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급 귀족 & 관리/고려

고려시대 품계

Mintaka5 2024. 10. 9. 17:11
반응형

고려의 품계

I. L'introduction

고려의 품계는 조선의 품계와 차이가 조금 나는데, 고려 국조인 태조(877~943, 재위918~943)때 마련된 품계는 태봉의 품계를 참고했었고(9품16계, 문관무관 상관없이 모두적용, 명칭이 없었음) 이후 6대인 성종(961~997, 재위981~997)대 995년(성종14년)에 문치주의 국가인 북송(북송은 또한 당나라의 제도를 도입함. 문산계, 무사계)의 품계를 도입해 재편성되면서 정식 관작과 함께 품계로 활용이 된다.

성종은 15품을 만들고 이후 11대 문종(1019~1183, 재위1146~1183)대 1176년(문종30년)에 들어 29품으로 개편된다. 이후로는 문산계 개편정도만 이루어지다가 조선에 들어서 고려의 품계를 참고하여 다시 품계가 정비된다.

 

II. 태조의 품계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문관, 무관 상관없이 모두 적용된 품계이다. 9품16계로 구성됨. 

계 / 등위  명칭 비고
1품 1계 삼중대광 공신, 고위관리에게 주어졌고 사실상 명예직. 
추대되는 품계에 해당.
2계 중대광
2품 3계 대광 사실상 실질적인 1품.
4계 정광
3품 5계  대승 실질적인 2품.
6계 좌승
4품 7계 대상 대호족 ou 개국공신만이 받은 품계.
8계 원보
5품 9계 정보  
6품 10계 원윤  
11계 좌윤  
7품 12계 정조  
13계 정위  
8품 14계 보윤  
9품 15계 군윤  
16계 중윤  

 

III. 성종의 품계

995년(성종14년), 6대 성종(961~997, 재위981~997)중앙관제의 관계체제에서 문산계로 설정으로서 기존의 품계가 향직으로 정착된다. 무산계29등급 도입과 함께 300년간 쓰인다. 무산계는 당나라와 북송의 무산계를 도입하여 운영. 

1품은 두고 2품부터 문산계로 고쳐쓴다. 

문산계(향직) 무산계(29계) 비고
정1품 상계 삼중대광, 중대광
명예품계(현직에서 받을 수 있는 품계가 아님)
즉 살아있을 때 받을 수 없다..
하계
종1품 상계   표기대장군  
하계  
정2품 상계 개부의동삼사 보국대장군  
하계
종2품 상계 특진 진국대장군  
하계
정3품 상계 흥록대부 관군대장군  
하계
종3품 상계 좌승 운휘대장군  
하계  
정4품 상계 금자흥록대부 중무장군  
하계 장무장군  
종4품 상계 은청흥록대부 선위장군  
하계 명위장군  
정5품 상계 정보 정원장군  
하계 녕원장군  
종5품 상계 유기장군  
하계 유격장군  
정6품 상계 원윤 요무장군  
하계 요무부위  
종6품 상계 좌윤 진위교위  
하계 진무부위  
정7품 상계 정조 치과교위  
하계 치과부위  
종7품 상계 정위 익위교위  
하계 익위부위  
정8품 상계 보윤 선절교위  
하계 선절부위  
종8품 상계 어모교위  
하계 어모부위  
정9품 상계 군윤 인용교위  
하계 인용부위  
종9품 상계 중윤 배융교위  
하계 배융부위  

 

 

IV. 문종의 문산계 정비

문종이 무관에 대한 대우를 개선해준 일로 무산계(무반)직중 최고직위인 상장군의 품계를 정3품 은청광록대부로 정하는파격적인 대우를해주게 된다.  1076년(문종30년)정비되며 총 18품 29계로 이루어져있다. 

문산계 무산계 비고
정1품 명예품계(현직에서 받을 수 있는 품계가 아님)     명예직 : 태사, 태부, 태보, 사공
종1품 개부의동삼사 표기대장군 문하시중(문), 중서령(문), 상서령(문)
정2품 특진 보국대장군 평장사(문), 상서 좌/우복야(문)
종2품 금자광록대부 진국대장군 참지정사(문), 정당문학(문), 중추원사(문), 지중추원사(문), 지상서성사(문)
정3품 은청광록대부 관군대장군 상장군(무), 상서6부(문), 추밀원부사(문)
종3품 광록대부 운휘대장군 대장군(무), 좌우승(문), 어사대부(문)
정4품 상계 정의대부 중무장군 장군(무), 시랑(문)
하계 통의대부 장무장군
종4품 상계 대중대부 선위장군 어사중승(문), 국자사업(문)
하계 중대부 명위장군
정5품 상계 중산대부 정원장군 중랑장(무), 좌우사랑중(문)
하계 조의대부 영원장군
종5품 상계 조청대부 유기장군 기거주/랑/사인(문)
하계 조산대부 유격장군
정6품 상계 조의랑 요무장군 랑장(무), 좌우보궐(문)
하계 승의랑 요무부위
종6품 상계 봉의랑 진위교위 좌우습유(문), 좌우사원외랑(문), 전중시어사(문)
하계 통직랑 진무부위
정7품 상계 조청랑 치과교위 별장(무), 당후관(문), 국자박사(문)
하계 선덕랑 치과부위
종7품 상계 선의랑 익위교위 주부(문), 권지합문지후(문)
하계 조산랑 익휘부위
정8품 상계 급사랑 선절교위 산원(무), 사문박사(문)
하계 징사랑 선절부위
종8품 상계 승봉랑 어모교위 율학박사(문), 직사관(문)
하계 승무랑 어모부위
정9품 상계 유림랑 인용교위 교위(무), 학정 학록(문)
하계 등사랑 인용부위
종9품 상계 문림랑 배융교위 대정(무), 율학조교(문), 서학/산학 박사(문)
하계 장사랑 배융부위

 

V. 충렬왕의 (강제)정비

1275년 충렬왕(1236~1308, 재위1274~1298, 1298~1308)즉위 1년이 지났을 때 이미 원나라 간섭기에 접어들면서 개편이 불가피하게 된 것.. 묘호를 쓰지못하게 되면서 사실상 번국의 왕으로 전락해버리면서 관제도 이전보다 한등급씩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충렬왕때는 기존 종2품 금자광록대부→광정대부, 정3품 은청광록대부→중봉대부, 이하 품계들을 원나라 제도와 견주는 것들만 고치게 된다. 

 

VI. 충선왕의 문산계 정비

충선왕은 1298년 재위하면서 아버지가 원나라 눈치를 보면서 국정혁신과 동시에 왕권강화를 위해 강도높은 품계를 개혁하는데 얼마못가 폐위된다. 이는 두가지 요인이 존재하는데,  권문세가(친원)의 비난을 받게되고 이 개정된 관제개편역시 원나라 체계를 따르지 않는 것에 반원개혁으로 규정되어 폐위되고 원나라에 소환되었다는 것과, 충선왕이 계국대장공주와 부부생활을 하지 않고,  고려출신후궁 조비[고려 외교관 조인규(1237~1308)의 딸,?~?]를 더 총애해 이를 원나라에 알려 충선왕이 원 대도에 소환되었다는 것. 이것이 조비무고사건으로 알려진 일인데, 조비가 계국대장공주를 저주했다고 무고한 것으로 알려진 사건이다. 

충선왕(1275~1325, 재위1298, 1308~1313)은 그리하여 첫 재위 7개월 사이에 발표한 1298년 문산계 정비와 1308년 복위하고 나서의 문산계 정비, 1310년 심양왕에서 심왕으로 격상됨과 동시에 개편하는 3단계에 걸쳐서 정비를 한다. 사실상 1단계 1298년 정비가 핵심.  

기존 1298년
즉위 원년
1308년
복위후 심양왕에 봉해지고 난 후
1310년
심양왕→심왕격상이후
제안대군 왕숙의 대행
정1품 상계     삼중대광 삼중대광
하계
종1품 상계 개부의동삼사 숭록대부 중대광 중대광
하계
정2품 상계 특진 흥록대부 광정대부 대광
하계 정광
종2품 상계 금자광록대부 정봉대부 통헌대부 광정대부
하계 봉익대부
정3품 상계 은청광록대부 정의대부 정순대부 정순대부
하계 봉순대부 봉순대부
종3품 상계 광록대부 통의대부 중정대부 중정대부
하계 중헌대부 중헌대부
정4품 상계 정의대부 대중대부 봉상대부 봉상대부
하계 통의대부
종4품 상계 대중대부 중대부 봉선대부 봉선대부
하계 중대부
정5품 상계 중산대부 중산대부 통직랑 통직랑
하계 조의대부 조의대부
종5품 상계 조청대부 조청대부 조봉랑
하계 조산대부 조산대부
정6품 상계 조의랑 조의랑 승봉랑 승봉랑
하계 승의랑 승의랑
종6품 상계 봉의랑 봉의랑 선덕랑
하계 통직랑 통직랑
정7품 상계 조청랑 조청랑 종사랑 종사랑
하계 선덕랑 선덕랑
종7품 상계 선의랑 선의랑
하계 조산랑 조산랑
정8품 상계 급사랑 급사랑 징사랑 징사랑
하계 징사랑 징사랑
종8품 상계 승봉랑 승봉랑
하계 승무랑 승무랑
정9품 상계 유림랑 유림랑 통사랑 통사랑
하계 등사랑 등사랑
종9품 상계 문림랑 문림랑
하계 장사랑 장사랑

 

VII. 공민왕의 품계 정비

공민왕이 단행한 반원개혁을 통해 1356년 기철(기황후의 오빠, ?~1356)일파를 처단하고 사실상 원나라 세력을 축출하고 중앙제도를 정비한다.  문종과 충선왕의 정비를 섞어서 개편.

1372년 최종적으로 문산계를 개편하지만 기록이 없다..

기존(1310년) 1356년(재위5년) 1362년(재위11년) 1369년(재위18년)
정1품 상계 삼중대광 개부의동삼사 벽상삼한삼중대광 특진보국삼중대광
하계 의동삼사 삼중대광 특진삼중대광
종1품 상계 중대광 금자광록대부 중대광 삼중대광
하계 금자숭록대부 중대광
정2품 상계 대광 은청광록대부 광정대부 광록대부
하계 정광 은청영록대부 숭록대부
종2품 상계 광정대부 광록대부 봉익대부 영록대부
하계 봉익대부 영록대부 자덕대부
정3품 상계 정순대부 정의대부 정순대부 정의대부
하계 봉순대부 통의대부 봉순대부 통의대부
종3품 상계 중정대부 대중대부 중정대부 대중대부
하계 중헌대부 중대부 중헌대부 중정대부
정4품 상계 봉상대부 중산대부 봉상대부 중산대부
하계 중의대부
종4품 상계 봉선대부 조산대부 봉선대부 조산대부
하계 조열대부
정5품 상계 통직랑 조의랑 통직랑 조의랑
하계
종5품 상계 조봉랑 조봉랑 조봉랑
하계
정6품 상계 승봉랑 조청랑 승봉랑 조의랑
하계
종6품 상계 선덕랑 선덕랑 선덕랑 조봉랑
하계
정7품 상계 종사랑 수직랑 종사랑 조청랑
하계
종7품 상계 선덕랑
하계
정8품 상계 징사랑 승사랑 징사랑 승사랑
하계
종8품 상계
하계
정9품 상계 통사랑 등사랑 통사랑 등사랑
하계
종9품 상계
하계
반응형

'고위급 귀족 & 관리 > 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충헌  (0) 2024.12.07
의천  (0) 2024.12.06
최영  (0) 2024.12.05
서희  (0) 2024.12.03
정몽주  (0) 2024.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