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백제 왕 계보
백제 왕은 32대 정통678년(BC18 ~ 660), 비정통681년(BC18 ~ 663)간 유지된 고대 한국 삼국시대때 국가인 백제의 군주를 칭하며 어라하 또는 건길지로 불렸다. 백제는 초대 온조왕(?~28, 재위BC18~28)부터 정통으로는 31대 의자왕(?~660, 재위641~660)까지, 비정통으론 32대 풍왕(부여풍, 623~?, 재위660~663)까지 이어지며 백제 군주의 성씨는 '부여'씨이다. 아래 표는[삼국유사, 일본서기]자료 활용하여 정리하였고, 9대 책계왕 이전의 군주들은 신뢰도가 낮아(재위기간이 50년정도에 전후관계가 맞지않음)사실상 신뢰도가 높은 9대 책계왕대부터가 현실적일 것이다.
왕명 | 휘 | 생몰년도 (재위) | 재위 기간 |
비고, 키워드 | |
1대 | 온조왕 | 부여온조 | ? ~ 28 (재위BC18~28) | 46년 | 국조, 동명성왕의 아들 |
2대 | 다루왕 | 부여다루 | ? ~ 77 (재위28~77) | 49년 | 1대 온조왕의 아들 |
3대 | 기루왕 | 부여기루 | ? ~ 128 (재위77~128) | 51년 | 2대 다루왕의 아들 |
4대 | 개루왕 | 부여개루 | ? ~ 166 (재위128~166) | 38년 | 3대 기루왕의 아들 |
5대 | 초고왕 | 부여초고 | ? ~ 214 (재위166~214) | 48년 | 4대 개루왕의 아들 |
6대 | 구수왕 | 부여구수 | ? ~ 234 (재위214~234) | 20년 | 5대 초고왕의 아들 |
7대 | 사반왕 | 부여사반 | ? ~ 234 (재위234) | 1년이하 | 6대 구수왕의 아들 |
8대 | 고이왕 | 부여고이 | ? ~ 286 (재위234~286) | 52년 | 가족관계여부 밝혀지지않음 |
9대 | 책계왕 | 부여책계 | ?~ 298 (재위286~298) | 12년 | 8대 고이왕의 아들, 298년 전사 |
10대 | 분서왕 | 부여분서 | ? ~ 304 (재위298~304) | 6년 | 9대 책계왕의 아들, 304년암살당함 |
11대 | 비류왕 | 부여비류 | ? ~ 344 (재위304~344) | 40년 | 6대 구수왕의 아들, 7대 사반왕의 동생 |
12대 | 계왕 | 부여계 | ? ~ 346 (재위344~346) | 2년 | 10대 분서왕의 아들 |
13대 | 근초고왕 | 부여구 | ? ~ 375 (재위346~375) | 29년 | 11대 비류왕의 아들, 정복군주 |
14대 | 근구수왕 | 부여수 | ? ~ 384 (재위375~384) | 9년 | 13대 근초고왕의 아들 |
15대 | 침류왕 | 부여침류 | ? ~ 385 (재위384~385) | 1년 | 14대 근구수왕의 아들 |
16대 | 진사왕 | 부여진사 | ? ~ 392 (재위385~392) | 7년 | 14대 근구수왕의 아들, 사냥중 행궁에서 승하 |
17대 | 아신왕 | 부여아신 | ? ~ 405 (재위392~405) | 13년 | 15대 침류왕의 아들 |
18대 | 전지왕 | 부여전지 | ? ~ 420 (재위405~420) | 15년 | 17대 아신왕의 아들 |
19대 | 구이신왕 | 부여구이신 | ? ~ 427 (재위 420~427) | 7년 | 18대 전지왕의 아들 |
20대 | 비유왕 | 부여비유 | ? ~ 455 (재위427~455) | 28년 | |
21대 | 개로왕 | 부여경사 | ? ~ 475 (재위455~475) | 20년 | 20대 비유왕의 아들, 고구려 장수왕의 침입을 받아 위례성함락 패전 후 살해당함 사후 문주왕대에 웅진으로 천도가 이루어짐 |
22대 | 문주왕 | 부여도 | ? ~ 477 (재위475~477) | 2년 | 21대 개로왕의 아들, 병관좌평 해구의 쿠데타로 암살당함 |
23대 | 삼근왕 | 부여삼근 | 465 ~ 479 (재위477~479) | 2년 | 22대 문주왕의 아들, 섭정대신들로인해 허수아비 군주 |
24대 | 동성왕 | 부여모대 | ? ~ 501 (재위479~501) | 22년 | 21대 개로왕의 동생인 부여곤지의 아들, 병관좌평 해구의 반란을평정, 암살 |
25대 | 무령왕 | 부여사마 | 461~523 (재위501~523) | 22년 | 21대 개로왕의 동생인 부여곤지의 아들, 백제의 중흥군주 |
26대 | 성왕 | 부여명농 | ? ~ 554 (재위523~554) | 31년 | 25대 무령왕의 아들, 신라장군 김무력의 공격을 받아 전사, 성왕15년(538년)사비로 천도 |
27대 | 위덕왕 | 부여창 | 525 ~ 598 (재위554~598) | 44년 | 26대 성왕의 첫째 아들, 암살 |
28대 | 혜왕 | 부여계 | ? ~ 599 (재위598~599) | 1년 | 26대 성왕의 둘째 아들 |
29대 | 법왕 | 부여선 | ? ~ 600 (재위599~600) | 1년 | 28대 혜왕의 아들, 미륵사지 창건 |
30대 | 무왕 | 부여장 | ? ~ 641 (재위600~641) | 41년 | 부친 정보 미비, 미륵사 창건 |
31대 | 의자왕 | 부여의자 | 599 ~ 660 (재위641~660) | 19년 | 사실상 마지막 정통군주, 나당연합군에 항복후 당나라 압송 |
32대 | 풍왕 | 부여풍 | 623 ~ 668 (재위660~663) | 3년 | 31대 의자왕의 아들, 백제부흥군을 이끌다가 663년 백강전투에서 나당연합군에 패배후 고구려로 피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