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예조 배경조선시대 행정기관 육조(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중 3순위로 높은 서열을 가지는 기관. 예악, 제사, 연향, 조빙, 학교, 과거등을 관정하던 기관으로서 고려 성종(961~997, 재위981~997)때인 982년(성종1년) 북주(557~581)의 관제를 참작하여 [예관]으로서 배경이 시작되고 995년(성종14년) 당나라(618~907)관제를 따라 상서성 [상서예부]로 개칭, 1275년(충렬왕1년) 원나라 간섭기에 본격적으로 접어듬에 따라 전리사로 통합되고 1356년(공민왕5년)예부로 회복된 후 1389년(공양왕 원년)에 [예조]로 개칭되면서 조선시대로 그대로 넘어온다. 3개의 부서와 30개의 속아문으로 구성되어져 있다.1894년(고종30년)갑오개혁으로 기능이 분리되고,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