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31

프랑수아2세

프랑수아2세(François II, 1544~1560, 재위 1559~1560) 출생1544년(프랑수아1세, 재위29년) 앙리2세(Henri II, 1519~1559)와 카트린 드 메디시스(Catherine de Médicis, 1519~1589)의 첫째 아들로 퐁텐블로궁(Château de Fontainebleau)에서 태어났다. 배경운명이란게 참 황당하게 일어나곤 하는데, 1559년 앙리2세가 여동생 마르그리트 드 프랑스(Marguerite de France, 1523-1574)의 결혼을 축하하는 연회에서 마창토너먼트에 직접 참가했다가 상대편 창날이 부러지면서 파편이 앙리2세의 눈 위에 박히게되면서, 이로인한 감염으로 사망하게 되버린다[왕이 상대편에게 왕이라고 봐주지말고 해라 라고 했는데 이리 되어버..

이탈리아어 자음+모음

자음+모음 발음 aeiou Bb ba바be베bi비bo보bu부 Cc*cia 챠ca 까ce체che께ci치chi끼cio 쵸co 꼬ciu 츄cu꾸 Dd da다de데di디do도du두 Ff faf파fef페fif피fof포fuf푸 Gg**gia 쟈ga 가gna 냐ge 제ghe 게gne 녜gi 지ghi 기gli 리gni 늬gio 죠go 고gno 뇨giu 쥬gu 구gnu 뉴 Hh***ha아he에hi이ho오hu우 Ll la라le레li리lo로lu루 Mm ma마me메mi미mo모mu무 Nn na나ne네ni니no노nu누*자음c가 모음 a, o, u등과 만나면 [까, 꼬, 꾸]로 발음되고, e랑i와 만나면 [체, 치]로 발음되고 역시 묵음h와 만나면 [께, 끼]로 발음된다.**자음g가 모음a, o, u등과 만나면 [가, 고, 구]로..

이탈리아어 알파벳

이탈리아어 알파벳(Alfabeto)이탈리아어 알파벳은 16개의 자음, 5개의 모음(빨간색표시)으로 총21개로 구성되어 있음. 영어, 프랑스어와 같이 알파벳을 사용하고,  발음에 살짝 차이가 있지만 자음에 따른 발음규칙에 적용되어서 정직하게 읽으면 되는 오히려 발음하기 쉬운 언어중 하나. 그리고 나머지 알파벳5개(J, K, W, X, Y)는 외국어나 외래어를 표기할 때만 사용됨. 발음예시Aa 아[α]arrivare 도착하다, affidare 위임하다, amore 사랑Bb 비[bi]ballare 춤을 추다, babbino 아버지, bene 좋은Cc 치[ci]caffè 커피, cercare 찾다,  casa 집Dd 디[di]dare 주다, divenire ~이 되다, domenica 일요일Ee 에[e]eser..

4개국가 서수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서수(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 모음 영어 Anglais프랑스어 Français이탈리아어 Italien라틴어 Latin1 번째firstpremièreprimoprimus2 번째seconddeuxièmesecondosecundus3 번째thirdtroisièmeterzotertius4 번째fourthquatrièmequartoquartus5 번째fifthcinquièmequintoquintus6 번째sixthsixièmesestosextus7 번째seventhseptièmesettimoseptimus8 번째eighthhuitièmeottavooctavus9 번째ninthneuvièmenonononus10 번째tenthdixièmedecimodecimus11 번..

루이9세

'성왕' 루이9세(Louis IX 'Saint catholique' , 1214~1270, 재위1226~1270)출생1214년 프랑스 푸아씨(현재 프랑스 일드프랑스주 푸아씨, Île-de-France poissy)에서 아버지 루이8세(Louis VIII, 1187~1226, 재위1223~1226)와 어머니 블랑슈 드 카스티야(Blanche de Castille, 1188~1252)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프랑스 카페왕조 직계(Capétiens directs, 987~1328)군주로서, 성자 루이(Saint Louis)로 알려져 있는 군주로 "사자왕"루이8세(1187~1226)의 차남이였는데, 장남 필리프 드 프랑스가 일찍 요절하는 바람에 장남으로서 대우받는다[루이9세 시기에는 왕태자(도팽, dauphin)..

4. 다양한 방사선 - 전지가파발생/제동복사

(2) 전자기파의 발생하전입자*가 가속운동을 하면서 전자기장이 변하기 때문에, 전자기파 발생* 전하를 띤 입자 전자기파가 발생하는 경우 3가지①하전입자가 역학적인 진동이나 열운동을 할 때 ②하전입자가 자장 내에서 원운동을 할 때 ③하전입자가 전장에 의해 가속될 때  ①의 경우, 열운동에 의한 것을 열방사ou*열복사(프: Le rayonnement thermique, 영:Thermal radiation) 라고 하는데,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원자, 분자, 이온)의 집단이 열에 의해 전하가 가속되어 운동에너지가 전자기형태로 변환이 되며 그 결과 전파를 방출하는 현상.*물질 내 입자의 열 운동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복사 ②는 싱크로트론 방사ou복사(프: Le rayonnement synchrotron ,영: ..

RI 이론/방사선 2024.05.09

벡터대수학

기본적으로,  고등학교 수학과 물리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한에서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고등학교 물리시간때 들으면 피곤했던 내용 스칼라와 벡터는 다르데이!스칼라량(스칼라라는 뜻 자체가 스케일이라는 뜻으로부터 옴)은 크기만 갖고 벡터량은 크기와 방향을 갖는 양. 연산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을 반드시 해야하므로, 차이를 알고있어야함. 1. 연산1-1. 벡터덧셈 예시기타스칼라연산이성적으로 풀면됨(우리가 흔히 했던 산수)벡터연산 덧셈과 뺄셈은 벡터의 성분을 활용하여 연산 A와  B 두 변위성분이 있다고 할 때, 두 변위를 더했을 때는 교환법칙이 성립(삼각형의 경우 둔각삼각형),  세 변위를 더했을 때는 결합법칙이 성립하게 된다(A,B,C벡터가 있을 때, A와B를 먼저 더하고 C를 더하거나, A에 B와C를 ..

필리프 도를레앙 2세

필리프 도를레앙2세(Philippe II d'Orléans, 'le Régent', 1674~1723, 섭정재위 1715~1723)출생1674년 오드센 생클루(Haut de seine Saint-cloud)에서 아버지 필리프 도를레앙1세*(Philippe I d'Orleans, 1640~1701)과 어머니 엘리자베트-샤를로트 드 바이에른(Élisabeth-Charlotte de Bavière, 1652~1722)사이에서 태어났다. *루이 13세(Louis XIII, 1601~1643, 재위1610~1643)의 손자, 루이 14세(Louis XIV, 1638~1715, 재위1643~1715)의 남동생 이다.  배경루이14세의 조카로, 어려서부터 군사 및 외교 기능에 초점을 맞춘 세심한 교육을 받았는데(16..

3. 방사선 - X선 기작

X선 방사선 기작 감마선과 더불어 전자기파들중 파장의 길이로 구별하는게 아니라, 발생 원인으로 구별한다.  (1) X선 발생X선관(프- Tube à rayons X, 영- X-ray tube)은 X선을 발생시키는 진공관임. 크룩스관이라고도 불리는 이 장비 1913년 미국 물리학자 윌리엄 쿨리지 (William Coolidge, 1873~1975)에 의해 개발되었고, 열음극관이라고도 불림.C(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보내 음극을 가열시키면, 음극에서 열전자가 튀어나오게 되는데(열이온 효과), 이 열전자를 양극과 음극사이에 고전압(수만~수십만V)을 걸어서 가속시켜 주면 필라멘트에서 전자가 가속화되면서 양극에 부딫히게 되는데, 이 때 X선이 발생하게 된다.위 그래프처럼 X선 스펙트럼의 형태가 나오는데, 제동복사..

RI 이론/방사선 2024.05.07

프랑스어 전치사 장소(dans/sur/devant/jusqu'à)

프랑스어 장소 전치사기본 전치사에서 좀 더 디테일하게 파고들어갈 장소에 해당하는 전치사. 장소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전치사라고 할 수 있음. I. dans건물, 벽등으로 구분된 장소 앞에 사용됨.  예시기타*dansdans le jardindans la chambre~안에 (제한된 공간, 장소)구조 : dans + 제한된 공간,장소à l'extérieur à l'extérieur du jardin match joué à l'extérieur  ~바깥에, 밖에, 외부에*같은 ~안에로 해석되는 en과 dans은 동일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차이를 겉보기로는 찾기가 어려움. en은 일반적인 특성을 가지고, dans은 특수적인 특성을 가지는데, 간단하게 얘기하면 특수적인 특성을 가진 dans이 좀 더 배경이 구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