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공조 배경조선시대 행정기관 육조(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중 6순위로 토목공사, 공예품 제작, 산림, 농업, 소택, 교통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고려 성종(961~997, 재위981~997)이전엔 [공관] 명칭을 쓰다가 성종 이후 [공부] 명칭을 쓰고 원나라 간섭기(1259~1356)때인 1273년(원종14년)에 잠시 혁파되었다가 1324년(충숙왕11년) [공조]로 다시 환원되었다가 이듬해 혁파. 1356년(공민왕5년) [공부]로 환원, 1390년(공양왕1년) [공조]라는 명칭으로 바뀌고 조선이 건국되고 그대로 이어져 내려온다. 1894년(고종30년) 갑오개혁이 실시됨에 따라 [공무아문], [농상아문]으로 분리되었다가 이듬해 [농상공부]로 합쳐진다. 역할토목공사, 공예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