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26

원균

원균, 1540~1597   출생1540년(중종34년) 조선 경기도 진위현 여방면 내리(현 경기도 평택시 도일동)에서 아버지 원준량(1520?~1571)과 어머니 남원 양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시대 무신으로 전라우수사를 지낸 원준량의 아들이였는데 1564년(명종19년) 당시 경상우병사였던 원준량은 원균의 무과 초시에 규칙을 위배하면서까지 응시시키고 이로인해 합격했다는 죄목으로 탄핵을 당하고 원균역시 무과 초시 합격이 취소된다. 이후 재시험, 삼수, 사수등을 치르지만 낙방을 거듭하다가 겨우겨우1567년(선조원년)식년 무과 을과로 급제한다. 이후 선전관, 조산보만호, 거제현령, 종성부사, 전라좌수사등을 역임하지만 거제현령당시 부족한 능력이 비판받..

노량 해전

노량 해전, 1598. 12. 16 배경1598년(선조31년) 12월16일, 삼도수군통제사겸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을 포함한 조-명 연합수군 2만여명이 경상도 노량 앞바다(현재 경남 남해군 설천면)에서 왜군을 대파한 해전이다. 왜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1537~1598, 관백재위1585~1592, 태합재위1587~1598)가 노량해전이 터지기 3개월전인 1598년 9월 61세로 병사하면서 사기문제로 조선에 출병되어있던 왜군들에게는 태합의 죽음을 알리지 않고 비밀로 하였지만 곧 조선에 있던 왜병들에게 전달되고 철군명이 떨어짐에 따라 본국으로 철수준비를 하게 된다. 그러나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은 이들을 그냥 보낼 생각이 없었고 이에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1543~1607)과 이들..

용암포 사건

용암포 사건, 1903  배경1903년(고종39년, 광무6년) 국경지대인 압록강 하류지역인 용암포 일대를 러시아 제국이 불법적으로 무단점령, 그들이 시행하고자하던 벌채사업으로 불법점거한 용암포 일대의 벌채권까지 요구한 사건이다. 당시 대한제국은 1897년 고종(1852~1919, 조선재위1864~1897, 대한제국재위1897~1907)이 아관파천(1896~1897)이후 친러파가 득세하면서 벌어진 정책인 만한전진정책(러시아가 조선을 침략하기위해 추진한 정책)으로 점점 조선내 러시아의 힘이 커져가는데 그 정점을 찍은 사건이 용암포 사건이다. 이에 일제와 대영제국이 반발하여 대한제국 정부에 항의를 한다.  발단I. 아관파천1895년 일제는 청일전쟁 승리 이후 조선에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에 이르는데 거기다..

황세득

황세득, 1537~1598  출생1537년 조선 충청도 직산(현 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서 아버지 황종식(?~?)과 어머니 진주 강씨(강위빙(1569~1637)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성주 황씨의 시조이며, 고려시대 당시 문신이자 상주 황씨의 시조인 황석주의 17대손이다. 조선 중기 임진왜란(1592~1598)당시 무관으로 전라우수사 이억기(1561~1597)의 휘하인 장흥부사로서 해전에 참전(당항포해전, 율포해전, 부산포해전)*하여 전공을 세운 인물이다. 1564년(명종19년)무과에 급제해 무관으로 살아오다가 장흥부사에 이르렀을 쯤인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위와같이 해전에서 수많은 공을 세우고, 1596년(선조29년) 사도첨사가 되어 삼도수군통제사겸 전라좌수사 이순신..

카테고리 없음 2025.04.05

정운

정운, 1543~1592   출생1543년(중종37년) 조선 전라도 영암군 옥천종면 대산리(현 전남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에서 아버지 정응정과 어머니 (미상)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무관으로 1570년(선조3년) 식년시 무과 병과로 급제한 뒤 훈련원봉사, 수군권관, 거산찰방, 웅천현감등을 지내는데 워낙 강직한 성격으로 윗전의 미움을 받아 몇년동안 벼슬길이 막혀버리기도 한다. 이후 1591년(선조24년) 녹도 만호로 부임받아 전라도로 내려간다. 이듬해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의 휘하로 소속되어 옥포, 당포, 당항포, 율포, 한산도등 여러 해전에서 공을 세워 인정을 받다가 1592년 9월에 벌어진 부산포해전에서 우부장으로서 선봉대에서 왜 수..

프리드리히 빌헬름2세

프리드리히 빌헬름2세(Friedrich Wilhelm II, 1744~1797, 재위1786~1797) 전임 군주당시 재직 군주후임 군주프로필프리드리히2세Friedrich II1712~1786재위1740~1786프리드리히 빌헬름2세Friedrich Wilhelm II1744~1797재위1786~1797프리드리히 빌헬름3세Friedrich Wilhelm III1770~1840재위1797~1840출생1744년 프로이센 왕국 베를린(Berlin)에서 아버지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프로이센(August Wilhelm von Preuβen, 1722~1758)과 어머니 루이제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부인(Luise von Braunschweig-Wolfenbüttel, 1722~1780)사이에서 태어났다. ..

211대 영의정 심환지

심환지, 1730~1802 재임 기간재임기간 군주211대 영의정1800. 08. 23 ~ 1802. 11. 13순조원년 ~ 순조2년출생1730년(영조6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심진(?~?)과 어머니 거창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후기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시기 때 문신으로 당시로서 많이 늦은 나이인 41세(1771년, 영조47년)에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관리가 되어 늦깎이 벼슬살이를 시작하는 인물이지만 이후 승진속도가 빨라져 부수찬, 부교리, 세자시강원 문학, 필선, 대사성, 대사간, 대사성, 도승지, 대사헌, 병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정승의 반열인 우의정, 좌의정을 거친다음 1800년(순조원년)정조가 갑자기 승하하면서 당시 정순왕후(영조의 계비, 1745~..

송상현

송상현, 1551~1592   출생1551년(명종6년) 조선 전라도 정읍현(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아버지 송복흥(1527~1594)과 어머니 안동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1576년(선조9년)문과로 급제한 송상현은 내직과 외직 두루 거쳐 1584년(선조17년) 명나라에 종계변무사 사신으로 다녀오기까지 한다. 1591년(선조24년)당상관으로 승진하고 경상도 동래 부사로 임명되기에 이른다. 동래 부사에 부임한지 겨우 1년이 지난 시점인 1592년 5월 23일, 왜1군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1558~1600)의 1군 선봉대가 부산 앞바다에 나타나면서 임진왜란이 발발한다. 임진왜란(1592~1598)이 발발한지 이틀만에 부산진과 다대진이 함락당하고, 왜군들이 동래성으로 쳐들어오자 동래 부사 송상현..

1592년 7~8월 조선 바다 전투

1592년 조선 바다 전투  배경1592년(선조25년) 8월 14일 조선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을 상대로 승리한 전투인 한산도 대첩은 3달 이전 1592년 5월 임진왜란이 발발한 이후 동래가 점령당하고 파죽지세로 북진한 왜군은 충청도쪽에서 조선의 명장 신립(1546~1592)이 이끄는 기마부대를 탄금대에서 궤멸시켜버리고 이에 수도 한양까지 경로가 확보되게 되면서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가 북쪽 명나라 경계지역인 의주까지 몽진을 하게되는 사태까지 가버리면서 왜군은 육전에서는 사실상 승전을 거듭하며 육로는 확보하지만 조선 남해안 제해권에 있어서는 전라좌수사 이순신의 함대에 의해 일방적으로 패배하게 되면서 고전을 거듭하게 ..

명량 해전

명량 해전, 1597  배경1597년(선조30년)에 다시 재발한 정유재란 당시인 1597년 10월 26일(음력9월16일)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1545~1598)의 지휘를 받는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을 명량 해협에서 대파시킨다. 명량 해전 이전의 조선 수군은 1597년 8월 27일에 벌어졌던 칠천량 해전에서 당시 삼도수군통제사 원균(1540~1597)이 전임 통제사 이순신을 모함하여 능력도 되지않고 전략적 판단도 미숙함에도 불구하고 왜군이 부산에 집결했다는 소식에 조정의 공격 압박을 받아 준비도 별로 되지 않은상태에서 어찌저찌 출정하다가 지휘력 부족과 왜군의 교란작전에 휘말려 90%이상의 전선을 잃어버리고 도망가다가 전사한다. 이 소식을 들은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은 충격을 받고 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