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병조 배경조선시대 육조(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중 4번째순위를 가지고 조선의 국방을 담당하던 부처. 고려시대 성종(961~997, 재위981~997)이전에는 [병관]이라는 명칭을 썼고 성종 이후로는 [병부]로 쓰인다. 원나라 간섭기(1259~1356)땐 [군부사]로 격하되었다가 31대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때 [병부], [군부사], [총부]등으로 여러번 바뀌었고 34대 공양왕(1345~1394, 재위1389~1392)대에 들어 [병조]로 개칭되고 조선이 건국되고 그대로 넘어온다. 무관 인사, 교통수단(말, 수레), 봉화, 역참, 의장, 경계등을 담당하는 현재의 국방부의 기능을 가진 국가부처이다. 1894년(고종30년) 갑오개혁으로 [군무아문]으로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