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군주(한국어, 프랑스어)/고려의 군주

19대 명종(고려)

Mintaka5 2024. 8. 31. 17:04
반응형

Myeongjong de Goryeo, 1131~1202, 재위1170~1197

 

 

출생

고려 개경 정궁에서 아버지 인종(1109~1146, 재위1122~1146)과 어머니 공예왕후 임씨(1109~1183)사이에서 태어남. 본명은 왕호. 위로는 형 의종(1127~1173, 재위1146~1170), 아래로는 동생 신종(1144~1204, 재위1197~1204)이 있다.

 

배경

형 의종이 1170년 정중부등이 일으킨 무신정변으로 퇴위되고 무신들에의해 명종으로 옹립되고, 실권은 무신들에게 넘어가버려 군주로서의 권위는 이미 없던 상태였다. 전국적인 반란으로 혼란스러웠고, 무신정권이 들어온 후 무신들끼리도 경쟁으로 서로 죽이고 실권자가 되는등 말그대로 개판5분전 시작일 때의 군주였다. 명종이 머무르는 궁에 불이나서 모두 불을 끄려고 하는데 정중부, 이의방등이 반란이 있을까봐 궁 문을 닫고 들어오지 못하게 하면서 궁이 모두 전소되버리는 것을 명종이 지켜볼 수 밖에 없었을 만큼 권위가 없었다. 27년간의 고려 군주치곤 상대적으로 긴 재위기간동안 무신들의 권력투쟁을 눈으로 보면서 정권이 계속 바뀌는 것을 지켜만밖에 볼 수 없었던 비운의 군주다.

 

즉위

1170년 형 의종이 퇴위됨에따라 무신들에 의해 즉위하게 된다. 사실상 허수아비 군주였던 명종은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었는데, 즉위하자마자 무신들의 눈치부터 보며 정사를 돌보기 시작하는데 사실상 정사를 돌보기라기 보다 자기를 옹립시켜준 무신들의 직급을 올려주는게 제일 큰 일이였다. 다음 표는 정변을 일으킨 3인방 핵심인물들의 직급변화다.

  생몰년도 명종 즉위전 직급 명종이 올려준 직급
정중부 1106~1179 정3품 상장군 종2품 참지정사
이고 1124~1171 정5품 응양용호군 중랑장 종3품 대장군, 위위경
이의방 ?~1175 정8품 산원 종3품 대장군, 전중

모두 말도안되게 승차한다. 그러나 이들 중 이고(1124~1171)는 1171년 무신들 사이에 분열(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혼란스러운 틈)이 생김과 동시에 이의방과 라이벌이였는데, 무신정권의 주도권을 쥐기위해 야심을 품고 반란을 일으킬려고했지만 이미 정보가 전달되어 궁 뒷뜰에서 이고를 기다린 무신정권 일당들이 이고가 나타나자마자 철퇴로 때려죽인다.

 

니도 인마 곧 간데이

이고가 맞아 죽고 1173년 김보당(?~1173)이 거제도에 유배된 의종(1127~1173, 재위1146~1173)을 경주로 모셔가 복위를 주장하며 난을 일으키는데, 이것이 김보당의 난이다. 이의방은 이의민을 진압군 대장으로 삼아 난을 진압시키게끔하고 이의민은 이때 의종을 암살하기에 이른다. 

이의방은 더욱이 명종에게 자신의 딸을 명종의 아들에게 시집보내면서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하게끔 하는등 무신정변이후 무신들의 주도권싸움에서 아주 발빠른 움직임등을 보이며 노력하지만,  1174년 서경유 조위총(?~1176)이 무신정권에 대한 반란을 일으켜 진압군들을 보내지만 모두 대패하고 조위총의 군대가 개경근처까지 도달하면서 개경 궁내에 내통한자가 없는지 의심함과 동시에 라이벌 세력들을 이때 죄를 씌워 죽이면서 이 와중에도 자신의 입지를 다지는 행동을 보인다. 조위총의 난을 진압하기위해 서경으로 출정을 또 하던 찰나에 정중부의 아들 정균(?~1179)등에게 암살당하면서 이의방역시 최후를 맞는다. 

 

너도 OUT

위의 조위총의 난은 1176년 조위총이 죽음으로서 마무리되나 했지만 그 뜻을 따르는 무리들이 2년간 더 조위총의 유지를 따르면서 정중부역시 난감한 시기를 보낸다. 그러나 정중부역시 견제세력이 크게 없어 전횡을 일삼는데..

남의 토지를 강제로 빼앗고 횡포를 일삼게 되면서 1179년 경대승(1154~1183)에 의해 아들 정균과 함께 살해당하면서 정중부의 집권기가 끝나고 경대승의 집권기가 시작된다. 경대승은 권력자가 된 이후 무신들의 사적 집단체인 도방을 두게 되며 정권유지의 기본 바탕을 마련하는데, 경대승은 더욱이 무신정변 이전으로 돌려놓겠다는 명분을 가지고 정중부를 암살하고 집권함으로서 문신, 무신 골고루 기용하는 태도를 보이게 되며 이게 또 무신들의 불만을 사기에 이른다. . 만

경대승 역시 1183년 의문사 함으로서 또 한바탕 소용돌이가 몰아치게 되는데..

 

이의민

천민 출신으로서 의종이 기용한 인물로 그 무력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고 하는 인물이다. 1183년 경대승이 사망함으로서 무신정권 집권자가 되면서 13년간 권력자로서 호령하던 시기이다. 물론 명종은 똑같이 이의민을 임명만한다.

이의민 집권기는 무신천하라고 봐도 무방할정도로 무신들을 기용하는데, 조금 학문이라도 있는 무신들을 문신으로 기용하는 정도까지 무신을 특별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이 이의민도 지난 권력자들과 별 다를바가 없었고 토지를 함부로 빼앗고 전횡을 펼치면서 개판이 따로 없었는데, 역시 불만이 또 쌓여서

1196년 최충헌(1149~1219)과 최충헌의 동생 최충수(?~1197)에게 살해되면서 그 천하도 막을 내리게 된다. 최충헌이 새 집권자가 되면서 무신정권 최씨무신정권시대(1196~1258)가 시작된다.

 

내인생도 이쟈 끝나는건가..

1196년 최충헌이 새 정권을 열면서 명종에게 자신이 기획한(사실상 거사의 명분)국정개혁안인 봉사10조를 올리고, 명종은 그저 기꺼이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나 명종은 최충헌이 집권한 초기 혼란기를 틈타 판국을 뒤집어보려하다가 걸려서 폐위당하고 창락궁에 유폐되고 6년만에 병을 얻어 승하하게 된다. 이때가 1202년. 폐위되고나서 동생인 신종(1144~1204, 재위1197~1204)이 옹립되게 된다.

최충헌이 올린 봉사10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출처-위키피디아 '봉사10조')

  봉사10조 내용
1 왕은 정전(조회장소)에 들어가 영명을 받을 것.
2 무능하고 불필요한 관원을 감축하고, 녹봉의 정도에 따라 관직을 제수(군주가 직접 벼슬을내림)할 것.
3 토지제도를 정비하여 부당한 토지를 시정하고, 원주인에게 빼앗은 땅을 돌려줄 것.
4 어진 관리를 추려 관직에 배치해서 세력가가 백성의 재산을 함부로 착취하지 못하게 할 것.
5 제도의 '사'에 공진(신이나 임금에게 음식을 바치는 것)을 금하고 오로지 사문(위원회)으로서 직책을 삼도록 할 것.
6 승려들을 물리쳐 궁 출입을 금하고 곡식의 이식(이자)을 취하지 못하게 할 것.
7 지방수령에게 명해 관리들의 능력보고를 하게 하고, 능한 자는 올려주고, 무능한 자는 징계 할 것
8 백관에게 훈계하여 사치를 금하고, 검약을 숭상케 할 것.
9 음양관으로 사원자리의 지덕을 조사케 하고, 비보(결함을 보완한)사찰 이외의 것은 모두 철훼할 것.
10 측근 관리를 가려 써서 아첨하는 무리를 경계할 것.
반응형

'한국의 군주(한국어, 프랑스어) > 고려의 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대 희종  (0) 2024.09.01
20대 신종  (0) 2024.08.31
18대 의종  (0) 2024.08.31
17대 인종(고려)  (0) 2024.08.30
16대 예종(고려)  (0) 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