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71

원급, 비교급, 최상급

원급, 비교급, 최상급이들은 각 급에 따른 형용사와 부사의 형태로서 존재한다. 배경I. 원급(Positive deegree)두 대상이 동등함을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구문으로서 형용사나 부사가 여럿을 비교하는 뜻으로 쓰일 때 기준이 되는 원형 형태로서 사용되는 구문으로  변화 기준이 되는 급 이다. 형용사부사원급short,  good,  rich, tall 등등quickly,  slowly 등 II. 비교급(Comparative degree)둘중 어느것이 더 크거나 작거나 등등을 나타내는 형용사 or 부사의 비교를 일컬음. 형용사는 원급에 er을 붙여주면되고, 부사는 원급앞에 more을 붙여주면 된다. 단, 비교의 대상이 존재할 경우엔 than을 사용하여 비교를 명확하게 표현해야 하며 셋이상을 비교할..

영어/문법 2024.11.23

대명사

대명사(Pronoun)영어의 대명사는 문장, 명사를 대신하는 단어로서 명사로 쓰이게(절도 대신 가능)된다는 특징이 존재하며, 또한 명사의 역할을 하기에 주어, 목적어 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배경계속적인 반복형태를 방지하여 헷갈리는 것을 줄이고, 표현을 좀 더 간결, 명확하게 하기위해 사용하는 것이 특징. 영어에서 대명사는 크게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소유대명사, 의문대명사, 재귀대명사, 관계대명사등으로 나뉜다.  역할, 기능예시인칭대명사사람, 장소, 사물등 지칭i,  you,  he,  she,  we,  us,  it,  they,  them지시대명사문장 내 특정 인물, 사물 지칭this,  that,  these,  those등..부정대명사불특정 대상을 지칭all, both, eve..

영어/문법 2024.11.23

전치사

전치사(Prepositions)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앞에 쓰이는 방향, 시간, 장소, 위치등의 공간 관계를 설명하거나 단어와 단어 사이를 연결하는 품사를 일컫는다. 보통 명사와 함께 전치사구를 이루어 문장에서 부사 또는 형용사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특징전치사는 한국어의 조사와 비슷하고 주로 명사 또는 대명사 앞에 위치하며 부사와 형용사의 역할을 한다는 특징이 있다.  같은 형태의 전치사가 나올지라도 문장 상황에 따라 적절한 역할을 하는 전치사를 골라서 사용해야 하며 전치사의 종류로는 시간 전치사, 장소/방향 전치사, 수단/도구/소유/자격/재료 전치사, 기타 전치사 등으로 나뉜다. 종류I. 시간 전치사단순하게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 형태를 시간 전치사라고 한다.  해석예시after~후에After th..

영어/문법 2024.11.22

접속사

영어 접속사(Conjunctions) 2개 이상의 단어나 구, 절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품사이며 크게 등위접속사, 종속접속사, 상관접속사등으로 나뉜다.  배경앞 뒤 문맥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 격변화(굴절어)등을 하지 않는 불변어로서 접속사로 연결된 두 문장은 깔끔하고 부드럽게 연결되면서 바뀌게 된다. 대신, 접속사로 연결시키되 어구는 문법상 같은구조로 만들어주어야 해석상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며 종류별로 등위접속사, 종속접속사, 상관접속사로 나뉜다. 접속사 종류I. 등위접속사(Coordinating Conjunctions)등위접속사는 문법적으로 동등한 규격(성분)의 단어, 구, 절을 연결하는 접속사를 일컫는다.  내용종류and,   but,   for,   or,   so,   yet 역할예시and단..

영어/문법 2024.11.22

완료시제

완료시제문장의 시간적 개념을 뜻하고 어떠한 행위가 어떤 행위를 하든 특정 시점에 완료하는 것을 뜻한다. 이를 쉽게 이야기하자면 어떤 행위가 끝났음을 말해주는 것으로서 시제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로 나뉘어진다. 범위형태과거 완료과거 이전부터 과거 시점까지had + p.p현재 완료현재 이전부터 현재 시점까지have/has + p.p미래 완료미래 이전(과거,현재,미래)부터 미래 시점까지will + have + p.p위의 표에서 문장형태에서 시제만 바꿔주면 된다. I. 현재완료과거에 시작된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칠 때 사용하며, 과거의 행위가 지속되어 현재에 끝났다거나 현재까지 이어지는 중이라면 이 표현을 쓰면 되며 완료, 경험, 계속,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현재 시제현재 완료 시제예시I make a ..

영어/문법 2024.11.21

분사구문

영어 분사구문분사(현재, 과거)로 시작되는 '구(phrase)'를 포함한 문장으로서 분사를 이용해 시간, 이유, 원인, 조건, 양보등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간단하게 부사절(부사와같은 구실을하는 종결어미가 부족해 문장이 되지 못한 불완전한 상태)을 부사구(구는 주어와 동사의 문장구조를 갖추지 못한 불완전한 형식)로 바꿔주는 것으로서 분사가 부사의 역할을 한다.  배경일단 한국어와 성질이 전혀 다른 영어의 특성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교착어(단어가 조립됨 : 조사, 어미등을 추가해 단어가 변함)인 한국어와 고립어(단어가 변하지 않는 형태)인 영어와의 매우다른 성질로 두 언어간의 비교는 매우 어렵다. 이에 대화하는 화자 2명이 서로 알아들으려면 일단은 간단, 명료하게 표현되어야 하는 건 어느국가를 막론하고 공..

영어/문법 2024.11.20

능동태/수동태

능동태(Active voice)행위를 하는 주체의 시점에서 쓰여진 동사를 뜻하고 주어와 동사간의 관계가 능동적(행위의 주체가 어떠한 행위를 스스로 하는 모습)인 것을 말하며, 행위를 수행하는 주어를 강조하는게 특징이다. 능동태의 형식은 아래 표와 같다.  내용해석문장구조주어(S : Subject) + 동사(V : Verb) + 목적어(O : Objective)주어가 행동을 직접 수행함.S(은,는,이,가)  ~하다 예시해석I I drive the car.나는 차를 운전한다.IIHe holds a book.그는 책을 잡고있다.IIIThe man cleans the room.그 남자는 방을 청소했다.예시를 보면 알겠지만, 능동태의 문장에서는 동사(V)뒤에 목적어(O)가 오는것이 특징이다. 수동태(Passive..

영어/문법 2024.11.20

기유각서

기유각서(1909)1909년 7월 12일, 대한제국과 일제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사법권, 행정권(감옥 사무)을 일제에 양도한다는 조약이다. 배경1907년 7월 19일 고종(1852~1919, 조선재위1864~1897, 대한제국재위1897~1907)이 강제로 태자 순종(1874~1926, 재위1907~1910)에게 양위하면서 순종이 대한제국 2대 황제로 즉위한다. 이후 즉위식때 두 황제(고종, 순종)는 참석하지않고 내시들이 용포를 입고 분장을 해서 즉위식을 치뤘다고 한다. 이미 1905년 을사늑약 이후로 대한제국의 국권이 일제에 빼앗기고 있었는데, 이 때 조선통감부를 설치하고 초대 조선통감부 통감 이토 히로부미(1841~1909)를 임명해 수탈을 가속화한다.  내용위 조약은 1909년에 대한..

가쓰라-태프트 밀약

가쓰라-태프트 밀약(1905)1905년에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 일제의 대한제국 지배권을 상호 승인하는 회담내용을 담은 기록으로 1924년 세상에 알려지기까지 극비리에 진행된 밀약이다. 가쓰라-태프트 밀약은 일제 수상 가쓰라 다로(1848~1913)와 미합중국 전쟁부장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Wiliam Howard Taft, 1857~1930, 대통령재임1909~1913)사이에서 이루어졌다.  배경러일전쟁(1904~1905)이 끝나갈 무렵인 1905년 7월, 일본이 우위를 차지해 사실상 승리가 확정되던 시점에 전쟁으로 막대한 재정을 쏟은 일제는 대한제국의 보호권을 열강들로부터 확실하게 인정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였다. 당시 미국은 일제에 호의적인 입장(러시아의 남하정책을 매우경계한 미국)으로 마침..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1882년(고종18년)5월, 조선과 미국간에 조인된 수호 통상 조약으로 조선 제물포(현재 인천광역시 제물포)에서 조선 전권대신 신헌(1810~1884), 김홍집(1842~1896)과 미국 전권위원 로버트 윌슨 슈펠트(Robert Wilson Scufldt, 1822~1895)간에 체결된 통상 조약이다.  배경1854년 페리 제독(Matthw Perry, 1794~1858)이 미일조약으로 첫 개항을 할 당시 조선은 문이 굳게 닫혀있는 쇄국정책을 하고있었다. 1866년 제너럴셔먼호 사건이후 미국은 조선이라는 나라를 개항하는 문제에 관심을 보여 다음해 1867년 로버트 윌슨 슈펠트가 직접 조선을 탐문하며 조선을 개항시킬 계획을 수립하며 그 야욕은 1871년 신미양요를 통해 성취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