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남, 1563~1598
출생
1563년(명종18년) 조선 충청도 진천현 산정면 기지리(현 충북 진천군 덕산읍 기전리 기지마을)에서 아버지 이사종()과어머니(미상)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
조선 중기 무신으로 1584년(선조17년)별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되어 관직에 오르는 인물이다.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할 시기 이영남은 율포권관으로 재직하고 있었고 당시 경상우수사 원균(1540~1597)의 휘하로 재직하며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는데 다대포진이 공격받을 때 경상좌수사 박홍(1534~1593)이 도망쳐버리고 자신의 상관 경상우수사마저 동래성 함락 이후 도망치려고 하면서 이영남은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에게 원군을 요청해 연합하게 되면서 옥포, 당포, 당항포, 율포, 한산도 해전등등 수많은 해전에 참전하였다. 이후 1597년(선조30년) 가리포첨사겸 조방장으로 재직당시 재발한 정유재란에도 참전하였으며 1598년(선조31년)9월 왜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1537~1599, 관백재위1585~1592, 태합재위1587~1598)가 서거함에 따라 왜군들이 철수할 때 노량의 길목에서 이들을 기다려서 궤멸시키는 노량해전이 발발하는데 이영남은 이 때 왜 수군의 총탄을 맞고 전사한다.
관리
1584년(선조17년) 갑신년에 열린 별시 무과에서 병과 163위로 과거에 합격하여 무관이 된다. 첫 보직은 선전관(무반의 중추적 핵심장교)으로 임명되면서 핵심보직으로서 수년간 승진을 거듭하다가 1592년(선조25년)옥포만호로 재직할 당시 왜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20만대군을 조선으로 출병시켜 임진왜란이 발발하게 된다.
임진왜란
I. 상관 원균
1592년 5월 23일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옥포만호 이영남은 경상우수영 소속으로서 경상우수사 원균(1540~1597)의 부하로서 군관으로 활동하게 되는데 개전 이틀도 안되어 부산진에 이어 다대포진이 공격받을 때 경상좌수사 박홍(1534~1593)이 경상좌수영내의 판옥선 수십여척에 구멍을 내 자침시키고 식량창고에 불을 지르고 도망치는 만행을 저질러 수군전력에 상당한 손실이 이어지는데, 자신의 상관인 경상우수사 원균도 이러한 행보를 보이려 하자 이영남은 원균을 설득하여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에게 원병을 요청해 겨우 남은 3척의 함선을 대동해 전라좌수영의 함대와 연합을 이루어 옥포, 당포해전에서 승리하고, 이후 당항포, 율포, 한산도 해전에서는 당항포해전부터 합류한 전라우수사 이억기(1561~1597)와도 연합해 모두 승리를 이끈다. 1593년(선조26년)부터 명나라와 왜군간의 협상이야기가나오면서 전투가 소강상태에 들어감에 따라 이영남은 북방쪽 경계를 명 받고 1595년(선조28년) 강계부 판관을 역임하고 다시 남방으로 내려와 1596년(선조29년) 율포만호, 가리포첨사등을 역임한다.
II.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왜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첩자로부터 모함에 빠져 자신의 상관인 원균마저도 이순신을 모함하여 조선 조정에서 이순신을 삼도수군통제사 직을 보직해임하고 한양으로 압송하여 투옥됨에 따라 원균이 신임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된 후 평소 이순신을 흠모하고 존경해오던 이영남은 이같은 부당한 처사들로 원균과 충돌해오다가 사직서를쓰고 백의종군한 이순신에게 찾아간다. 그러나 이미 왜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15만의 대군을 조선으로 출병시킴에 따라 전투가 벌어지다가 원균이 칠천량해전에서 대패당하고 전사함에 따라 이순신이 다시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이영남은 이순신의 수하가 되어 당시 역임하고 있던 가리포첨사와 조방장을 겸임하여 작전을 수행하여 명량해전에 참전, 1598년(선조31년)노량해전에도 참전한다.
전사
1598년(선조31년) 노량해전 당시 왜적과 맞서 팽팽히 전투를 치르다가 왜 수군의 총탄을 맞고 35세의 나이로 전사한다. 사후 1621년(광해군13년) 병조참판에 추증된다.
'고위급 귀족 & 관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운룡 (0) | 2025.04.10 |
---|---|
원균 (0) | 2025.04.08 |
정운 (0) | 2025.04.04 |
211대 영의정 심환지 (0) | 2025.04.02 |
송상현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