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정기구 32

예문관, 교서관

예문관과 교서관예문관은 조선시대(1392~1910)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이며 예조의 속아문으로 국왕의 말이나 명령을 담은 문서를 작성또는 담당하던 관서이다. 교서관은  책을 만들고, 제사관장, 축하연등을 관장하는 기관으로서 1393년(태조1년)에 만들어진 기관으로 초기이름은 교서감이였다.  I. 예문관 배경I-1. 역사고려시대때 예문춘추관이 1325년(충숙왕12년)에 춘추관과 분리되면서 예문관으로 불리다가, 1356년(공민왕5년) 한림원으로 재개칭(이전에도 한림원으로 썼음), 1362년(공민왕11년)에 예문관으로 바꿨다가 1389년(공양왕 원년)에 춘추관과 다시 합해져 예문춘추관으로 개편되면서 조선건국이후에도 이어졌다. 1392년 조선 건국 이후 1401년(태종1년)에 다시 춘추관과 분리되면서 예문관으..

행정기구/조선 2024.11.07

관찰사

관찰사조선시대(1392~1910)에 각 도의 지방을 관할하던 종2품의 지방장관으로 현재의 도지사와 매우 유사하다. 관찰사는 종2품 외관직으로 임기는 1년(1669년 이후 2년)이였다.  배경I. 고려시대(918~1392)고려시대 안렴사(1276)로부터 비롯된 직책으로 원래는 안찰사였다가 안렴사로 개칭된 것. 고려시대 안렴사는 조선시대 관찰사와는 달리 상주하는 관청없이 지방을 순찰하는 순찰직이라 임기도6개월정도로 짧아 그저 머물러가는 직책정도였다. 거기다가 낮은 품계(4품 이하)로 인해 순찰나가봤자 자기보다 품계가 높은 지방관들앞에선 직무를 수행하기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1388년(창왕 원년)에 안렴사를 도관찰출척사로 바꾸고, 임기를 기존6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시키고, 기존에 4품이하의 낮은품계의 낮은 관..

행정기구/조선 2024.11.07

조선의 지방제도(행정구역)

조선의 지방제도(행정구역)8도체제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조선 정부가 지방을 효과적으로 다스리기위해 마련한 제도이다.  배경조선의 지방제도는 신라시대때 9주, 고려시대때 12목으로 구획한 것을 바탕으로 했다. 1392년 건국이후 고려의 지방제도를 이어받고 이어받은 제도를 발전시켜 8도체제를 갖추게 된다. 1413년(태종13년)에 정해진 방식으로 당시 좌의정 하륜(1348~1416)의 건의에 따라 조선을 8도로 구획이였으며, 다음 방식은 1413년 구획된 지방행정구역이다.   지방 장관(도 수장)지방 수령8도경기도종2품 관찰사 8도 각각 도 밑에 부, 대도호부, 목, 도호부, 군, 현 설치부 수장 : 부윤(종2품, 현재의 광역시장급)대도호부 수장 : 대도호부사(정3품 상계)목 수장 : 목사(종3품)군 수장 : ..

행정기구/조선 2024.11.06

관찰사와 감영(조선)

종2품 관찰사조선시대때 지방행정, 감찰, 군사지휘를 맡은 종2품 지방행정장관이다.    대한민국 중앙행정부대한민국 지방행정(지자체)정1품당상관영의정, 좌의정, 우의정국무총리 종1품좌찬성, 우찬성부총리, 감사원장 정2품6조판서, 좌참찬, 우참찬국정원장, 각 부처 장관서울특별시장종2품6조참판, 관찰사, 대사헌각 부처 차관도지사, 광역시장, 서울부시장위의 표는 관찰사에 대한 이해를 더 쉽게 돋구기위해 본인이 썼던 표중 일부를 발췌해온 것으로 현재 대한민국의 중앙행정부와 지방행정(지자체)체제에 관찰사 직급이 어느정도에 위치하는지 비교하기위한 것이니 활용하길 바란다.  배경중앙정부의 통치력이 지방에까지 미치지 못했던 고려시대(918~1392)때, 지방을 감시하며 감찰하여 관리들을 단속하기 위해 순찰을 시켰던 직책..

행정기구/조선 2024.10.28

조선의 품계와 현재직급별 비교

조선의 품계품계는신하들의 계급도를 나타낸 지표로,  조선시대(1392~1910)에서는 6품이상만 품계마다 상계, 하계를 두어 전체 18품30계로 구성. 정1품 상계 대광보국숭록대부부터 정3품 상계 통정대부까지 9품계를 '당상관'이라 하고, 정3품 하계 통훈대부이하에 속한 품계를 '당하관'이라 한다.  I. 대한민국의 중앙행정체제대한민국의 중앙행정체제는 현 19부 3처 19청으로 구성되어있다.  II. 직급 비교II-1. 대한민국과 조선 문관과의 비교   조선(문관)중앙행정부지방행정(지자체)입법부사법부검찰  왕대통령    정1품당상관 ㆍ영의정ㆍ좌의정ㆍ우의정 국무총리   국회의장 ㆍ대법원장ㆍ헌법재판소장  종1품 ㆍ좌찬성ㆍ우찬성 ㆍ부총리ㆍ감사원장   ㆍ국회부의장ㆍ국회의원   정2품 ㆍ6조 판서ㆍ좌참찬ㆍ우..

행정기구/조선 2024.10.25

의정부, 승문원

의정부, 승문원조선시대의 핵심 관청으로서 각각 행정과 외교 문서 관리를 담당했던 기관이다.  I. 의정부(1400~1894, 1896~1907)조선시대 행정관청중 가장 높은 등급 정무기관이자 최고 의결기관으로 고려의 제도를 계승. 1279년(충렬왕5년)에 원간섭기로 관제 격하로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명칭이 바뀐다. 이후 1390년(공양왕1년)에 관제 개편으로 조직이 재정비되고 조선 건국 후에 의정부로 개편된다. 태조(1335~1408, 재위1392~1398)가 조선을 창업하면서 의정부 서사제(6조판서 → 의정부3정승 →국왕)를 실시하였으며, 1414년(태종14년) 육조직계제(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의 수장 판서들은 상급기관인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왕에게 직통 보고를 할 수 있었다 : 6..

행정기구/조선 2024.10.24

승정원,춘추관,성균관

행정기관 승정원, 춘추관, 성균관 승정원춘추관성균관빠른설명왕명출납 담당 행정기관(현재의 대통령비서실)시정 기록들을 관장한 행정기관(현재의 국가기록원)국립 교육기관(현재의 성균관대학교)**현 성균관대학교는 사립 종합 대학이다. I. 승정원(1400~1894)현재의 대통령비서실에 해당하는 군주의 비서기관으로 군주가 내리는교지, 상소등이 승정원을 거쳐서 전달되었기에 상당히 핵심적인 기관이다. 태조원년인 1392년 중추원(왕명출납 업무기관)에 도승지를 장관으로 삼은게 밑바탕이였고,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대에 들어 1405년(태종5년)에 별도의 승정원을 두면서 독립 관서로서의 형태가 만들어지고, 1433년(세종15년) 승정원 제도가 완비됨에 따라 6승지체제로 운영되며 1485년(성종16년..

행정기구/조선 2024.10.24

고려, 조선 군주의 묘호&시호

묘호와 시호군주가 죽은후 살아생전 공덕을 기려 붙인 이름을 묘호라고 하였으며 시호는 사망한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승하한 군주에게 후임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을 뜻한다.  배경유교식 왕실 예법으로 고,중,근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방식. 전임 군주가 승하하고 새로이 즉위하는 군주가 승하한 군주에게 조(祖) 또는 종(宗)이라는 형식으로 묘호를 올렸다. 조(祖)의 경우에는 창업군주또는 아주 위대한 천자(황제)에게만올렸던 묘호이며 처음으로 묘호가 쓰이던 국가는 상나라(BC1600~BC1046)이다. 삼국시대때 유일하게 정식으로 묘호를 사용한 군주는 신라 29대 '태종' 무열왕(604~661, 재위654~661)이다. 고려의 경우에는 창업군주인 왕건(태조, 877~943, 재위918~943)에게만 조(祖..

행정기구/조선 2024.10.23

조선시대 육조, 삼사

육조조선시대(1392~1897, 대한제국1897~1910)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등의 6개의 큰 틀이며 현재의 국가 부서와 같다. 각 부서의 기관장은 정2품 판서가 맡았으며 이들은 현재의 각 부서별 장관에 해당한다. 배경당나라(618~907)의 정부조직체계인 3성6부제의 영향을 받았다.황제3성6부상서성(정책, 행정)이부 :  인사 담당호부 :  재정 담당중서성(기밀, 정책발의, 행정승인)예부 :  의례, 외교 담당병부 :  군사 담당문하성(황명출납, 정책심의, 행정승인)형부 :  사법 담당공부 :  토목건축 담당당나라 관직을 자국 실정에 맞게 변형해 도입한 고려(918~1392)말기의 관제를 계승해 조선초기에도 쓰이다가 1400년(정종2년)의정부로 개칭, 1405년(태종5년)에 태종(1..

행정기구/조선 2024.10.23

고구려,백제,신라 관등

삼국시대의 관등600년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관등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고구려는 600년대 영류태왕(?~642, 재위618~642)즈음, 백제는 고이왕(?~286, 재위234~286)이 260년에 정비한 관등, 신라는 법흥왕(?~540, 재위514~540)대 520년에 정비된 관등을 정리하였다.  I. 고구려의 관등고려기(高麗記, 영류태왕시기 당 태종의 명을 받은 진대덕이 고구려의 사신으로 가서 정세를 파악하여 진술한 서책)에 나타난 고구려, 백제, 신라 순으로 언급을 참조하였다.품고려기당나라 품계비교I대대로(大對盧) ou 토졸(吐捽)1품II태대형(太大兄)2품III울절(鬱折)종2품IV대부사자 ou 알사( 大夫使者 ou 謁奢)정3품V조의두대형 ou 중리조의두대형( 皁衣頭大兄 ou 中裏皂衣頭大兄)종..

행정기구/조선 2024.10.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