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위급 귀족 & 관리 73

조선시대 품계

품계조선시대에 총 18품 30계로 구성되어있는 계급도.    I. 당상관정3품 상계이상 품계의 벼슬에 오른 사람들을 뜻함. 조정에서 관직에 앉은 이들이 모여 논의할 때 당(堂, 핵심 신료들과 정사를 논의하는 곳에 당호가 붙)위에 올라 앉을 수 있는 관직이라 하여 당상관. 임금과 함께 정사를 논할 수 있는 직급이였음.당상관의 범위는 정1품~정3품 상계까지이고, 사극에 나오는 붉은색 관복을 입은 자들이 당상관에 좌수된 사람들임. 당상관에 좌수된 자들은 양반의 반열에 오른다.  1443년(세종25년) 세종대왕때 종친계가 시작된다. 품계종친계(왕실의 종친)의빈계(왕실의 사위들이 받는)문관계무관계주요관직별칭당상관정1품 상계현록대부수록대부대광보국숭록대부 3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대감정1품 하계흥록대부성록대부보국..

7,9,11대 영의정 하륜

하륜(Ha Ryun, 1348~1416) 대수재임기간군주영의정 재임71408. 03. 08 ~ 1409. 09. 18태종8년 ~ 태종9년91409. 11. 17 ~ 1412. 09. 26태종9년 ~ 태종12년111414. 05. 06 ~ 1415. 06. 23태종14년 ~ 태종15년 출생1348년 고려 경상도 진주에서 아버지 순흥부사 하윤린(1321~?)과 어머니 진주 강씨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권신 이인임(1312~1388)의 조카사위이다. 이는 이인임의 친아우 이인미(?~?)의 딸 성 이씨와 혼인했기 때문이였다. 배경태종(이방원, 1367~1422, 재위1400~1418)을 도와서 조선창설 이후 수성기에 접어드는 시기에 체제를 정비하는데 큰 역할을 한 신진사대부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수양초은 이인복(..

4대 영의정 조준

조준(Jojune, 1346~1405, 영의정재임1403~1405) 재임 기간군주4대 영의정1403. 08. 03 ~ 1405. 07. 13태종3년 ~ 태종5년   출생1346년 고려 서북면 평양부에서 아버지 평양부원군 조덕유(1314~1352)와 어머니 해주 오씨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조준의 동생으로 여말선초 문신인 조견(1351~1425)이 있다.  배경조선의 개국공신중 한명으로, 충선왕(1275~1325, 재위1298, 1308~1313)시대때 문하시중을지낸 조인규(1227~1308)의 증손자이고 평양부원군 조덕유의 5남으로 고려 말기 당시 권문세족임에도 불구하고 토지개혁을 주도한 인물이다.  문무 통합형 인재1371년 음서(출신을 고려한 관직선발제도)로 관직에 올랐다가 1374년 문과에 급제해서 여..

81, 88대 영의정 이산해

이산해(Lee San-hae, 1539~1609) 재임기간군주81대 영의정1590.03 ~ 1592.06선조23년 ~ 선조25년88대 영의정1600.03 ~ 1600.06선조33년출생1539년 조선 한성부에서 명종대 문신인 아버지 이지번(1508~1575)과 어머니 의령 남씨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문신으로서 여러 직책을 거쳐 정1품 영의정에 오른 동인출신 인물로 정철(1536~1593)처분에 따른 분열로 남인(정철 살리자 온건파)과 북인(정철 처형파)으로 갈릴 때 북인의 영수가 된 인물로 임진왜란(1592~1598)이 터지면서 선조를 피난시키는 등의 일을 담당하지만 임진왜란이 터지기 전에 나라를 그르치고 왜적이 침입하도록 했다는 명목으로 탄핵을 받아 파면된다.  어린시절 목은 이색(1328~..

5선 영의정 이원익

이원익(Lee Wonik, 1547~1634) 대수재임기간군주영의정 재임851598. 11 ~ 1599. 07*선조31년 ~ 선조 32년871599. 11 ~ 1600. 02선조32년 ~ 선조 33년941608. 03 ~ 1609. 09*광해군 원년 ~ 광해군1년961611. 09 ~ 1612. 07광해군3년 ~ 광해군4년1011623. 04 ~ 1627.01인조 원년 ~ 인조4년*선조(1552~1608, 재위1567~1608), 광해군(1575~1641, 재위1608~1623)출생1547년 조선 경기도 금천현 서면(현 경기도 광명시)에서 아버지 이억재(1503~1585)와 어머니 동래 정씨 사이에서 태어났고 아버지 이억재는 왕실 종친으로 종2품 하계 정의대부에 봉해진 인물이다. 이원익은 전주 이씨 왕실..

86대 영의정 윤두수

윤두수(Yun Doo-su, 1533~1601, 영의정재임1599) 재임 기간군주86대 영의정 1599. 09. 13 ~ 1599. 11. 06선조32년출생1533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윤변(1493~1549)과 어머니 성주 현씨 사이에서 태어났고 윤두수의 동생은 같은 서인인 문신 윤근수(1537~1616)이다.  배경조선중기 문신으로서, 종계변무의 공과 더불어 임진왜란&정유재란(1592~1598)기간동안 서인의 영수로서 류성룡(1542~1607)등과 함께 전란을 수습하는 중책을 맡으면서 조선을 위기로부터 벗어나기위해 고군분투한 고위급 대신이다. 7년간의 전쟁이후 영의정으로서 전란을 수습하는데 애쓰지만, 양사 대간들의 탄핵으로 2개월만에 영의정 자리에서 물러난 인물이다. 영혼의 단짝일찍이 아버지 윤변..

82대, 84대 영의정 류성룡

류성룡(Ryu Seong-ryong, 1542~1607, 영의정재임1592, 1593~1598)  출생1542년 조선 경상도 의성현(현 경북 의성군)에서 아버지 황해도 관찰사 류중영(1515~1573)과 어머니 안동 김씨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위로는 형 류운룡(1539~1601)이 있다. 배경임진왜란이라는 전시상황에서의 영의정으로서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를 보필하고 전쟁을 수행하면서 국난을 극복하게끔 한 장본인이다. 여러 평가가 나뉘지만 전란의 위기의 조선을 구했다는 평가가 후에 이루어졌다.  퇴계문하의 천재퇴계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뛰어난 머리로 이황에게도 높이 평가받으면서 학문을 익히다가 1564년 생원,진사(소과)가 되어 1565년 성균관에 들어가서 1566년에 별시 문과에 급..

20대 영의정 황희

황희(Hwang Hui, 1363~1452, 영의정재임1431~1449)출생1363년 고려 개경부 개풍 가조리에서 아버지 황군서(1328~1402)와 어머니 용궁김씨(?~?)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역대 영의정중 가장 긴 재임기간(18년)을 가지고 있는 인물로서 사실상 세종(1397~1450, 재위1418~1450)치세 32년중 절반이상을 영의정으로서 세종을 도와 설립된지 50년도안된 조선왕조의 수성기를 잘 넘겨 번영을 이끌게끔 한 장본인이다.  관직생활 시작1376년(우왕2년) 13세였던 고려 말기때 음서로 품계가 없는 녹사가 되면서부터 황희의 관직생활 시작이라고 본다. 1376년부터 1449년까지 73년간 관직생활을 할거라곤 생각이나 했을까, 당시 고려 말 평균수명이 40세가 안되었는데 황희..

우찬성 윤임(대윤)

윤임(Yun Im, 1487~1545)   출생1487년 경기도 파주군에서 아버지 파원부원군 윤여필(1466~1555)과 순천부부인 박씨(장경왕후의 어머니, 1466~?)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대윤의 영수이며, 인종의 어머니 장경왕후의 오빠. 인종이 즉위했을 때 외척으로서 권위를 누릴것처럼 보였으나, 인종이 병약해 즉위8개월만에 승하하고, 자신이 추천했던 문정왕후(1501~1565)의 아들 명종(1534~1567, 재위1545~1567)이 즉위하면서 윤원형(1509~1565)이 어린 명종을 대신해 누이 문정왕후의 수렴청정때 외척으로서 권력을 틀어잡은 뒤 윤임은 온갖 모함과 음모를 통해 대윤세력이 와해되고 윤임역시 유배길에 사사된다. 윤임은 대윤, 윤원형은 소윤으로 분류되는데, 윤임이 인종의 외척으로서 ..

89대, 91대 영의정 이항복(오성)

이항복(Lee Hang-bok, 1556~1618, 영의정 재임1600~1602, 1604)출생1556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참찬 이몽량(1499~1564)과 어머니 전주 최씨(?~?)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전래동화 오성과 한음에서 오성역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오성은 이항복의 작위인 오성부원군에서 따온 것. 이항복의 호는 명보. 1580년 과거급제부터 평생의 동지가 된 이덕형과 영혼의 단짝. 당색은 비록 달랐지만 끝까지 우정을 지키며 서로를 위해줬던 진정한 영혼의 단짝이였다. 말년엔 광해군 즉위이후 임해군(1572~1609)사사문제, 인목대비(1584~1632) 폐위건, 영창대군(1606~1614) 사사문제 등으로 피곤한일들이 많았고, 유배를 갔다가 유배지에서 사망한다. 영혼의 단짝 이덕형 아버지 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