텐블로 궁에서 아버지 앙리4세(Henri IV, 1553~1610, 나바라재위1572~1610, 프랑스재위1589~1610)와 어머니 마리 드 메디시스(Marie de Médicis, 1575~1642)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남. 위로는 형 루이13세(Louis XIII, 1601~1643, 재위1610~1643)와 니콜라 앙리(Nicolas Henri, 1607~1611)가 있다.  배경앙리4세의 아들이자 루이13세의 동생으로서 형이 왕위에 오르면서 왕위에 대한 욕심이 안그래도 더 커졌고, 안그래도 자신을 편애하던 어머니 마리 드 메디시스가 형 루이13세를 견제하고 자신을 왕위로 올릴 야욕을 가지면서 어..

필리프 도를레앙 1세

필리프 도를레앙 1세, Philippe d'Orléans Ier, 1640~1701출생1640년 프랑스 왕국 생제르멩 앙레(Saint-Germain-en-Laye)에서 아버지 루이13세(Louis XIII, 1601~1643, 재위1610~1643)와 어머니 안 도트리슈(Anne d'Autriche, 1601~1666)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남. 위로는 동복 형 루이14세(Louis XIV, 1638~1715, 재위1643~1715)가 있다. 배경루이13세의 아들이자 루이14세의 동생으로 오를레앙 공작으로 알려져있는 왕족으로 무슈(Monsieur, 왕의 동생)로 불림. 오를레앙 공작위를 받기전엔 필리프 드 프랑스이고 오를레앙 공작위를 받고난 이후 후손들은 현재까지도 프랑스에 있다. 숙부였던 가스통 도를레앙..

쥘 마자랭

쥘 마자랭 추기경(Cardinal Jules Raymond Mazarin, 1602~1661)출생1602년 나폴리 왕국 페시나(Pescina)에서 아버지 피에르 마자리니(Pierre Mazzarini, 1576~1654)와 어머니 오르텐시아 부팔리니(Ortnsia Buffalini, 1575~1644)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배경상공업자였던 아버지 피에르 덕에 넉넉하지는 않지만 부족하지 않은 삶을 살던 마자랭은 여느 종교인들과 마찬가지로 7살떄인 1609년 로마에서 예수회 교육을 받는데, 어릴때부터 뛰어나던 마자랭은 1618년 스페인 알칼라 데 에나레스(Alcala de henares)에서 법학을 공부하면서 헬리 혜성에 관한 강연을 진행하고 종교연극에도 역할을 맡는등 독특한 행보를 보인다. 이후 외교..

마리 드 메디시스

마리 드 메디시스(Marie de Médicis, 1575~1642)출생1575년 토스카나 대공국 피렌체에서 아버지 프란체스코1세 데 메디치(프:François Ier de Médicis, :Francesco I de' Medici, 1541~1587, 재위1574~1587)와 어머니 엘레오노르 데 메디치(프: Jeanne d'Autriche, 이:Elanor de' Medici, 1547~1578)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마리 드 메디시스는 프랑스 부르봉 왕조를 개창한 앙리4세(Henri IV, 1553~1610, 나바라재위1572~1610, 프랑스재위1589~1610)의 왕비로서, 프랑스어를 잘 하지 못했기에 궁정생활이 외로워 보석구매등으로 사치를 부리기에 이른다. 루이13세, 엘리자베트 드 부르봉,..

몽테스팡 후작부인

몽테스팡 후작부인 또는 마담 드 몽테스팡(Madame de Montespan,  1640~1707)출생1640년 프랑스 왕국 중부 뤼싹 레 샤또(푸아티에 근방, Lussac-les-Châteaux)에서 아버지 가브리엘 드 모뜨마트(Gabriel de Mortemart, 1600~1675)와 어머니 디안 드 그랑세뉴(Diane de Grandseigne, 1610~1666)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루이14세(Louis XIV, 1638~1715, 재위1643~1715)의 내연녀로, 마리 테레즈 도트리슈(Marie-Thérèse d'Autriche, 1638~1683)의 시녀로 뽑혀서 궁에 들어가게 됨. 루이14세의 눈에 들어서 총애를 받아 사실상 궁의 사교계의 유명인사가 된다. 프랑스판 희빈 장씨(1659..

루이 드 프랑스 '그랑도팽'

루이 드 프랑스 '그랑도팽'(Louis de France 'Grand dauphin', 1661~1711)출생1661년 프랑스 퐁텐블로 퐁텐블로성(Château de Fontainebleau)에서 아버지 루이14세(Louis XIV, 1638~1715, 재위1643~1715)와 어머니 마리-테레즈 도트리슈(Marie-Thérèse d’Autriche, 1638~1683)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난다.그랑도팽은 루이14세 부부가 1660년 결혼한지 1년만인 1661년에 마리테레즈가 출산을 하는데 아들임을 확인한 루이14세가 출산을 지켜보다 문이열린 창가로 달려가서 "왕비가 사내아이를 낳았다"라고 외친다. 그만큼 모두가 고대하던 상속자가 태어나던 순간이 벌어진 것이였다. 그는 태어나자마자 렌 주교 샤를 프랑수아..

루이 드 프랑스 '쁘띠도팽'

루이 드 프랑스(Louis de France 'petit dauphin',  1682~1712)출생1682년 프랑스 베르사유 베르사유궁(Château de Versailles)에서 아버지 루이 드 프랑스 왕세자 '그랑도팽'(Louis de France 'Grand Dauphin', 1661~1711)과 어머니 마리-안 드 바이에른(Marie-Anne de Bavière, 1660~1690)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난다.베르사유궁에서 태어나자마자 유아세례를 할아버지 루이14세(Louis XIV, 1638~1715, 재위1643~1715)와 작은할아버지 필리프 도를레앙(Philippe I d'Orléans, 1640~1701)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 왕세자 이후 처음으로 본 세손이라 기대를 가지고 태어난다. 기..

마리-테레즈 샤를로트 드 프랑스

마리-테레즈 샤를로트 드 프랑스(Marie-Thérèse Charlotte de France, 1778~1851)출생1778년 프랑스 베르사유 베르사유궁(Château de Versailles)에서 아버지 루이16세(Louis XVI, 1754~1793, 재위1774~1792)와 어머니 마리 앙투아네트(Marie-Antoinette d'Autriche, 1755~1793)사이에서 태어남.루이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가 결혼8년(1770년 결혼)만에 태어난 아이였지만 왕실과 국민모두 아들을 기다렸는데 고대하던 아들이아니라 딸이라 모두 실망한 눈초리로 태어나자마자 미움을 사게되는데, 어머니 마리 앙투아네트는 아랑곳하지않고 딸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아낀다.유아세례는 이후 목걸이사건으로 유명한 루이 드 로앙(Lou..

안 앙리에트 드 프랑스

안 앙리에트 드 프랑스(Anne-Henriette de France, 1727~1752)출생1727년 프랑스 왕국 베르사유 궁(Château de Versailles)에서 아버지 루이15세(Louis XV, 1710~1774, 재위1715~1774)와 어머니 마리 레슈친스카(Marie Leszczynska, 1703~1768)사이에서 일란성 쌍둥이중 둘째로 태어남. 쌍둥이로 태어남1727년 루이15세와 왕비 마리 사이에 바라던 왕자대신 두명의 공주가 태어났는데, 이때 루이15세는 쌍둥이로 태어난 놀라움과 동시에 아들이 아니라는 것에 실망을 했었다고 한다. 어찌되었든 몇분먼저 태어난 언니인 루이즈 엘리자베트(Louise Élisabeth de France, 1727~1759)와 함께 같이 세상에 나온 앙리..

마리 앙투아네트

마리 앙투아네트(Marie-Antoinette, 1755~1793)출생1755년 신성로마제국 오스트리아 빈(Vienne)의 호프부르크 궁전에서 아버지 프란츠1세(François I, 1708~1765, 재위1740~1765)와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Marie-Thérèse, 1717~1780)사이에서 막내로 태어남. 유년시절마리는 막내딸로서 대부분의 시간을 춤, 음악, 외모치장등에 해당하는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정치쪽으로는 거리가 멀고, 당시 귀족여성들은 결혼전에 교양 교육을 많이 받음) 다른나라의 언어등을 구사할 줄을 잘 몰랐다. 10살이 되어도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등을 거의 하지 못할 정도였어서 이 3가지 언어는 오스트리아 황실에서 줄곧 쓰이던 언어들이라 더욱 문제가(프랑스 베르사유보다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