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정기구 32

고려, 조선 과거제도

고려 & 조선의 과거제도 I. 고려의 과거제도I-1. 배경태조 왕건(877~943, 재위918~943)이 고려를 건국할때 가장 큰 힘이 되었던 세력이 호족들이였는데, 이들은 고려 건국 후 귀족이 되면서 왕권에 도전할 수 있는 강력한 세력이 되면서 태조 이후 군주들이 항상 경계를하며 견제를 할 방법을 찾았는데, 4대 광종(925~975, 재위949~975)대에 들어서 후주(오대십국시대)사람으로 956년 고려에 귀화한 쌍기(?~?)가 광종에게 건의하여 시작된 것이 발단이였다. 고려시대 과거제는 4개의 과가 있었으며 3년에 한번씩 과거가 치루어졌다(당겨질수도 밀려질수도 있었다).  I-2. 과무과가 없는데, 무과는 국방의 필요성을 느낀 예종(1079~1122, 재위1105~1122)재위도중인 1109년에 처음..

행정기구/조선 2024.10.10

현령과 현감

현령과 현감I. 현령과 현감의 차이현감은 조선시대 행정 구역 단위 '현'의 책임자이고, 현령은 '현'의 으뜸인 벼슬을 칭한다. '현'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지방 행정 구역 단위의 역할을 맡아오다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군으로 승격되면서 소멸된다. 또한 아래표에 정리한 것 처럼 현령과 현감은 품계에서도 차이가 난다. 현령현감품계종5품종6품 II. 삼국시대~조선 시작 시기현의 수장품계, 등급현령 수소속 편제, 비고고구려7세기 추측가라달(可邏達)소형 소성누초(婁肖) 백제6세기 추측도사(道使) 또는 성주(城主)  성, 촌통일신라7세기 말소수(少守), 현령(縣令) 201명 고려초기~말기현령(縣令)7품30명대현예종1년(1106년)감무(監務)7품이하100명이상소현공민왕8년(1359년)안집별감(安集別監) ..

행정기구/조선 2024.10.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