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40

211대 영의정 심환지

심환지, 1730~1802 재임 기간재임기간 군주211대 영의정1800. 08. 23 ~ 1802. 11. 13순조원년 ~ 순조2년출생1730년(영조6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심진(?~?)과 어머니 거창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후기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시기 때 문신으로 당시로서 많이 늦은 나이인 41세(1771년, 영조47년)에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관리가 되어 늦깎이 벼슬살이를 시작하는 인물이지만 이후 승진속도가 빨라져 부수찬, 부교리, 세자시강원 문학, 필선, 대사성, 대사간, 대사성, 도승지, 대사헌, 병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정승의 반열인 우의정, 좌의정을 거친다음 1800년(순조원년)정조가 갑자기 승하하면서 당시 정순왕후(영조의 계비, 1745~..

송상현

송상현, 1551~1592   출생1551년(명종6년) 조선 전라도 정읍현(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아버지 송복흥(1527~1594)과 어머니 안동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1576년(선조9년)문과로 급제한 송상현은 내직과 외직 두루 거쳐 1584년(선조17년) 명나라에 종계변무사 사신으로 다녀오기까지 한다. 1591년(선조24년)당상관으로 승진하고 경상도 동래 부사로 임명되기에 이른다. 동래 부사에 부임한지 겨우 1년이 지난 시점인 1592년 5월 23일, 왜1군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1558~1600)의 1군 선봉대가 부산 앞바다에 나타나면서 임진왜란이 발발한다. 임진왜란(1592~1598)이 발발한지 이틀만에 부산진과 다대진이 함락당하고, 왜군들이 동래성으로 쳐들어오자 동래 부사 송상현..

1592년 7~8월 조선 바다 전투

1592년 조선 바다 전투  배경1592년(선조25년) 8월 14일 조선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을 상대로 승리한 전투인 한산도 대첩은 3달 이전 1592년 5월 임진왜란이 발발한 이후 동래가 점령당하고 파죽지세로 북진한 왜군은 충청도쪽에서 조선의 명장 신립(1546~1592)이 이끄는 기마부대를 탄금대에서 궤멸시켜버리고 이에 수도 한양까지 경로가 확보되게 되면서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가 북쪽 명나라 경계지역인 의주까지 몽진을 하게되는 사태까지 가버리면서 왜군은 육전에서는 사실상 승전을 거듭하며 육로는 확보하지만 조선 남해안 제해권에 있어서는 전라좌수사 이순신의 함대에 의해 일방적으로 패배하게 되면서 고전을 거듭하게 ..

명량 해전

명량 해전, 1597  배경1597년(선조30년)에 다시 재발한 정유재란 당시인 1597년 10월 26일(음력9월16일)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1545~1598)의 지휘를 받는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을 명량 해협에서 대파시킨다. 명량 해전 이전의 조선 수군은 1597년 8월 27일에 벌어졌던 칠천량 해전에서 당시 삼도수군통제사 원균(1540~1597)이 전임 통제사 이순신을 모함하여 능력도 되지않고 전략적 판단도 미숙함에도 불구하고 왜군이 부산에 집결했다는 소식에 조정의 공격 압박을 받아 준비도 별로 되지 않은상태에서 어찌저찌 출정하다가 지휘력 부족과 왜군의 교란작전에 휘말려 90%이상의 전선을 잃어버리고 도망가다가 전사한다. 이 소식을 들은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은 충격을 받고 어..

부산진첨사 정발

정발, 1553~1592출생1553년(명종8년) 조선 경기도 연천군 마전면에서 아버지 정명선(1517~1566)과 어머니 함열 남궁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무인으로 1577년(선조10년) 24세가 되었을 때 별시 무과 병과 7위로 급제하여 무인이 된 다음 현감, 현령등을 지냈다가 1592년(선조25년) 정3품 상계(당상관) 절충장군에 오르게 되면서 경상도 부산진성 부산진첨절제사(줄여서 부산진첨사)가 된다. 그러나 부산진첨사가 된지 몇개월 되지도 않은 시점에 임진왜란(1592~1598)이 발발한다. 정발은 왜군이 부산 앞바다에 쳐들어올 때 절영도(현 부산광역시 영도구)에서 사냥훈련 중이였는데 왜에서 조공을 하러 오는 쇄견선이라 여겼었는데, 공격을 자행하는 왜 함선을 목격하고 부산진성으로 급..

의병장 곽재우

곽재우, 1552~1617  출생1552년(명종7년) 조선 경상도 의령군(현재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아버지 곽월(1518~1586)과 어머니 진주 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홍의장군으로 유명한 임진왜란(1592~1598)당시 의병장으로 의병을 일으켜 왜군에게 맞서 정암진 전투, 제1차 진주성 전투, 화왕산성 전투 등에서 맹활약한 인물이다. 본래 문과 출신으로 당시로서는 늦은 나이인 만33세때 과거에 합격하지만 당시 답안으로 제출했던 글이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의 눈에 거슬려 합격무효가 되어버려 출사를 포기하고 평생을 고향에서 은거할 결심을 하고 의령으로 내려간다. 이후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관군들이 연전연패를 거듭하여 수도 한양까지 위태로워지면서 고향 ..

의병장 최경회

최경회, 1532~1593  출생1532년(중종26년) 조선 전라도 능주(현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아버지 최천부(1502~1552)와 어머니 평택 임씨 사이에서 3남중 막내로 태어났다.  배경임진왜란(1592~1598)당시 4대 의병장(곽재우, 최경회, 고경명, 김천일)중 한명이고 고려시대 해동공자로 추앙받는 최충(984~1068)의 후손이기도 하다. 1561년(명종16년)생원, 진사시 합격, 1567년(선조원년)식년 문과 을과로 급제한 후 성균관 전적, 사헌부 감찰등 요직을 이어가다가 이후 영해군수를 역임하던 때 1590년(선조23년) 어머니 평택 임씨가 사망하여 벼슬을 내려놓고 3년상을 치르는 도중인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한다. 큰형 최경운(?~1596)과 작은형 최경장(1529~1601)과 고향..

의빈 성씨

의빈 성씨(1753~1786)   출생1753년(영조29년) 조선에서 아버지 성윤우(1709~1769)와 어머니 정경부인 부안 임씨(1722~1756)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덕임'이다.  배경조선22대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의 후궁으로 문효세자 이양(1782~1786)의 어머니이다. 1760년대 초반에 궁에 궁녀로 입궐하는데는 배경이 여러가지로 나뉘는데, 궁녀로 입궐하는 과정은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입궐하기 전부터 가세가 기울게 되면서 입궁하게 되었다는 승정원일기 기록은 남아있다. 거기다 1773년(영조49년) 궁녀 덕임을 포함한 공주등과 함께 소설 [곽장양문록]을 필사하는데 같이 필사했던 인물들은 아래 표와 같다.  생몰년도비고청선공주1756 ~ 1802사도세자의 차..

숙빈 최씨

숙빈 최씨, 1670~1718  출생1670년(현종11년) 조선 한성부 여경방(현재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아버지 최효원(1638~1672)과 어머니 남양 홍씨(홍계남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조선21대 임금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의 생모이다.  배경조선19대 숙종(1661~1720, 재위1674~1720)의 후궁으로 출신이 불분명하나 대부분은 궁중 무수리(조선시대 궁중 청소, 허드렛일 담당하던 여종)출신으로 숙빈 최씨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7세무렵인 1677년(숙종3년) 궁에 입궐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역사적 기록이 많이 부족한 인물이라 여러방면으로 해석이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숙종에게 승은을 입었으나 시기가 불분명하고, 1693년(숙종19년)경 숙종의 후궁이 되면서 내명부 종..

자카리아 교황

92대 교황 자카리아(Zacharias PP. , 679~752, 재위741~752) 전임 교황재직 교황후임교황프로필그레고리오3세Gregorius PP. III?~741재위731~741자카리아Zacharias PP.679~752재위741~752스테파노2세Stephanus PP. II715~757재위752~757 출생679년 동로마 제국 칼라브리아(현 이탈리아 남서부 칼라브리아주)에서 아버지 폴리크로니오스와 어머니(미상)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뒤 로마가 동로마 제국 치하에있던 시절 마지막으로 재위한 그리스출신 교황으로, 교황으로 선출되어 동로마 황제에게 보고하여 승인을 기다리다 선종한 마지막 교황이다. 재위기간 당시 프랑크 왕국 궁재 피핀(Pépin, 714~768, 재위75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