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사건/조선

을해옥사

Mintaka5 2025. 3. 18. 12:18
반응형

을해옥사(나주괘서사건, 윤지의 난), 1755

 

 

 

배경

을해년인 1755년(영조31년), 소론이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난을 일으킨다. 을해옥사 또는 나주괘서사건이라고도 불리는 이 사건은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가 즉위 초기부터 공표한 정책인 탕평책에서부터 발생한 문제이다. 영조가 즉위하기 전 연잉군시절, 아버지 숙종(1661~1720, 재위1674~1720)치세 후기에 후계자 자리를 놓고 세자(경종)를 지지하던 소론과 연잉군을 지지하던 노론간에 다툼이 본격화되게 되는데 첫 고름은 경종이 즉위하고 연잉군이 세제로 책봉되고 난 1년 후 1721년 급진 노론세력이 세제에게 대리청정을 하려는 무리수에 소론 김일경(1662~1724)과 목호룡(1684~1724)이 신임옥사를 주도하게 되면서 노론은 몰락하게 된다. 이후 영조가 즉위하고 김일경과 목호룡이 숙청되고난 뒤 탕평책이 실시되면서 표면적으로 화합이라는 측면에서 노론과 소론간의 화합이 이루어지는 것 같았지만 이후 더 큰 폭발이 일어난다.      

 

발단

I. 신임옥사

영조가 즉위하기 전 연잉군 시절, 이복 형 경종(1688~1724, 재위1720~1724)이 즉위할 때 연잉군은 세제에 책봉되면서 세제를 지지하던 노론이 점점 수에 무리를 두는 행동을 하는데, 그것이 경종이 어릴적부터 병약하고 자식이 없어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는게 궁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알고있던 공공연한 사실이였는데 이에 노론 강경파 4인 김창집(1648~1722),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등 4명이 세제를 경종을 대신해 대리청정을 하게끔 요구하는 무리수를 두게 된다. 이런 노론의 행태에 소론측 강경파 김일경(1662~1724)은 노론측 대신인 목호룡(1684~1724)으로 하여금 거짓고변을 하게 하면서 노론4대신을포함한 노론 주요 인물이 숙청되는 신임옥사(1721~1722)가 일어나게 된다. 그렇게 노론은 세력을 잃고 세제(영조)는 더욱 상황이 안좋아지지만, 신임옥사 2년후인 1724년 경종이 승하하면서 영조로 즉위하고, 영조는 즉위하자마자 거짓고변을한 목호룡과 김일경을 제거하고 소론은 실각한다.

 

II. 이인좌의 난

그러나 실각한 소론에서도 분노의 꽃이 슬금슬금 피다가 소론 강경파가 신임옥사때 몰락한 소론(원래 이인좌는 남인이였다) 이인좌(1695~1728)와 결탁하여 이인좌의 난이 발발하게 된다. 이인좌의 난은 1728년보다 일찍 시도되려고 했지만 1727년 일어난 정미환국 이후 시행된 탕평책으로 노론 온건파와 소론 온건파가 등용되면서 표면적으로 조정의 안정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강경론자들이 줄을 댈 수가 없어지게되자 이인좌와 강경 소론파는 이미 숙종치세때 몰락한 남인과 규합하여 1728년(영조4년) 소현세자의 증손자인 밀풍군 이탄(영조의 대립군주, 1698~1729)을 추대하여 난을 일으키게 되면서 파죽지세로 세를 넓히지만, 열흘만에 진압되고 주모자 이인좌는 대역죄로 거열형으로 사망하면서 난이 종료된다.

 

III. 윤지의 난

신임옥사(1721~1722)이후 아버지 윤취상(?~1725)이처형되고 연좌제로 유배를 갔던 윤지(?~1755)는 1740년(영조16년) 신임옥사가 무고로 처리되자마자 경신처분(1740)으로 복권되는데, 윤지는 신임옥사때의 원한을 품고 신임옥사때 화를 입은 남인과 강경 소론파를 규합하여 다른생각을 가지게 된다. 윤지는 전라도 나주에서 은밀하게 이들과 반란모의를 하게되면서 반란에 합류할 불만세력들을 끌어모으기 시작한다. 1755년(영조31년), 나주에 조선을 비방하는 괘서를붙여 민심을 동요시키는 것으로부터 거사를 시작하고자 하지만, 이 괘서가 붙여지기전 이미 사전에 감지한 조선 중앙정부에서 윤지를 체포하여 한양으로 압송하여오게 하고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가 직접 윤지를 친히 국문하게 되었는데 윤지는 국문도중에 사망한다. 

 

결과

윤지의 난 이후 사실상 남인과 강경 소론파는 멸망에 가까운 타격을입게 된다. 이 을해옥사 이후 남인과 강경 소론파는 수백명이 숙청을 당하기에 이른다.  

반응형

'한국사 사건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금대 전투  (0) 2025.03.20
임오군란  (0) 2025.03.19
녹둔도 사건  (0) 2025.03.17
정암진 전투  (0) 2025.03.16
칠천량 해전  (0)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