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28

칠천량 해전

칠천량 해전, 1597   배경원균(1540~1597)의 패작. 1597년 7월 15일(선조30년), 칠천량에서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시마즈 요시히로(1535~1619)가 이끄는 왜 수군에 의해 대패한다. 당시는 1597년 3월에 왜와 명나라간 교섭이 결렬되면서 다시 전투가 벌어지게 된다. 이를 정유재란(1597~1598)이라 한다.왜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1537~1598, 관백재위1585~1592, 태합재위1587~1598)가 명나라와의 교섭이 결렬되고 다시 조선 하삼도(경상도, 전라도, 충청도)를 공격하여 점령하라는 명을 내리는데, 육로를 내어주지 않는 조선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수로로 보급품을 전달하여야 했는데 그러자니 이순신(1545~1598)이 걸렸다. 그러나 이순신은 뜻..

한산도 대첩

한산도 대첩, 1592. 08. 14   배경임진왜란이 발발한지 3개월이 되던 시점인 1592년 8월(선조25년), 경상도 해안 한산도 근방에서 큰 해전이 일어난다. 이 전투가 벌어지기 전 왜군은 육지로는 우세를 보이지만 조선 수군에게 연패당하며 점점 동쪽으로 밀려나고 있었는데,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1537~1598, 관백재위1585~1592, 태합재위1587~1598)가 육군에 있던 와키자카 야스하루(1554~1626)를 수군으로 급파시켜 조선 수군 토벌을 명령한다.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은 거제도와 가덕도 인근에서 왜군의 해군증강을 목격하고 전라우수사 이억기(1561~1597), 경상우수사 원균(1540~1597)등과 합세해 총55척의 전력으로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73척의 함대..

홍경래의 난

홍경래의 난   배경1811년(순조11년)~1812년(순조12년)까지 홍경래(1780~1812)를 중심으로 평안도에서 농민 반란이 일어난다. 당시 조선 후기 빠른 경제 성장력을 바탕으로 조선 정부에서는 과거급제자 수를 대폭 늘리지만 급제를 하여도 기존의 체제로는 급제한 자들까지 모두 관직에 앉힐 수 없었던 실정이였기에 이들의 불만이 점점 쌓여져 간다. 그중에서도 특히 청나라와의 국경지대로서 교류가 원만하여 상업이 발달했던 평안도에서 특히 불만이 크게 쌓이고 있었는데, 정치적으로 소외되고 벼슬길까지 막아서는등의 이유가 존재했다. 그중 평안도 출신으로 몰락한 양반 가문 출신인 홍경래(1780~1812)는 1798년(정조22년) 과거에 낙방하고 이후 세도정치와 평안도 지역의 차별에 대한 불만을 품고 과거를 포..

청일전쟁

청일전쟁, 1894~1895   배경총7개월(1894. 07. 24 ~ 1895. 04. 17)간 일어난 동아시아의 전쟁으로, 조선을 두고 청나라와 일제간에 벌어진 전쟁이다. 제국주의가 만연하던 동아시아에서 메이지유신(1868)이후 서양식으로 교체되어 급속도로 발전하던 일본제국은 1876년(고종12년) 강화도 조약으로 조선에 대한 보호국화를 진행하여 조선에 친일내각을 수립시키고 갑오개혁등으로 조선에 대한 보호화를 가속화시키려고 했다. 청나라는 아편전쟁(1차 1840~1842, 2차 1856~1860)으로 인해 서양 열강들에게 패하여 국력이 점점 상실되고 있던 찰나에 이래선 안된다 싶어 자체적 재기를 위한 양무운동을 실시하여 동아시아의 패권을 다시 잡고자했는데, 일제 역시 메이지유신으로 급속도로 발전해 패..

정약용

다산 정약용, 1762~1836출생1762년(영조38년) 조선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서 아버지 정재원(1730~1792)과 어머니 해남 윤씨 사이에서 태어남. 호는 다산. 배경명실상부 다재다능의 끝판왕. 어릴적부터 학문에 관심이 많아 아버지 정재원을 따라 다니면서 학문을 연마하고 성호 이익(1681~1763)의 학문을 계승하여 실학 사상의 근간을 갖추게 된다.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와의 기가막힌 콤비로 유명하다. 부교(배다리)를 생각해내어 사도세자(1735~1762)의 묘인 영우원을 양주에서 수원 화산으로 성공적으로 옮기게 하고, 수원 화성 건립때 총 공사기간을 단축시킨 거중기를개발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천주교와 연관되어있던 집안배경과 ..

좌의정 김종수

김종수, 1728~1799출생1728년(영조4년) 조선 한성부 미장동(현 서울시 종로구)에서 아버지 김치만(1697~1753)과 어머니 풍산 홍씨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후기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시기 좌의정을 역임한 대신. 정조의 세손시절 스승으로서 김종수는 노론 벽파(세손 제거 당론)였지만 당론에 반하여 세손을 지켜주는 쪽의 입장을 취하고 노론 내에서도 강경파에 속하던 벽파들과 대립하고 그들을 멀리하고 청명당파에 가담하는 행보를 보여준다. 이로인해 이후 1776년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 승하후 정조가 즉위하고 나서 정조의 최측근의 일원으로서 노론 청명파의 영수가 되고 좌의정에까지 이른다.   집안1728년 진사를 지낸 아버지 김치만(1697~175..

208대 영의정 채제공

채제공, 1720~1799, 영의정재임1793.07~1793.07(총9일 재임)출생1720년(숙종46년) 조선 충청도 홍주목(현재 충남 홍성군 홍성읍)에서 아버지 채응일(1686~1764)과 어머니 연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후기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시기 영의정을 역임한 문신으로, 1735년(영조11년) 향시 급제, 1743년(영조19년)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면서 관리가 된다.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의 재위기간 52년간에 걸쳐 다양한 요직들을 두루 거치면서 승진을 거듭하는데, 1760년대 들어 영조와 사도세자(1735~1762)간의 사이가 급속도로 나빠지면서 세자폐위의 그림자가 짙어질 때 채제공이 죽음을 무릅쓰고 이를막아 철회시켜 사도세..

수원 화성(1796)

수원 화성, 1796  배경조선22대 왕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는 1794년(정조18년) 수원화성 착공을 명 한다. 정조의 아버지인 사도세자(1735~1762)가 임오화변으로 뒤주에 갇혀 죽은 뒤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가 경기도 양주 배봉산에 장사지내 수은묘로 하여금 묘를 만들고 정조 즉위후 수은묘를 영우원으로 격상시키고 1789년(정조13년) 10월 영우원을 수원 화산으로 옮기고자 하였다. 이는 1789년 7월 금성위 박명원(1725~1790)이 영우원의 관리가 잘 안되고 위치가 좋지않다는 상소를 올리면서부터 시작된다. 정조는 이에 수원 화산으로 옮기고자 한 것으로 결정하였고, 즉시 시행하게 된다. 1789년 10월 영우원을 수원 화산으로 옮기게 되고 ..

행정기구/조선 2025.03.04

174,176,180대 영의정 홍봉한

영의정 홍봉한, 1713~1778 재임기간재임기간 군주174대 영의정1761. 10. 24 ~ 1762. 06. 23 영조37년 ~ 영조38년176대 영의정1763. 07. 06 ~ 1766. 10. 15영조39년 ~ 영조42년180대 영의정1768. 12. 11 ~ 1770. 02. 05영조44년 ~ 영조46년출생1713년 조선 한양에서 아버지 홍현보(1680~1740)와 어머니 풍천 임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사도세자(1735~1762)의 부인인 세자빈 홍씨(혜경궁 홍씨, 1735~1816)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장인인 인물이자 영의정을 역임한 인물이며 조선14대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의 5대손(선조의 딸 정명공주의 4세손)이다. 1735년(영조11년) 생원시, 1736년..

혜경궁 홍씨(헌경왕후)

혜경궁 홍씨, 헌경왕후, 1735~1816   출생1735년 조선 한성부 반송방에서 아버지 영의정 홍봉한(1713~1778)과 어머니 한산 이씨 사이에서 태어남. 사도세자 이선(추존 장조, 1735~1762)의 세자빈이자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의 모후. 배경정조의 어머니이자 사도세자의 세자빈으로서 생전 사도세자가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사망했기에 왕비가 되진 못한다. 시아버지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승하 후 아들 정조가 왕위에 오르고 난 뒤 혜경궁이라는 궁호가 내려져서 익숙하게 불려온다. 1743년(영조19년) 사도세자의 세자빈으로 간택되고, 1744년(영조20년) 사도세자와 가례를 올리고 세자빈에 책봉된다. 1750년 의소세손 이정(1750~1752)과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