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02

알베르토2세, 마스티노2세 델라 스칼라

Alberto II della Scala(1306-1352, 재위1329~1352) Mastino II della Scala,1308~1351, 재위1329~1351)   출생알베르토는1306년, 마스티노는1308년에 베로나(Verone)에서 아버지 알보이노 델라 스칼라(Alboino della Scala, 1284~1311, 재위1304~1311)와 어머니 베아트리체 다 코레조(Beatrice da Correqqio, 1286~1321)사이에서 태어남. 성격다른 두형제1329년 삼촌이자 베로나의 군주이던 칸그란데1세 델라 스칼라(Cangrande I della Scala, 1291~1329, 공동재위1308~1311, 단독재위1311~1329)가 자식없이 서거하면서 알베르토가 알베르토2세(Albert..

프랑스 명사형용사 고찰

명사..형용사오랫동안 영어를 배운 우리로서는 상당히 피곤한 규칙들이 많은 프랑스어인데, 보통 성(남성, 여성)으로 인한 헷갈림이 그 대상. 뭐 물론, 책에는 남성, 여성명사(형용사)의 어미를 알아두면 알아보는데 도움이 될 거라고 이야기는 한다. 근데 규칙이 너무 많다.. 여기서 보통 어렵다고 포기를 하는 거 같다. 물론 DELF시험에서도 초급에 해당하는 A1, A2까지만 하고 나 그만할거다 하면 많은 규칙들 중 핵심 몇개만 파악하고 그만하면 될 일이지만, 유학이나 어학성적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실상 거의 다 보아야 하는데, 시간이 꽤 많이 걸릴 것이다.다른나라의 언어이니까, 어려운게 당연한거다 그러니 받아들이고 공부해라 라는 말은 하지 않지만.. 완전 틀린말은 아니라 각자 어떻게 받아들이기에 따라서 실력의..

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 '리슐리외 추기경'

Armand Jean du Plessis, cardinal-duc de Richelieu(1585~1642)출생1585년 파리에서 아버지 프랑수아 뒤 플레시스 드 리슐리외(François IV du Plessis de Richelieu, 1548~1590)와 어머니 수잔느 드 라 포트(Suzanne de la Porte, 1551~1616)사이에서 태어남. 아버지는 프랑스 서부의 하급귀족가문인 플레시스 가문의 영주로서 앙리3세(Henri III, 1551~1589, 재위1574~1589)의 행정관, 어머니는 고등법원 법관의 딸로서 엄친아로서 자라나게 됨.  어린시절..어린시절아버지 프랑수아가 1590년에 사망하면서(리슐리외는 당시 5세) 가세가 기울게 되면서 성직자의 길을 가게 된다. 가족을 부양하기 위..

프랑스 관사 응용

대다수 분들이 보통 부정관사를 언제 써야할지를 엄청 고민 많이한다(본인도 물론). 이게 말로는 이해가 될 순 있으나, 막상 적용되기까지는 시간이 꽤 걸리는데, 단순하게 개념상 부정관사 정관사 이렇게 정해진것 정해지지 않은것 백날 이야기해봤자 모른다.그래서 어떻게 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이해를 돋굴까 생각을 해봤다.그렇다고 본인의 말이 다 맞다는 것은 아니니, 참고할 분들은 참고하기 바람.  설명형태부정관사 L'article indéfini  이야기가 흘러가는 도중 이전에 나오지 않았던 명사가 갑자기 튀어나왔다(정체불분명). 하면 부정관사를 붙여준다.두루뭉실하게 섣부른 일반화된 명사정관사 L'article défini  최소2인 이상의 인물이 알고있는 지식의 명사(알고있는 정보).디테일한 설명이 토핑되어있..

나폴레옹1세

Napoléon Ier(1769~1821, 재위1804~1814, 1815)출생1769년 제노바 코르시카 섬 아작시오(Ajaccio)에서 아버지 샤를-마리 보나파르트(Charles-Marie Bonaparte, 1746~1785)와 어머니 레티지아 보나파르트(Letizia Bonaparte, 1750~1836)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남. 촌놈보나파르트 가문자체가 대대로 법조인을 많이 배출했던 사교계 주요가문중 하나로, 귀족가문의 어린 자녀들의 공통적인 교육방식인 사관학교에 입학하지만 하급귀족에 지나지않던 나폴레옹은 촌놈으로 놀림을 받기 일쑤, 거기다가 상급귀족들이 대부분인 곳에서 어눌하고 서투른 프랑스어 구사로 인해서 무시당하고 놀림받게됨. 1785년 아버지가 위암으로 일찍 사망(38세)해버려 사실상 나폴..

라틴어 수동태 완료시제(2)

III. 수동태 완료시제과거의 어떤 사건보다 먼저 발생한 것에 대해 말할 때 사용. 앞서  언급했던 sum과같은 불규칙동사들을 복습하면서, 이런 불규칙동사들이 완료형태에 들어가게됨으로서 형식이 갖춰지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필수)인칭변화 형태는 동사(1~4변화)의 형태에 관계없이, 동사의 과거분사의 성수변화에 따라서 sum동사의 변형에 따라 만들어짐. 즉, 과거분사, 미래분사 뒤에 sum동사의 현재, 과거, 미래변화형태를 덧붙여주면 수동태 완료시제 형태가 만들어 진다. 이 이유로 인해 2, 3, 4변화 동사의 수동태 완료 인칭변화는 '1인칭 단수'만을 열거. III-1. 능동태, 수동태 현재완료시제 어미비교 능동태 현재완료단수 어미능동태 현재완료복수 어미  수동태 현재완료단수 어미수동태 현재완료복수 어미..

라틴어 여격

Dativus '여격' 주격같이 주어의 주짜 돌림으로서 나름 제목을 보기만해도 어떤 형태의 격이겠구나 하고 느끼겠지만 그외의 격들은 사실 제목만봐서는 감이 잘 안잡힐 것이다.  특히 라틴어같이 현재에 쓰이고있지 않은 언어에 대해서 말이다. 그래서 격과 격 상호간 차이가 명백히 드러나는 것을 2가지 골라서 비교해보면서 익혀보는게 아무래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몇글자 나열해보고자 한다 여격-대격대격이 직접목적어라면 여격은 간접목적어.문장의 '간접목적어' 역할로서, 소유, 대상자, 관점에 따라 형태가 다름.영어로 치면 4형식 수여동사 뒤에 위치하는 형태이기도하다 여격은 대격과 탈격과 같이 주로 수식을 해주는 형태이므로, 동사나 전치사에 관련이 많은 격이기도 함. 여격에 지배를 받는 3가지 형태에 대해서 ..

라틴어/격변화 2024.06.22

라틴어 수동태(1)

수동태 passivum영어와 프랑스어의 수동태 형태와 마찬가지로 라틴어도 형태가 거~~의 비슷하다(라틴어로부터 비롯된 언어니 당연할수도). 그리고 몇가지 규칙을 통해서 수동태를 파악할 수 있다.라틴어의 수동태의 경우에는, 능동형 기본형태에 x의 어미를 추가해주면 완성해주는 형태이다. 나름 간단하지만 이 어미형태를 그렇다고 굳이 다 외울 필요는 없고, 기본적인 한 형태의 어미부분을 습득하게되면 나름 어미들이 연결되는 구석(패턴)이 슬 보일 것이니, 암기는 추천하지 않는다.기본적인 한 형태의 어미부분을 습득할 부분은 수동태 현재형에 대한 어미인데, 이 형태는 라틴어에 나오는 거의 모든 수동태 변화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의 어미이므로, 이 부분은 외우고 익히는 것을 추천한다. 수동태 3가지 기본형태 시제이..

라틴어 동사 sum

Sum동사데카르트가 말한 유명한 문장 'Cogito ergo sum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처럼 sum이 들어간 격언이나, 속담, 문장에서 주로 쓰이는 형태의 동사이다. 영어로 치면 sum동사는 am, is같은 be동사에 속하는 격으로서, ~이다 또는 있다의 의미를 갖는 형태이다. 대표적인 굴절어인 라틴어의 동사답게 굴절되어 1인칭 단수형태로 활용됨.  그리고 인칭, 시제에따라 형태가 변한다.  한국어와 비슷한 어순을 가지는 라틴어의 특징으로서 sum이 맨뒤에 온다. 영어의 be동사, 프랑스어의 être동사, 이탈리아어의 essere동사와 같이 기본중의 기본 동사. 말그대로 언어를 공부하기위해 배우는 것중 가장 기본이되는 것이구나 라고 받아들이면 됨. ※sum동사가 아무리 형태가 처음에 볼땐 단순..

4개국 귀족작위계급/각국별군주호칭

I. 유럽의 귀족작위 계급  영어 Anglais 프랑스어 Français 이탈리아어 Italien 라틴어 Latin 황제 / 황후 emperor / empress empereur / impératrice impero / imperatrice imperator / imperatrix 왕 / 왕비 king / queenroi / reinere / reginarex / regina 대공 / 대공비  grand duke / grand duchess archiduc / archiduchessegranduca / granduchessaarchidux /  공작 / 공작부인 duc / duchessarchiduc / duchesse duca / duchessa dux / ducissa 후작 / 후작부인 m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