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기구/조선

조선시대 육조, 삼사

Mintaka5 2024. 10. 23. 14:58
반응형

육조

조선시대(1392~1897, 대한제국1897~1910)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등의 6개의 큰 틀. 현재의 국가 부서. 각 부서의 기관장은 정2품 판서가 맡았다. 현재의 각 부서별 장관.

 

배경

당나라(618~907)의 정부조직체계인 3성6부제의 영향을 받았다.

황제 3성 6부
상서성
(정책, 행정)
이부 :  인사 담당
호부 :  재정 담당
중서성
(기밀, 정책발의, 행정승인)
예부 :  의례, 외교 담당
병부 :  군사 담당
문하성
(황명출납, 정책심의, 행정승인)
형부 :  사법 담당
공부 :  토목건축 담당

당나라 관직을 자국 실정에 맞게 변형해 도입한 고려(918~1392)말기의 관제를 계승해 조선초기에도 쓰이다가 1400년(정종2년)의정부로 개칭, 1405년(태종5년)에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이 6조의 정치적인 기능을 강화시키기위해(도평의사사 체제 → 의정부ㆍ육조체제) 차원에서 정3품 전서(장관)를 정2품 판서로 격상시킴과 동시에 군주의 명을 받는 직계체제(6조직계제)를 갖춤과 동시에 의정부의 기능을 약화시켜 왕권 강화를 도모하고자 했다.

거의 모든 관아가 6조에 소속되어 각 부서별로 당상관이 책임을 지었고, 당상관이 없는 부서엔 당하관이 책임을 졌다.

육조는 1894년 갑오개혁으로 폐지된다.

 

육조의 구조

I. 큰틀

6조는 각 부서(조)마다 속사ㆍ속아문(6조의 각 부서외 관련기관들을 속사 또는 속아문이라 함)을 둬서 효율적으로 직무를 분담했음.

성종 16년 완성된 경국대전(1485)에 따른 역할은 다음과 같다. 각 부서별로 위계순서가 있었지만 명목상의 순서(현재의 의전서열 정도라 생각하면 될 듯).

  서열 담당 현재의 부서 수장 부서 부수장
이조
(吏曹)
I 문반 인사 행정안전부, 인사혁신처 정2품 이조판서 종2품 이조참판
호조
(戶曹)
II 재정, 회계, 경제 기획재정부 정2품 호조판서 종2품 호조참판
예조
(禮曹)
III 의식, 교육, 외교, 제도 외교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보훈부 정2품 예조판서 종2품 예조참판
병조
(兵曹)
IV 무반 인사, 군사 국방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통령 경호처
정2품 병조판서 종2품 병조참판
형조
(刑曹)
V 형법, 소송 법무부, 법원 정2품 형조판서 종2품 형조참판
공조
(工曹)
VI 건축, 산림, 항만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등
정2품 공조판서 종2품 공조참판

 

II. 육조의 각 직급 구성

    구성 직책 현재의 비고
정1품 당상관      
종1품      
정2품 판서 각 부서 장관 육조 각 부서 수장
종2품 참판 각 부서 차관 부서 부수장, 판서 보좌역할, 제조 업무(감독관)
정3품 상계 참의, 참지(병조) 차관보 참의 : 판서 보좌관 ,  참지 : 병조에만 존재
정3품 하계 당하관      
종3품      
정4품      
종4품      
정5품 정랑 팀장급
4급 서기관
육조의 실무담당 직급(실무팀장)
정원 : 이조2인, 호조3인, 예조3인, 병조4인, 형조3인, 공조3인
종5품      
정6품 좌랑 실무자
5급 사무관
정랑을 도와 속사 실무 책임(실무자)
정원 : 이조3인, 호조3인, 예조3인, 병조4인, 형조4인, 공조3인
종6품 별제 실무 종사자
(잡일 담당)
녹봉이 지급되지 않음(?)
음서로 진출한 자제들에게 배정된 직급

 

 

삼사

조선시대 정부기관(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일컫는 용어. 조선시대의 중앙정치를 지탱하던 부분.   

 

I. 사헌부(1392~1894)

감찰 행정 기구. 현재의 감사원 & 헌법재판소 기능 부서.

시정논의, 백관규찰(백관에 대한 감찰, 탄핵), 기강정립(위법처벌)등을 맡음

    구성 직책 현재의 비고
정1품 당상관      
종1품      
정2품      
종2품 대사헌<기관장> 검찰총장 + 고검장 정원 1명, 현 검찰총장은 정2품 장관급.
정3품 상계      
정3품 하계 당하관      
종3품 집의 지검장+차장검사 정원 1명
정4품 장령 부장검사 정원 2명
종4품      
정5품 지평 부부장검사 정원 2명
종5품      
정6품 감찰 평검사 정원 13명(문관3명, 무관5명, 음관*5명)
종6품      
이속(말단행정직원) - 서리39인 (서사 : 문서 필사담당 2명, 소유 : 감찰관보좌 33명, 군사 : 3명)

*음서(양반신분 우대 진출)로 진출한 자들

 

II. 사간원(1402~1894)

현재의 감사원, 방송통신위원회, 언론사등의 역할을 하는 부서로 군주와 신하들의 하루 일과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던 기관.

    구성 직책 현재의 비고
정1품 당상관      
종1품      
정2품      
종2품      
정3품 상계 대사간<기관장> 감사원장,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정원 1명, 감사원장은 현재 종1품 부총리급,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정2품 장관급.
정3품 하계 당하관      
종3품 사간 국장 정원 1명
정4품      
종4품      
정5품 헌납 부국장, 부장 정원 1명
종5품      
정6품 정언 사무, 주무관  정원 2명
종6품      
이속(말단행정직원) - 서리21인 (창도 : 14명)

 

III. 홍문관(1463~1894)

현재의 국가기록원과 비슷한 행정 & 연구기관. 궁중 도서관리, 경연, 교서작성, 군주의 자문담당. 고려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5년인 1356년 집현관과 우문관을 없애고 고려멸망후 조선 세종(1397~1450, 재위1418~1450)2년인 1420년 개편되지만 세조(1417~1468, 재위1455~1468)2년 1456년 사육신사건으로 혁파되지만 다시, 세 9년인 1463년에 집현전의 기구를 설치하고 홍문관으로 개칭됨. 

예조에 속하는 속아문.  1478년 홍문관이 예문관에서 분리, 독립된다.

    구성 직책 현재의 비고
정1품 당상관 영사 국무총리 정원 1명, 영의정 겸직
종1품      
정2품 대제학 행안부장관 정원 1명, 겸직 가능
종2품 제학 행안차관 정원 2명, 겸직 가능
정3품 상계 부제학 차관보, 국가기록원장 정원 1명, 부제학 아래로 홍문관의 업무 담당. 사실상 실질 수장
정3품 하계 당하관 직제학 부서 실장 정원 1명
종3품 전한 1급 관리관 정원 1명
정4품 응교 2급 이사관 정원 1명
종4품 부응교 3급 부이사관 정원 1명
정5품 교리 4급 서기관 정원 2명
종5품 부교리 정원 2명
정6품 수찬 5급 사무관 정원 2명
종6품 부수찬  
정7품 박사 정원 1명
종7품    
정8품 저작 6급 주사 정원 1명
종8품    
정9품 정자 정원 3명
종9품    
반응형

'행정기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정원,춘추관,성균관  (0) 2024.10.24
고려, 조선 군주의 묘호&시호  (0) 2024.10.23
고구려,백제,신라 관등  (0) 2024.10.12
고려, 조선 과거제도  (0) 2024.10.10
현령과 현감  (0) 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