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관
배경
국왕의 자문기관성격을 띠는 행정기관. 세조(1417~1468, 재위1455~1468)가 왕위에 오르고 1456년(세조1년) 집현전 학자들이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하면서 집현전이 폐지되기에 이른다. 1463년(세조8년)에 홍문관이 설치되지만 집현전의 역할에 미치지 못하고 도서를 보관하는 역할만 맡았기 때문에 그렇게 세조는 자문기관 없이 측근정치를 하였기에 자문에 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다가 세조가 1468년 승하하고 예종(1450~1469, 재위1468~1469)을 거쳐 성종(1457~1494, 재위1469~1494)대에 들어서 학술, 자문기능을 맡을 기관의 필요성을 느껴 1478년(성종9년)부터 홍문관의 기능이 대폭 증가하면서 국왕 자문, 경연, 사관등의 기능을 가지며 언론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의 한 축으로 성장하게 된다.
역사
고려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대에 집현전 학사를 둔 것을 시작으로 조선으로 넘어와서 세종(1397~1450, 재위1418~1450)대인 1420년(세종2년)에 확대 개편되면서 집현전의 기능이 확대되면서 강론과 더불어 국왕 자문의 기능까지 담당하게 된다.
그러나 1456년(세조1년) 집현전학사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과 무관인 유응부, 성승, 박쟁등이 폐위된 단종(1441~1457, 재위1452~1455)을 복위할 거사를 하려다 발각(동모자 성균관사예 김질이 장인 정창손에게 거사계획을 전달하고 정창손이 고변함)되어 모두 능지처참당하고 집현전은 폐지된다.
생몰년도 | |||
성삼문 | 사육신 | 1418 ~ 1456 | 사간원 우사간 |
박팽년 | 1417 ~ 1456 | 좌부승지 | |
하위지 | 1412 ~ 1456 | 예조판서 | |
이개 | 1417 ~ 1456 | 이색의 증손자, 훈민정음 창제 참여 | |
유성원 | ? ~ 1456 | 집현전 학사, 자결 후 거열형 | |
유응부 | ? ~ 1456 | 동지중추원사 | |
성승 | ? ~ 1456 | 성삼문의 아버지, 군인 | |
박쟁 | ? ~ 1456 | 도총관 |
단종복위운동 이후 1463년(세조8년) 집현전을 모방해 홍문관을 설치하지만 도서기능만 가지고 국왕자문기능은 상실한 상태에서 1478년(성종9년)까지 이어져오다가 예문관을 분리/개편해서 홍문관의 관직으로 옮기게끔해 국왕자문, 경연, 사관등의 기능을 가지는 언론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중 하나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 성장하게 된다.
연산군(1476~1506, 재위1494~1506)대에 잠시 폐지되었다가 중종반정(1506)이후 다시 부활하여 조선 후기까지 쭉 이어져오다가 401년뒤인 1907년(융희원년)에 폐지된다.
역할과 기능
홍문관은 조정 기록물의 작성과 관리를 맡았고, 유교 경전을 연구하여 경연을 통해 국왕과 합석해 자문의 역할을 한다. 언론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중 하나로서 국왕에게 간쟁해 신하들을 탄핵하는 언론기관으로서의 역할도 하였다.
품계
1485년(성종16년) [경국대전]에 따른 홍문관의 관원 품계도. 홍문관은 정3품아문으로 규정(실질 수장 부제학).
구성 직책 | 현재의 | 비고 | ||
정1품 | 당상관 | 영사 | 국무총리 | 정원 1인, 영의정 겸직 |
종1품 | ||||
정2품 | 대제학 | 행안부장관 | 정원 1인, 겸직 가능 | |
종2품 | 제학 | 행안차관 | 정원 2인, 겸직 가능 | |
정3품 상계 | 부제학 | 차관보, 국가기록원장 | 정원 1인, 부제학 아래로 홍문관의 업무 담당. 사실상 실질 수장 | |
정3품 하계 | 당하관 | 직제학 | 부서 실장 | 정원 1인 |
종3품 | 전한 | 1급 관리관 | 정원 1인 | |
정4품 | 응교 | 2급 이사관 | 정원 1인 | |
종4품 | 부응교 | 3급 부이사관 | 정원 1인 | |
정5품 | 교리 | 4급 서기관 | 정원 2인 | |
종5품 | 부교리 | 정원 2인 | ||
정6품 | 수찬 | 5급 사무관 | 정원 2인 | |
종6품 | 부수찬 | |||
정7품 | 박사 | 정원 1인 | ||
종7품 | ||||
정8품 | 저작 | 6급 주사 | 정원 1인 | |
종8품 | ||||
정9품 | 정자 | 정원 3인 | ||
종9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