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29

69대 영의정 윤원형(소윤)

윤원형(Yun Won-hyung, 1503~1565, 영의정 재임1563~1565)  출생1503년(연산군9년) 경기도 파주군에서 아버지 파산부원군 윤지임(1475?~1534)과 어머니 이씨(이덕숭의 딸)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파평이다. 배경정치력이 매우 뛰어난 인물로, 누나 문정왕후(1501~1565)가 정현왕후(중종의 어머니, 1462~1530)에 의해 중종의 3비로 1517년 간택되면서 책봉된다. 중종의 계비였던 장경왕후 윤씨(1491~1515)가 아들 호(인종)를 낳다가 승하하면서 간택된 셈. 모두가 반긴 왕비는 아니였지만, 원자 호를 보호하는 명분과 장경왕후 윤씨와 가까운 친척인 덕에 후궁들을 자연스럽게 견제하고 자리를 지켜나갈 수 있었다. 이후 인종(1515~1545, 재위1544~1545..

19대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Kwanggaet'o de Goguryo, 374~413, 재위391~413)  출생374년 고구려 국내성에서 아버지 고이련(고국양왕, ?~391, 재위384~391)과 기록미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담덕'이다.  배경한국 역사 통틀어 가장 강력한 국가였던 고구려를 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 만들어 놓은 정복군주이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고구려의 위상이 오르며 중원의 맹주였던 후연, 한반도 내 백제, 신라(당시 동맹), 왜나라, 거란국등을 물리치며 영토를 확장한 인물이다. 한국사에서 2명의 대왕이 있는데, 세종대왕과 광개토대왕이다.  원래는 군주와 거리가 멀었다원래 담덕은 군주가 되기 어려운 쪽이였던게, 아버지 고국양왕에게는 형이 있었는데, 그 인물이 17대 소수림왕(?~384, 재위..

필리프4세 미남왕

필리프4세 미남왕(Philippe IV le bel, 1268~1314, 재위1285~1314)출생1268년 프랑스 퐁텐블로(Fontainbleau)d에서 아버지 필리프3세(Philippe III, 1245~1285, 재위1270~1285)와 어머니 이사벨 다라곤(Isabelle d'Aragon, 1247~1271)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카페왕조 말기의 프랑스 왕. 사실상 카페왕조에서 마지막으로 왕권을 강화시켜 휘어잡은 마지막군주라고 봐도 무방. 삼부회 설치라는 카드로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면서 왕권을 강력하게 만들었고, 교황청을 아비뇽으로 옮김으로서 교황권을약화시킴과 동시에 프랑스의 위상을 높였다는 평을 듣는다. 그러나 재정확충 과정에서 템플 기사단을 해체시켜 재산을 몰수하는 방식으로 재정을 해결하려했고..

페르디난트1세(신성로마황제)

페르디난트1세(Ferdinand Ier du Saint-Empire, 1503~1564, 로마왕재위1531~1558, 신성로마황제재위1556~1564)출생1503년 카스티야-아라곤 연합왕국 알칼라 데 에나레스(Alcalá de Henares)에서 아버지 펠리페1세(Felipe Ier, 1478~1506, 부르고뉴재위1482~1506, 카스티야재위1506)와 어머니 후아나(Jeanne Ier, 1479~1555, 재위1504~1555)사이에서 둘째로 태어난다. 배경1500년대 유럽을 휩쓴 신성로마황제 카를5세(Charles Quint, 1500~1558, 1519~1556)의 친동생이다. 형 카를5세와는 다르게 신중하고 카를5세의 강한 성격으로 사이가 틀어진 귀족과 제국관료들의 가교역할을 하며 중재자 역할..

마티아스(신성로마황제)

마티아스(Matthias, 1557~1619, 재위1612~1619)출생1557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아버지 막시밀리안2세(Maximilian II, 1527~1576, 재위1564~1576)와 어머니 마리 도트리슈(Marie d'Autriche, 1528~1603)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난다. 배경무능했던 형 루돌프2세(Rodolphe II, 1552~1612, 재위1576~1612)의 통치에 불만을 품고 세력을 점차 확대해나가기 시작하는데, 1608년엔 헝가리, 오스트리아등의 통치권을 받고, 1611년엔 핵심 요직인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하게 되면서 사실상 제국 내 모든 권력을 틀어지게 되면서 루돌프2세는 사실상 허수아비 황제로 전락하고 만다. 이후 황제로 즉위하는데 이미 수십년간 종교갈등이 걷잡을 수..

25대 평원왕

평원왕(Pyeongwon de Goguryeo, ?~590, 재위559~590)  출생아버지 양원왕(?~559, 재위545~559)과 기록미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양성'이다. 평강공주의 아버지이자 온달(?~590)장군은 평원왕의 사위이다. 배경할아버지 안원왕(?~545, 재위531~545)부터 흔들리던 왕권이 평원왕에 와서도 흔들리는데, 귀족연립정권의 설립 이후로 왕권이 더 떨어졌고 귀족들의 권한과 영향력이 상당히 커지던시기였어서 중앙집권을 추구하던 평원왕에게 있어서는 부담이 갈 수 밖에 없었다. 아버지 양원왕 치세때와마찬가지로 북쪽으로는 돌궐, 말갈이 남쪽으로는 백제, 신라가 시시때때로 고구려 변경을 치려고하면서 외교적으로 그 어느때보다 중요한 시기였던 것은 확실하다.   즉위아버지 양..

루돌프2세

루돌프(Rodolphe II du Saint-Empire, 1552~1612, 재위1576~1612)출생1552년 신성로마제국 오스트리아 빈(Wien)에서 아버지 막시밀리안2세(Maximilian II, 신성로마황제, 1527~1576, 재위1564~1576)와 어머니 마리 도트리슈(인판타 마리아 Marie d'Autriche, 1528~1603)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동생으로는 차기 신성로마황제 마티아스(Matthias, 1557~1619, 재위1612~1619)가 있다. 배경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재위시기 당시 유럽전역에 걸친 종교문제로 인한 갈등이 점점 더 심화되어 폭발하기 직전까지 가는 혼란스러운 시기의 군주이다. 정치적으로는크게 관심이 없었을 뿐더러 감각도 떨어져 점차 황제의 권위가 떨어지는 시..

24대 양원왕

양원왕(Yangwon de Goguryeo, ?~559, 재위545~559)  출생출생년도는 여러 설이있다 528, 530, 538년등으로 확실치는 않고, 아버지는 23대 안원왕(?~545, 재위531~545)과 기록미상의 어머니(두번째 왕비로 추정)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휘는 '평성'이다. 배경문자명왕(?~519, 재위492~519)의 손자이며, 즉위하기 전 태자일때 아버지 안원왕이 병석에 누워있을 때 이복동생 세군이 반란을 일으켜서 왕위를 찬탈하려는 시도를하지만 3일만에 난이 진압되고 겨우 왕위에 오른다. 즉위했을 때부터 이런 사건으로 인해 왕권이 크게 위축되었고,  외부적으로도 북쪽 돌궐이 강성해지면서 고구려를 위협, 신라 정복군주 진흥왕(534~576, 재위540~576)이 고구려 남쪽 변경..

31대 공민왕

공민왕(Kongmin de Goryeo, 1330~1374, 재위1351~1374)출생1330년 아버지 충숙왕(1294~1339, 재위1313~1330, 1332~1339)과 어머니 공원왕후 홍씨(명덕태후, 1298~1380)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전'이며 몽골식 이름은 바얀테무르이다. 공민왕의 위로는 동복형 충혜왕(1315~1344, 재위1330~1332, 1339~1343)이 있다. 배경원나라 간섭기 군주로서, 고려 말기 혼란스러운 틈에서 개혁을 하고자한 개혁군주로 원나라 간섭기를 벗어나 1259년 이전의 자주성을 가진 고려로 돌리려고 시도했던 군주이다. 원 탈피 첫단계는 권문세족(친원)을 숙청하여 원과 고려의 권력연결고리를 끊는 거였고, 노비를 해방시키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해 악법으로 행한 불..

막시밀리안2세(신성로마황제)

막시밀리안2세(Maximilien II du Saint-Empire, 1527~1576, 로마왕 재위1562~1576, 신성로마황제재위1564~1576)출생1527년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Vienne)에서 아버지 페르디난트1세(Ferdinand Ier, 1503~1564, 로마왕재위1531~1564, 신성로마황제재위1556~1564)와 어머니 안 드 보헤미아(Anne de Bohême ou Anne Jagellon, 1503~1547)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배경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이며, 태어날 당시 유럽을 휩쓸던 신성로마황제 카를5세(Charles Quint, 1500~1558, 재위1519~1556)는 막시밀리안의 큰아버지다. 큰아버지 카를5세의 딸 마리 도트리슈(Marie d'Autrich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