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_admin/blogs/image/category/new_ico_1.gif)
조선 이조 배경조선시대 행정기관인 육조(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중 으뜸으로 문관의 인사, 공훈등을 담당하는 부서였다. 고려 시대땐 선관, 이부로 불리고 원간섭기(1259~1356)땐 전리사로, 이후 여러번 개편을 거치다가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땐 이부, 공양왕(1345~1394, 재위1389~1392)때 이조로 개칭되고 1392년 조선이 건국된 이후에도 지속되며 여러 속아문을 가지고 있었으며(충익부, 내시부, 상서원, 종부시, 사옹원, 내수사, 액정서등)이 1485년(성종16년) [경국대전]에 법제화된다. 이후 1894년(고종30년) 갑오개혁으로 내부로 바뀌면서 사라진다. 역할1392년 조선이 건국되고, 이미 이전 고려 후기 공양왕(1345~1394, 재..